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ributyltin에 의한 흰쥐 흉선 내 상피세포의 지방세포 유도와 세포자연사 증가
Tributyltin Induces Adipogenesis and Apoptosis of Rat Thymic Epithelial Cells 원문보기

Development & reproduction = 발생과 생식, v.15 no.4, 2011년, pp.373 - 383  

이효진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환경공학과) ,  이아라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환경공학과) ,  안보람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환경공학과) ,  전은제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환경공학과) ,  정예지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환경공학과) ,  양현원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성 호르몬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내분비교란물질은 흰쥐 흉선세포에 세포자연사를 일으켜 흉선의 기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그 작용 기전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분비 교란물질 중 하나인 Tributyltin(TBT)를 흰쥐에 투여한 후 흉선의 상피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지를 조사하고, 이로 인한 T 세포의 세포자연사와 연관성을 조사함으로써 TBT가 흉선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3주령 된 암컷 흰쥐에 각각 TBT 1, 10, 25 mg/kg/day를 1주일 동안 경구 투여한 후, 흉선을 획득하여 무게와 세포 수를 측정하였고, 파라핀 절편으로 H&E 염색, TUNEL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real-time PCR 방법으로 상피세포 표지 유전자들, 지방세포유도 유전자들과 세포자연사 관련 유전자들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세포자연사 정도를 조사하였다. 흉선의 무게와 세포 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TBT의 농도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H&E 염색 결과, TBT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흉선의 크기가 감소하고 피질과 수질의 경계가 흐려짐을 관찰하였다. TUNEL 염색 결과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TBT를 투여한 군에서 세포자연사가 증가하였으며, 유세포 분석결과에서도 TBT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자연사가 증가하였다. Real-time PCR 결과, 상피세포 표지 유전자인 EVA, IL-7, AIRE, KGF는 TBT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발현양이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지방세포 유도와 관련된 유전자인 $PPAR{\gamma}$, aP2, PEPCK, CD36은 TBT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발현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세포자연사와 관련된 유전자인 $TNF{\alpha}$, TNFR1도 TBT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발현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내분비교란물질인 TBT는 흉선 상피세포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지방세포로 분화 유도시킴으로써 흉선의 기능을 상실케 만들면서 T 세포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TBT가 흉선의 기능을 떨어뜨림으로써 면역력 저하를 유발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ibutyltin (TBT) is one of endocrine disrupters which are known as having similar function to sex steroid hormone inducing apoptosis in various tissues of rodents.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TBT induces apoptosis in thymus causing the decreased thymic function, but little is known about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투여된 TBT가 흉선 내 세포자연사를 증가시키는 원인을 알아보고자 세포자연사 관련 유전자의 발현양을 조사하였다. TNFα와 TNFR1의 발현이 TBT 투여 후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상의 본 실험결과와 기존에 발표된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TBT는 흉선의 크기와 구조를 변화시키고, 아울러 흉선 내 세포자연사를 일으키면서 흉선의 기능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TBT 투여에 따른 흉선 내 구조의 변화와 세포자연사의 증가가 어떤 기전으로 유발되는지를 알아보고자 T 세포 분화와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흉선 내 상피세포의 기능을 조사하였다. 먼저, 기존에 알려진 바와 같이 TBT가 흉선 조직 내에서도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방세포 유도 관련 유전자와 흉선 상피세포 표지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흰쥐에 TBT를 투여한 후 흉선의 구조를 조사하고, 아울러 흉선에서 지방세포 유도 관련 유전자와 세포자연사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함으로써 TBT 노출에 따른 흉선의 기능 저하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 , 2010). 이에 본 연구에서도 기존에 밝혀진 연구결과와 같이 TBT가 흉선에서도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하면서 흉선 기능을 억제할 것이라고 가정하고, 흰쥐 흉선을 대상으로 TBT 투여 후 흉선 내에서 지방세포 분화가 일어나는지, 이에 따른 흉선의 기능이 감소하는지를 조사하였다.
  • , 1991). 이에 본 연구에서도 투여된 TBT에 의해 흉선 내세포자연사가 증가하는지를 확인하였다. 흉선 절편을 이용하여 TUNEL 분석을 수행한 결과, 투여된 TBT 농도가 높을수록 흉선 내 세포자연사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Annexin V 염색 후 유세포 분석기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TBT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자연사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설 설정

  • 이상의 보고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TBT에 의한 면역 기능의 저하 원인을 TBT가 흉선 상피세포에 작용하여 지방 세포로의 전환을 유도하고, 이로 인하여 흉선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흰쥐에 TBT를 투여한 후 흉선의 구조를 조사하고, 아울러 흉선에서 지방세포 유도 관련 유전자와 세포자연사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함으로써 TBT 노출에 따른 흉선의 기능 저하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ributyltin이란 무엇인가? 유기주석화합물인 Tributyltin(TBT)는 성 호르몬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내분비장애물질로 각종 플라스틱 첨가제, 산업용 촉매, 살충제, 살균제 등에 함유되어 실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Shawky & Emons, 1998). 그러나 TBT 화합물에 의한 생태계 교란 현상이 1980년대 초 처음 보고된 이래로 TBT로 인한 임포섹스 현상이 보고되었고, 또한 TBT가 포유류에 노출될 경우 어패류와 마찬가지로 생식 기능에 문제가 야기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laber, 1970).
흉선은 어떤 기관인가? 흉선은 T 세포의 발달과 성장이 일어나는 기관으로, 골수로부터 들어온 조혈모 줄기세포가 흉선 내 상피세포의 도움으로 분화가 일어나는 곳이다. 흉선 내 상피세포는 흉선 바깥쪽을 구성하는 피질 상피세포와 안쪽을 구성하는 수질 상피세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두 상피세포에서 분비되는 다양한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에 의해 T 세포가 분화하고 성장한다(Linton & Dorshkind, 2004).
본 연구에서 TBT 투여에 따른 섭식과 체중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흰쥐에게 TBT 투여 후 매일 체중을 측정한 결과는 어떠한가? 먼저 TBT 투여에 따른 섭식과 체중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TBT 투여 후 매일 체중을 측정하였다. 흰쥐의 체중은 TBT 투여와 상관없이 정상적인 증가 양상을 보였다. 25㎎/㎏ TBT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체중 증가 폭이 다른 군에 비하여 낮았으나, sesame oil만 투여한 대조군과 비교해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흉선의 무게는 TBT 투여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체중에 따른 흉선의 무게 (somatic index) 또한 투여된 TBT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아울러 흉선 내 T 세포의 숫자도 TBT 투여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Berger J, Moller DE (2002) The mechanisms of action of PPARs. Annu Rev Med 53:409-435. 

  2. Blaber SJM (1970) The occurrence of a penis-like outgrowth behind the right tentacle in spent females of Nucella lapillus. J Mollus Stud 39:231-233. 

  3. Carfi M, Croera C, Ferrario D, Campi V, Bowe G, Pieters R, Gribaldo L (2008) TBTC induces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human bone marrow long term culture. Toxicology 249:11-18. 

  4. Chen Y, Zuo Z, Chen S, Yan F, Chen Y, Yang Z, Wang C (2008) Reduction of spermatogenesis in mice after tributyltin administration. Toxicology 251:21-27. 

  5. Danilenko DM (1999) Preclinical and early clinical development of keratinocyte growth factor, an epithelialspecific tissue growth factor. Toxicol Pathol 27:64-71. 

  6. Erickson M, Morkowski S, Lehar S, Gillard G, Beers C, Dooley J, Rubin JS, Rudensky A, Farr AG (2002) Regulation of thymic epithelium by keratinocyte growth factor. Blood 100:3269-3278. 

  7. Fawthrop DJ, Boobis AR, Davies DS (1991) Mechanisms of cell death. Arch Toxicol 65:437-444. 

  8. Febbraio M, Hajjar DP, Silverstein RL (2001) CD36: a class B scavenger receptor involved in angiogenesis, atherosclerosis, inflammation, and lipid metabolism. J Clin Invest 108:785-791. 

  9. Feng J, Han JH, Pearce SF, Silverstein R, Gotto AM, Hajjar DP, Nicholson AC (2000) Induction of CD36 expression by oxidized LDL and IL-4 by a common signaling pathway dependent on protein kinase C and PPAR-gamma. J Lipid Res 41:688-696. 

  10. Gaur U, Aggarwal BB (2003) Regulation of proliferation, survival and apoptosis by members of the TNF superfamily. Biochem Pharmacol 66:1403-1408. 

  11. Gregoire FM, Smas CM, Sul HS (1998) Understand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Physiol Rev 78:783-809. 

  12. Grun F, Watanabe H, Zamanian Z, Maeda L, Arima K, Cubacha R, Gardiner DM, Kanno J, Iguchi T, Blumberg B (2006) Endocrine-disrupting organotin compounds are potent inducers of adipogenesis in vertebrates. Mol Endocrinol 20:2141-2155. 

  13. Grundler W, Dirscherl P, Beisker W, Marx K, Stampfl A, Maier K, Zimmermann I, Nusse M (2001) Early functional apoptotic responses of thymocytes induced by tri-n-butyltin. Cytometry 44:45-56. 

  14. Hare KJ, Jenkinson EJ, Anderson G (2000) An essential role for the IL-7 receptor during intrathymic expansion of the positively selected neonatal T cell repertoire. J Immunol 165:2410-2414. 

  15. Ibrahimi A, Sfeir Z, Magharaie H, Amri E, Grimaldi P, Abumrad NA (1996) Expression of the CD36 homolog (FAT) in fibroblast cells: effects on fatty acid transport. Proc Natl Acad Sci USA 93:2646-2651. 

  16. Kanayama T, Kobayashi N, Mamiya S, Nakanishi T, Nishikawa J (2005) Organotin compounds promote adipocyte differentiation as agonists of th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retinoid X receptor pathway. Mol Pharmacol 67:766-774. 

  17. Ken Nakano, Masashi Tsunoda, Nobuhiro Konno (2004) Tributyltin (TBT) increases TNF $\alpha$ mRNA expression and induces apoptosis in the murine macrophage cell line in vitro. Environ Health Prev Med 9:266-271. 

  18. Kim SK, Kim JH, Han JH, Yoon YD (2008) Inhibitory effect of tributyltin on expression of steroidogenic enzymes in mouse testis. Int J Toxicol 27:175-182. 

  19. Kirchner S, Kieu T, Chow C, Casey S, Blumberg B (2010) Prenatal exposure to the environmental obesogen tributyltin predisposes multipotent stem cells to become adipocytes. Mol Endocrinol 24:526-539. 

  20. Le Maire A, Grimaldi M, Roecklin D, Dagnino S, Vivat-Hannah V, Balaguer P, Bourguet W (2009) Activation of RXR-PPAR heterodimers by organotin environmental endocrine disruptors. EMBO Rep 10:367-373. 

  21. Li X, Ycaza J, Blumberg B (2011) The environmental obesogen tributyltin chloride acts via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to induce adipogenesis in murine 3T3-L1 preadipocytes. J Steroid Biochem Mol Biol 127:9-15. 

  22. Linton PJ, Dorshkind K (2004) Age-related changes in lymphocyte development and function. Nat Immunol 5:133-139. 

  23. Liston A, Lesage S, Wilson J, Peltonen L, Goodnow CC (2003) Aire regulates negative selection of organ-specific T cells. Nat Immunol 4:350-354. 

  24. Liu Y, Wang L, Kikuiri T, Akiyama K, Chen C, Xu X, Yang R, Chen W, Wang S, Shi S (2011) Mesenchymal stem cell-based tissue regeneration is governed by recipient T lymphocytes via IFN-γ and TNF- $\alpha$ . Nat Med 17:1594-1601. 

  25. Love PE, Bhandoola A (2011) Signal integration and crosstalk during thymocyte migration and emigration. Nat Rev Immunol 11:469-477. 

  26. Lynch HE, Goldberg GL, Chidgey A, Van den Brink MR, Boyd R, Sempowski GD (2009) Thymic involution and immune reconstitution. Trends Immunol 30:366-373. 

  27. Mandrup S, Lane MD (1997) Regulating adipogenesis. J Biol Chem 272:5367-5370. 

  28. Maraskovsky E, O'Reilly LA, Teepe M, Corcoran LM, Peschon JJ, Strasser A (1997) Bcl-2 can rescue T lymphocyte development in interleukin-7 receptor-deficient mice but not in mutant rag-1-/- mice. Cell 89:1101-1109. 

  29. Maria G, Francesca S, Maddalena P, Simona P, Barbara M, Margherita M, Tambet T, Giacomo CG, Fabio G (1998) Epithelial V-like antigen (EVA), a novel member of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expressed in embryonic epithelia with a potential role as homotypic adhesion molecule in thymus histogenesis. J Cell Biol 141:1061-1071. 

  30. Michalik L, Auwerx J, Berger JP, Chatterjee VK, Glass CK, Gonzalez FJ, Grimaldi PA, Kadowaki T, Lazar MA, O'Rahilly S, Palmer CN, Plutzky J, Reddy JK, Spiegelman BM, Staels B, Wahli W (2006) International Union of Pharmacology. LXI.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s. Pharmacol Rev 58:726-741. 

  31. Micheau O, Tschopp J (2003) Induction of TNF receptor I-mediated apoptosis via two sequential signaling complexes. Cell 114:181-190. 

  32. Middlebrook AJ, Lebsack T, DeLuca D (2007) TNF-alpha mediated modulation of T cell development and exacerbation of in vitro T1DM in fetal thymus organ culture. J Autoimmun 29:134-145. 

  33. Murray J, Barbara JA, Dunkley SA, Lopez AF, Van Ostade X, Condliffe AM, Dransfield I, Haslett C, Chilvers ER (1997) Regulation of neutrophil apoptosis by tumor necrosis factor-alpha: requirement for TNFR55 and TNFR75 for induction of apoptosis in vitro. Blood 90:2772-2783. 

  34. Nakanishi T (2008) Endocrine disruption induced by organotin compounds; organotins function as a powerful agonist for nuclear receptors rather than an aromatase inhibitor. J Toxicol Sci 33:269-276. 

  35. Raffray M, Cohen GM (1993) Thymocyte apoptosis as a mechanism for tributyltin-induced thymic atrophy in vivo. Arch Toxicol 67:231-236. 

  36. Shao D, Lazar MA (1997)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γ, CCAAT/ 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 and cell cycle status regulate the commitment to adipocyte differentiation. J Biol Chem 272:21473-21478. 

  37. Shawky S, Emons H (1998) Distribution pattern of organotin compounds at different trophic levels of aquatic ecosystems. Chemosphere 36:523-535. 

  38. Smialowicz RJ, Riddle MM, Rogers RR, Luebke RW, Copeland CB (1989) Immunotoxicity of tributyltin oxide in rats exposed as adults or pre-weanlings. Toxicology 57:97-111. 

  39. Snoeij NJ, Penninks AH, Seinen W (1988) Dibutyltin and tributyltin compounds induce thymus atrophy in rats due to a selective action on thymic lyphoblasts. Int J Immunopharmacol 10:891-899. 

  40. Song YH, Joung JE, Lee HA, Hong JH, Yang H (2010) Tributyltin increase adipogenesis and apoptosis of rat testicular interstitial cells. Dev Reprod 4:297-306. 

  41. Taub DD, Longo DL (2005) Insights into thymic aging and regeneration. Immunol Rev 205:72-93. 

  42. Tomiyama K, Yamaguchi A, Kuriyama T, Arakawa Y (2009) Analysis of mechanisms of cell death of Tlymphocytes induced by organotin agents. J Immunotoxicol 6:184-193. 

  43. Trigueros C, Hozumi K, Silva-Santos B, Bruno L, Hayday AC, Owen MJ, Pennington DJ (2003) Pre-TCR signaling regulates IL-7 receptor alphaexpression promoting thymocyte survival at the transition from the doublenegative to double-positive stage. Eur J Immunol 33:1968-1977. 

  44. Ueno S, Kashimoto T, Susa N, Asai T, Kawaguchi S, Takeda-Homma S, Terada Y, Sugiyama M (2009) Reduction in peripheral lymphocytes and thymus atrophy induced by organotin compounds in vivo. J Vet Med Sci 71:1041-1048. 

  45. Yang H, Youm YH, Vishwa DD (2009) Inhibition of thymic adipogenesis by caloric restriction is coupled with reduction in age-related thymic involution. J Immunol 183:3040-3052. 

  46. Youm YH, Yang H, Amin R, Smith SR, Leff T, Dixit VD (2010) Thiazolidinedione treatment and constitutive- PPARgamma activation induces ectopic adipogenesis and promotes age-related thymic involution. Aging Cell 9:478-489. 

  47. Zucker RM, Elstein KH, Thomas DJ, Rogers JM (1994) Tributyltin and dexamethasone induce apoptosis in rat thymocytes by mutually antagonistic mechanisms. Toxicol Appl Pharmacol 127:163-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