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여성 노인의 대사증후군과 골밀도의 관련성 조사연구
Metabolic Syndrome and Bone Mineral Density among Elderly Korean Women 원문보기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3 no.2, 2011년, pp.134 - 141  

이해영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최스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lthough th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the association between osteoporosis and metabolic syndrome has remained unclear in Korean elderly women. Yet to be determined are the effect of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on osteoporosis in these subj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결과 대사증후군이 있는 여성 노인의 골밀도가 대사증후군이 없는 노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를 세부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골밀도는 공복혈당, 중성지방과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이에 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65세 이상 여성 노인에서 대사증후군과 골밀도의 관련성에대해분석하였다.연구결과대사증후군이있는노인여성에서 골밀도가 증가되는 양상을 볼 수 있었고, 대사증후군이 있는 여성 노인의 골밀도는 혈당과 중성지방의 변화와 관련이 있음을 알수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과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그들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함이며,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여성 노인에서 대사증후군과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대사증후군과 골밀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단면적조사연구(Cross-sectionalstudy)이다.
  • 이와 같이 대사증후군과 골밀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이 많이 시도되었으나 아직까지 국내에서 대사증후군의 위험인자들이 골밀도에미치는복합적영향을조사하고관련기전을보고한연구는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일개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과 골밀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에 포함되는 임상적 지표, 염증지표, 그리고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골밀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증가추세는 어떠한가? 우리나라의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2010년 11.0%이며, 2030년에는 24.3%, 2050년 38.2%로 급격히 증가하여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노인인구의 증가는 만성 질환자 비율의 증가를 의미하며, 65세 이상 노인의 만성 질환 보유율은 1998년 86.
대사증후군의 위험인자는 무엇인가?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인슐린저항성, 내당능장애, 이상지질혈증,고혈압등다양한요인들이복합적으로동반되는대사이상이다 (Vega, 2001). 폐경 이후 여성은 난소 부전상태로 인해 복부비만이 증가하고, 혈중 지질의 증가로 동맥경화 발생률이 증가하며, 혈당과 인슐린이 증가하게 되는데(Kim, Park, Ryu, & Kim, 2007), 이런 변화는 모두 대 사증후군의 위험인자이며, 골밀도의 감소와 깊은 관련이 있다.
골다공증은 무엇을 증가시키는가? 그 중 노인에서 흔히 발생하는 골다공증은 골절위험을 증가시켜 사망률과 이환율을 증가시키며 특히 폐경 후 여성에서 중요한 건강 문제 중 하나이다. 여성에 있어서 골량의 감소는 폐경 후 에스트로겐의 감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며, 최근에는 당뇨 또는 심혈관계 질환과 골밀도의 관련성이 보고되면서(Kinjo, Setoguchi, & Solomon, 2007; Leidig-Bruckner & Ziegler, 2001) 대사증후군과 골밀도의 관계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ami, S., Braga, V., & Gatti, D. (2001). Associ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serum lipid in me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6, 791-792. 

  2. Choi, S. H., & Choi-Kwon, S. (2010). The metabolic syndrome and associated life-style factors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3(1), 53-60. 

  3. Craig, C. L., Marshall, A. L., Sjostrom, M., Bauman, A. E., Booth, M. L., Ainsworth, B. E., et al. (2003).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12-country reliability and validity.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5, 1381-1395. 

  4. Cui, L. H., Shin, M. H., Chung, E. K., Lee, Y. H., Kweon, S. S., Park, K. S., et al. (2005). Associ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ies and serum lipid profiles of pre- and post-menopausal rural women in South Korea. Osteoporosis International, 16, 1975-1981. 

  5. Dekker, J. M., Girman, C., Rhodes, T., Nijpels, G., Stehouwer, C. D., Bouter, L. M., et al. (2005). Metabolic syndrome and 10-year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the Hoorn Study. Circulation, 112, 666-673. 

  6. Hernandez, J. L., Olmos, J. M., Pariente, E., Martinez, J., Valero, C., Garcia-Velasco, P., et al. (2010). Metabolic syndrome and bone metabolism: the Camargo Cohort study. Menopause, 17, 955-961. 

  7. Hwang, D. K., & Choi, H. J.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low bone mass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women. Osteoporosis International, 21, 425-431. 

  8. Jeon, S. K., Hong, H. R., Yi, K. W., Park, H. T., Shin, J. H., Lee, N. W., et al. (2010).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nopause, 16, 142-147. 

  9. Kang, H. S., Kim, J. I., Bak, W. S., Song, R. Y., Ahn, Y. H., Lee, I. O., et al. (2007). Relationship of obesity and bone mineral density in women dwelling in the community.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4, 181-187. 

  10. Kim, H. M., Park, J., Ryu, S. Y., & Kim, J. (2007). The effect of menopause on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wome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iabetes Care, 30, 701-706. 

  11. Kim, H. Y., Choe J. W., Kim, H. K., Bae, S. J., Kim, B. J., Lee, S. H., et al. (2010).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s, especially in men. Calcified Tissue International, 86, 350-358. 

  12. Kim, M., Kim, J., Bae, W., Kim, S., Lee, Y., Na, W., et al. (2011).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s intakes, dietary quality, and serum concentrations of inflammatory markers in metabolic syndrome pati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6(1), 51-61. 

  13. Kim, S. H. (2009).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 of obesity,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in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 823-935. 

  14. Kinjo, M., Setoguchi, S., & Solomon, D. H. (2007). Bone mineral density in adults with the metabolic syndrome: analysis in a population-based U. S. sample.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92, 4161-4164. 

  15. Koh, J. M., Khang, Y. H., Jung, C. H., Bae, S., Kim, D. J., Chung, Y. E., et al. (2005). Higher circulating hsCRP levels are associated with lower bone mineral density in health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evidence for a link between systemic inflammation and osteoporosis. Osteoporosis Internetional, 16, 1263-1271. 

  16. Leidig-Bruckner, G., & Ziegler, R. (2001). Diabetes mellitus a risk for osteoporosis? Experimental and Clinical Endocrinology and Diabetes, 109(Suppl 2), S493-S514. 

  17. Lipscombe, L. L., Jamal, S. A., Booth, G. L., & Hawker, G. A. (2007). The risk of hip fractures in older individuals with diabetes. Diabetes Care, 30, 835-841. 

  18. Macovey, J., Chen, J. S., Hayward, C., Williams, F. M., Sambrook, P. N. (2009). Association between serum cholesterol and bone mineral density. Bone, 44, 208-213. 

  19. Mikhail, M. B., Flaster, E., & Aloia, F. (1999). Stiffness in discrimination of patients with vertebral fractures. Osteoporosis International, 9(24), 24-28. 

  20. Park, J. C., Kweon, H. J., Oh, Y. K., Do, H. J., Oh, S. W., Lym, Y. L., et al. (2010). Association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1(1), 9-15. 

  21. Reid, I. R. (2002). Relationships among body mass, its components, and bone. Bone, 31, 547-555. 

  22. Rhee, E. J., Kim, Y. C., Lee, W. Y., Jung, C. H., Sung, K. C. Ryu, S. H., et al. (2006). Composition of insulin resistance and serum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levels according to the fasting blood glucose subgroups divided by the newly recommended criteria for the fasting hyperglycemia in 10059 healthy Koreans. Metabolism, 55(2), 183-187. 

  23. Schwartz, A. V., Sellmeyer, D. E., Strotmeyer, E. S., Tylavsky, F. A., Feingold, K. R., Resnick, H. E., et al. (2005). Diabetes and bone loss at the hip in older black and white adults.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20, 596-604. 

  24. Shin, J. H., Hwang, Y. N., Kim, W. W., Kim, H. Y., Song, S. W.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erum lipids and bone metabolism among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16(4), 162-169. 

  25. Shin, M. H., Kweon, S. S., Park, S. K. S., Heo, H., Kim, S. J., Nam, H. S., et al. (2005). Quantitative ultrasound of the calcaneus in a Korean population: reference data and relationship to bone mineral density determined by peripheral dual X-ray absorptiometry.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 1011-1016. 

  26. Sung, K. W. (2011). Relationship of Daily Activity and Biochemical Variables in the Elderly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 182-190. 

  27.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2009).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327. 

  28. Vega, G. L. (2001). Results of experts meetings: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Obesity, the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 American Heart Journal, 142, 1108-1116.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Expert Consultation. (2004). Appropriate body-mass index for asian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 strategies. Lancet, 363, 157-163. 

  30. WHO Western Pacific Regio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Health Communications Austrailia;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