$\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특성을 고려한 경축순환농업 모형의 가축분뇨 양분 흐름분석
Livestock Manure Nutrients Flow Analysis of Integrated Crop-Livestock Farming Model Reflect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유기물자원화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v.23 no.2, 2015년, pp.36 - 46  

이준희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  최홍림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축순환농업은 축산농가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를 비료자원으로 인식하여 농경지로 환원하는 지속 가능한 농업체계로 부상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축순환농업 체계는 아직 미비하여 가축분뇨 처리 및 자원화에 애로를 겪고 있는 지역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경축순환농업 모델을 제시하고 2) 가축분뇨의 농경지 환원 시 잠재적 양분 공급량 및 작물의 양분 요구량에 관한 관계분석을 바탕으로 제시된 모델의 바이오매스 물질흐름 분석을 그 목적으로 한다. 개별농가 시설을 통한 경축순환농업을 실행하고 있는 우리나라 지역 두 곳과 (YC, JJ)과 공동자원화시설을 위탁처리하고 있는 두 곳 (NW, NS)을 선정하여 NS의 두 지역, NW의 세 지역, YC의 세 지역, JJ의 네 지역 등 총 열두 곳의 지역별 현장조사 및 면접을 실시하였고, 설문조사를 위한 농가들은 NW의 54농가, YC의 51농가, JJ의 44농가로 총 149농가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JJ지역의 공동자원화시설은 퇴 액비화 역할뿐만 아니라 에너지화 모델로의 공동추진(two track model)이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YC지역의 경우, 중규모(30톤 내외)의 분산형 공동자원화시설 3~4개를 축산농가가 밀집된 면(面)에 설치하는 모델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존 처리현황 대비 공동자원화시설이 적용된 시나리오의 양분흐름을 비교해 보면 두 지역 모두 인과 칼리량은 늘어나고(최대 7%까지) 질소량은 감소하는(최대 15%까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이 적용된 YC지역의 가축분뇨 유래 질소, 인산, 칼리는 전반적으로 비슷하게 고른 값을 보이고 있으나, 작물의 양분요구량과 양분의 토양 환원량을 비교해 보면 연간 질소가 719톤, 인이 1,269톤씩 각각 과잉 공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JJ지역의 경우 작물 양분요구량 대비 질소 671톤/년의 추가공급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화학비료로 대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인의 경우 32톤이 과잉공급되어 JJ와 YC 지역 모두 인의 지표수 유출(runoff)에 기인한 부영영화(eutrophication)를 고려하여 경축순환농업 모델을 구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egration of crop-livestock farming has been a problem-solving mode for abatement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covery of resources in recent year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suggest the customized integration of crop-livestock farming model reflect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장조사를 통한 데이터와 조사한 현장의 처리시설 현황을 바탕으로 지역단위 축산농가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 유래 퇴⋅액비의 정량화를 비롯하여 해당 비료성분이 농경지 환원에 이르기까지의 양분 유입, 유출, 작물흡수 과정을 통해 액비와 퇴비 그리고 화학비료의 비료성분(N, P, K) 흐름을 추적하는 것은 화학비료의 환경적, 경제적 효율성과 퇴⋅액비의 농경지 환원을 통한 비료 성분의 재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중요한 사안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 지역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경축순환농업 모델을 제시하고 2) 가축분뇨의 농경지 환원 시 잠재적 양분공급량 및 작물의 양분 요구량에 관한 관계분석을 바탕으로 제시된 모델의 양분흐름 분석을 그 목적으로 한다.
  • JJ 의 경우 도시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경축순환농업 모델(안)은 퇴⋅액비시설과 에너지화 시설을 공동추진하는 two-track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YC의 경우에는 일부 읍/면에 축산산업이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고, 3천두 이상의 대농의 경우 정화처리시설을 개별적으로 갖추고 있어 분산형 공동자원화시설을 제시해 보았다. YC의 양축농가가 몇 개의 소수 읍⋅면에 밀집해 있다는 사실에 착안, 중규모(30톤 내외)의 분산형 공동자원화시설 3∼4개를 이들 읍⋅면에 설치하는 모델이다.
  • 개별농가 시설을 통한 경축순환농업을 실행하고 있는 우리나라 지역 두 곳과 (YC, JJ)과 공동자원화시설을 위탁처리 하고 있는 두 곳 (NW, NS)을 선정하고 두 권역(圈域)의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경축순환농업 활성화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공동자원화시설, 공공처리시설, 개별 농가의 현장 또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우리나라 경축순환농업의 현황 및 수준을 파악하고, 상대적으로 부진한 지역을 고려한 경축순환모델(안)을 제시하여 가축분뇨 유래 양분의 흐름, 즉 양분 수지분석을 통해 경축순환농업 모델의 기초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지역 특성을 고려한 경축순환농업 모델을 제시하기 위하여 지역의 가축사육 두수, 가축 종, 가축분뇨 발생량, 가축분뇨 처리현황, 농경지 면적에 대한 조사가 선행되었다.
  • 경축순환농업 모델을 제시를 위한 지역 특성의 요인들로 전술한 가축사육 두수, 가축 종, 가축분뇨 발생량, 가축 분뇨 처리현황과 더불어 작물 종 및 농경지 면적까지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네 곳의 대상지역 중 경축순환농업이 활성화된 NW과 NS지역을 바탕으로 상대적으로 부진한 지역인 YC과 JJ 지역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전술한 지역적 요인을 고려한 경축순환농업 모델(안)을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현장조사에서 나온 데이터 (처리 과정 전의 질소량과 처리 후의 질소량) 역시 비슷한 수치를 나타냈는데 이를 적용해 질소 손실을 산출해 보면 약 34%의 질소 손실을 보였다. 따라서 평균 32%의 질소 성분이 액비화공정중에 공기 중으로 휘산된다고 가정하고 나머지 값을 계산하였다. 고상물 퇴비화 과정의 경우 질소 소실은 약 29%로 책정하였다.
  • 은 가축분뇨의 고형분 가공과정에서의 손실보정계수를 각각 나타낸다. 액상분 또는 고형분에서의 손실은 분뇨의 종류에 관계없이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이하 보정계수는 r로 통일하여 사용하였 다.
  • 하지만 자원화율은 전체 대비 98%이며 나머지 2%는 정화되어 하천으로 방류처리 되어 농경지에 환원되는 가축 분뇨 유래 질소와 칼리 성분이 인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전술한 모델(안)을 바탕으로 YC와 JJ지역의 경축 순환농업 모델을 적용하기 위해 공동자원화시설이 차지하는 비중을 전체 처리대비 약 38%(NW과 NS지역의 평균 값)로 가정하였고 나머지는 YC와 JJ지역의 기존 처리시설비율을 그대로 반영하여 처리량을 분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축순환농업이란? 축산농가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를 비료자원으로 활용하여 농경지로 환원하는 자원순환체계, 즉 경축순환농업은 지속 가능한 농업관점에서 필수불가결한 화두로 부상하였다1). 농장단위부터 지역단위까지의 다양한 경축순환농업 체계는 관행 축산에서 기인한 환경오염2), 생물다양성 손실3), 양분불균형3)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경축순환농업 체계는 어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가? 축산농가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를 비료자원으로 활용하여 농경지로 환원하는 자원순환체계, 즉 경축순환농업은 지속 가능한 농업관점에서 필수불가결한 화두로 부상하였다1). 농장단위부터 지역단위까지의 다양한 경축순환농업 체계는 관행 축산에서 기인한 환경오염2), 생물다양성 손실3), 양분불균형3)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축순환농업 체계는 아직 미비하여 가축분뇨 처리 및 자원화에 애로를 겪고 있는 지역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축순환농업 체계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국내 경축순환농업 현황 및 수준을 파악하고 상대적으로 부진한 지역의 경축순환농업 체계를 면밀히 검토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과학적인 발전방안 및 모델(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실행되고 있는 국내 가축분뇨 처리방법에는 지역별 차이가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공동자원화시설, 개별농가 퇴⋅액비시설, 공공처리시설, 개별농가 정화처리시설의 크게 네 가지 체계로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다. 공동자원화시설과 개별농가 퇴⋅ 액비시설로 수거, 반입된 가축분뇨는 고액분리 후 자원화 공정을 통해 액비와 퇴비로 변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Peyraud, J.L., Taboada, M., Delady, L., "Integrated crop and livestock systems in Western Europe and South America: A review", Europ. J. Agronomy, 57:31-42, (2014). 

  2. Bell, L.W., Moore, A.D., Kirkegaard, J.A., "Evolution in crop-livestock integration systems that improve farm productivity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in Australia", Europ. J. Agronomy, 57:10-20, (2014). 

  3. Lemaire, G., Franzluebbers, A., Carvalho, P.C. de Faccio., Dedieu B., "Integraed crop-livestock systems: Strategies to achieve synergy between agricultural production and environmental quality",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190:4-8, (2014). 

  4. Rotz, C.A., "Management to reduce nitrogen losses in animal production", J. Anim. Sci., 82:119-137, (2004). 

  5. Sommer, S.G., "Effect of composting on nutrient loss and nitrogen availability of cattle deep litter", European Journal of Agronomy, 14:123-133, (2001). 

  6. University of Minnesota Extension Fact Sheet. "Nitrogen availability from liquid swine and dairy manure: Results of on-farm trials in Minnesota", UM Extension Bulletin 08583, (2006). 

  7. Midwest Plan Service. Livestock Waste facilities Handbook, MWPS-18 (1993). 

  8. e-나라지표, 에너지 수급현황, (2013)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200&bbsINDX_001&clas_divA 

  9. 농림축산식품부, 가축분뇨처리지원사업, (2011) http://www.mafra.go.kr/cms/util/contentsFile Down.jsp?board_id19&FILE_NAME2011. 

  10. Lee S. G., Choi H. L, and Lee J. H., "Effect of food waste properties on methane production", J. of KORRA, 22:11-22, (2014). 

  11.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별시비처방기준, (2010). 

  12. 농촌진흥청, 가축분뇨 발생량 및 주요성분 재 설정 연구,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