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황의 건조 방법에 따른 무기성분, 환원당, Catalpol 및 Benzo[α]pyrene의 함량 변화
Change of Inorganic Component, Reducing Sugar, Catalpol and Benzo[α]pyrene Contents of Rehmannia glutinosa Libosch. var. purpurea Makino by Drying Methods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9 no.6, 2011년, pp.501 - 507  

장준복 (중부대학교 한방제약과학과) ,  길기정 (중부대학교 한방제약과학과) ,  이건희 (중부대학교 한방제약과학과) ,  지윤선 (중부대학교 한방제약과학과) ,  김보람 (중부대학교 한방제약과학과) ,  강기현 (중부대학교 한방제약과학과) ,  김미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송미란 (충남금산군농업기술센터) ,  박종윤 (충남금산군농업기술센터) ,  도은수 (중부대학교 한방제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ollect the basic data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Rehmannia glutinosa Libosch. var. purpurea Makino drying. By the drying methods of R. glutinosa, the content of water, inorganic components, reducing sugar, catalpol and benz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농가에서 활용하고 있는 냉온풍제습건조기와 열풍건조기를 활용하여 catalpol 함량 등 성분의 변화, benzo[α]pyrene 함량 등을 조사하여 농가에서 안전하게 건지황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 공정 표준화를 위한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방에 근거한 지황의 포제방법에 따른 효능은 어떠한가? , 2006; Shih et al., 1999), 한방에서 지황은 포제방법에 따라 성미 (性味)와 효능이 다르기 때문에 임상에서는 구별하여 이용되는데, 생지황은 청열생진 (淸熱生津), 양혈지혈 (凉血止血)의 효능이 있으며, 건지황은 청열양혈 (淸熱凉血), 자음생진 (滋陰生津)의 효능이 있고, 숙지 황은 자음보혈 (滋陰補血), 익정진수 (益精嗔髓)의 효능이 있다 (Takagi et al., 1982; Tang and Eisenbrand, 1992; Zhang et al.
지황의 국내 재배지로는 어떤 곳들이 있는가? , 2002). 중국이 원산지로 국내에서도 재배되고 있으며, 충남 금산, 경북 군위, 전남 화순, 충북 제천 등지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2009년을 기점으로 국내 건강보조식품 제조회사 및 소비자의 국내산 고품질 지황의 선호도 증가로 최근 재배면적이 100 ㏊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You et al.
지황은 어떤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는가? 숙지황의 약성 및 효능이 생지황 및 건지황과 차이가 나는 것은 그 제조과정에서 함유성분의 함량및 성상이 변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황의 주성 분은 iridoid로서 rehmaglutin A, B, C 및 D, iridoid 배당체 로서 catalpol, dihydrocatalpol, aucubin, leonuride, melittoside, rehmannioside A, B, C 및 D 등, 당류로서 raffinose, mannotriose 등 그리고 lysine, histidine 등의 아미노산과 β-sitosterol과 stigmasterol 등이 알려져 있고, 성분 중 catalpol은생지황 및 건지황의 품질관리를 위한 지표물질로 이용되어 왔다 (Nishimura et al., 1990;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Dubois MK, Gilles KA, Hamilton JK, Roberts PA and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ytical Chemistry. 28:350-356. 

  2. Hong SP, Kim YC, Kim KH, Park JH and Park MK. (1993). Characteristic component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compared to Rehmanniae radix and Rehmanniae radix crudus.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6:401-404. 

  3. Hu SJ, Jin SH and Choi DG. (2008). Analysis of benzo[ $\alpha$ ]pyrene in red ginseng beverage.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23:26-30. 

  4. Hwang SY, Hwang BY, Choi WH, Jung HJ, Huh JD, Lee KS and Ro JS. (2001).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5-hydroxymethyl-2-furaldehyde in the Rehmanniae radix preparata samples at various processing stages.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gnosy. 32:116-120. 

  5. Kim DS and Lee KB. (2009). Changes in benzo[a]pyrene content during processing of corn oil.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6:75-81. 

  6. Kim JW, Choi HY, Cho JH, Ahn DK, Yook CS, Byun MW, Lee J, Im MH and Kim DH. (2005). Studies on the stability of catalpol components and genotoxic safety of $\gamma$ -irradiated Rehmanniae radix crude.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gnosy. 35:75-80. 

  7. Kim NJ, Jung EA, Kim HJ, Sim SB and Kim JW. (2000). Quality evaluation of various dried roots of Rehmannia glutinosa.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gnosy. 31:130-141. 

  8. Lee CK and Seo JM. (2004). Changes of the constituents in the Rehmanniae radix preparata during processing. Journal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3:1748-1752. 

  9. Lee GB, Yang JB and Ko MS. (2006). Food Analysis. Yuhansa. Seoul, Korea. p. 175-176. 

  10. Lee SY, Yean MH, Kim JS, Lee JH and Kang SS. (2011). Phytochemical studies on Rehmanniae Radix.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gnosy. 42:127-137. 

  11. Morota T, Sasaki H, Nishimura H, Sugama K, Chin M and Mitsuhashi H. (1989). Two iridoid glycosides from Rehmannia glutinosa. Phytochemistry. 28:2149-2153. 

  12. Nishimura H, Sasaki H, Morota T, Chin M and Mitsuhashi H. (1989). Six iridoid glycosides from Rehmannia glutinosa. Phytochemistry. 28:2705-2709. 

  13. Nishimura H, Sasaki H, Morota T, Chin M and Mitsuhashi H. (1990). Six glycosides from Rehmannia glutinosa var. purpurea. Phytochemistry. 29:3303-3306. 

  14. Oshio H and Inouye H. (1981). Iridoid glycosides of Rehmannia glutinosa. Phytochemistry. 21:133-138. 

  15. Oshio H, Naruse Y and Inouye H. (1984). Quantitative analysis of iridoid glycoside of Rehmaniae radix. Shoyakugaku Zasshi. 35:291-294. 

  16. Park NK, Kim SL, Hur HS and Park CH. (2002). Development of R. radix preparata with new variety "Jiwhang 1".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14:3-39. 

  17. Sasaki H, Nishimura H, Chin M and Mitsuhashi H. (1989). Hydroxycinnamic acid esters of phenethylalcohol glycosides from Rehmannia glutinosa var. purpurea. Phytochemistry. 28:875-879. 

  18. Shih CK, Son YJ and Lee YJ. (1999). Changes in the carbohydrate contents of Rehmanniae Radix during processing. The Korean Association of Herbology. 14:1-11. 

  19. Shoyama Y, Matsumoto M and Nishioka I. (1986). Four caffeoyl glycosides from callus tissue of Rehmannia glutinosa. Phytochemistry. 25:1633-1636. 

  20. Shoyama Y, Matsumoto M and Nishioka I. (1987). Phenolic glycosides from diseased roots of Rehmannia glutinosa var. purpurea. Phytochemistry. 26:983-987. 

  21. Song DS, Woo KS, Seong NS, Kim KY, Jeong HS and Lee HB. (2007). Changes in quality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with heating conditions. Journal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6:773-778. 

  22. Takagi K, Kimura M, Harada M and Otsuka Y. (1982). Pharmacology of medicinal herbs in east asia. Nanzando company Limited. Tokyo, Japan. p.74-75. 

  23. Tang W and Eisenbrand G. (1992). Chinese drugs of plant origin. Springer-Verlag. Berlin, Germany. p.849-854. 

  24.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8). 610-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Methods for organic chemical analysis of municipal and industrial waste water. Washington, U.S. EPA. p. 849-854. 

  25. You BR, Kim HR, Kim HJ, Lee JY, Lee SY, Song MR, Park JY and Kim MR. (2011). Catalp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various cultivars of Rehmannia glutinosa. Journal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0: 481-485. 

  26. Zhang RX, Li MX and Jia ZP. (2008). Rehmannia glutinosa: Review of botany, chemistry and Pharmacology. Th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17:199-214. 

  27. Zhu Mei-fen, Hong SP, Kim CS and Lee JH. (2003). Determina-tion methods of Rehmanniae Radix by HPLC. The Korean Association of Herbology. 18:203-2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