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수리자료에 대한 시계열 분석 및 지하수 함양률 추정 연구
The Study on Time Series Analysis of Groundwater Data and Groundwater Recharge in Jeju Island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1 no.4 = no.70, 2011년, pp.337 - 348  

최현미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  이진용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  하규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김기표 (제주특별자치도 수자원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 지하수위, 지하수온, 전기전도도의 변동특성 및 상관관계를 평가하고 또 지하수위변동법을 이용하여 지하수 함양률을 추정하였다. 자기상관분석을 통하여 각 관정 별 수위의 지연시간과 조절시간을 산정한 결과 자기상관성은 JM안성 관정이 가장 컸다. 그라고 교차상관분석으로 전기전도도-수위, 강수량-수위, 기온-수온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전기전도도-수위는 JR서광2, 강수량-수위는 JD하모, 기온-수온은 JI원종장2가 상호연관성이 가장 높았다. 지하수 함양률과 함양량을 산정한 결과 함양률은 평균 39.61%, 함양량은 평균 1,153,490,407 $m^3/yr$으로 산정되어 기존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xamined temporal variations in and relationships among groundwater level, groundwater temperature, and electric conductivity, and estimated groundwater recharge at Jeju Island. The time lag and regulation time of groundwater level data revealed that monitoring well in Ansung (JM-AS) has the hig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조절시간은 대수증이 받은 영향이 다시 원상태로 회복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하며 조절시간이 짧을수록 영향에 대한 회복속도가 빠르다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관정별 지하수위 자료에서 결측이 없는 최대장기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전역의 수리특성을 고찰하.고 지하수 함양률 및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산정한 함양률 및 함양량은 기존의 연구 사례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비산출률의 경우 자유면 대수층에서의 비산출률과 저류계수가 같다는 가정 하에 저류 계수를 비산출률로 대신하였다. 비산출률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구민호, 이대하, 2002, 지하수위 변동법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산정의 수치해석적 분석, 지질학회지, 38(3), 407-420. 

  2. 국립수산과학원(MFRDI), 2010, 국정감사 보도자료, Accessed on October 20, 2010 

  3. 기후변화정보센터 (CCIC), 2011, 기후변화 시나리오 (www.climate.go.kr), Accessed on February 20, 2011. 

  4. 김경호, 신지연, 고은희, 고기원, 이강근, 2009, 지구온난화에 따른 제주도 근해의 해수면 상승과 제주도 동부지역 지하수의 염수대 변화, 지하수토양환경, 14(3), 68-79. 

  5. 김옥준, 1969, 제주도 수자원의 특수성과 개발방안, 광산지질, 2(1), 71-80. 

  6. 김용철, 김용제, 고기원, 문덕철, 2008, 제주 친화형 대수층 인공함양 기술, Groundwater Korea 2008, 181-197. 

  7. 김용철, 문덕철, Barry, J., 김용제, 2009, 지하수 인공함양 활용 수자원확보(제주도지역 중심으로, Groundwater Korea 2009, 201-215. 

  8. 농림부, 한국농촌공사, 2007, 제주시 제애지구 농촌지하수 관리사업 보고서, 139p. 

  9. 농림수산식품부, 한국농어촌공사, 2008, 제조지구(제주시 ) 농촌지하수관리사업 보고서, 185p. 

  10. 농림수산식품부, 한국농어촌공사, 2009a, 제한지구(제주시) 농촌지하수관리 사업보고서, 181p. 

  11. 농림수산식품부, 한국농어촌공사, 2009b, 제애.제조.제한 농촌지하수관리 보고서, 160p. 

  12. 매일신문, 지하수로 살아가는 제주, Accessed on October 25, 2010. 

  13. 문덕철, 김용철, 김용제, 고기원, 김진삼, 박원배, 2010, 제주형 지하수 인공함양 기술, Groundwater Korea 2010, 199-210. 

  14. 부성안, 정교철, 2000, 제주도 동부권역 담지하수 대수층에서의 염수침입, 지질공학, 10(2), 115-130. 

  15. 수자원공사, 1993, 제주도 수자원 종합개발 계획수립 보고서, 18-37. 

  16. 정우열, 양성기, 양성필, 안중기, 황종환, 2006, 제주도 어승생댐 소유역의 지하수 함양량 산정, 한국환경과학회 봄 학술발표회지, 15(1), 228-230. 

  17. 제주지방기상청, 2010, 제주도 상세기후특정집, 98p. 

  18. 제주특별자치도 수자원본부, 2011, 제주특별자치도 수자원본부 홈페이지, http://www.jejuwater.go.kr, Accessed on October 1, 2011. 

  19. 조광우, 2009, 해수면 상승에 따른 취약성 분석 및 효과적 대응정책 수립 : 해안침식 영향평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50p. 

  20. 최병수, 1999, 제주도 지하수의 우물 비양수량자료를 이용한 대수층상수 결정 방법, 지하수환경, 6(4), 180-187. 

  21. 최순학, 김영기, 1989, 제주도 지하수의 수질특성, 지질학회지, 25(3), 230-238. 

  22. 최순학, 1992, 제주도와 OAHU도의 지질구조 및 수자원의 특성, 지질공학, 2(1), 70-91. 

  23. 최승일, 1983, 한국 결정질암내의 지하수부존, 지질학회지, 19(2), 57-62. 

  24. 최현미, 이진용, 2010, 양구 해안분지에서의 지하수위 분포 및 강우 반응 분석, 지하수토양환경, 15(6), 1-8. 

  25. 한국농촌공사 제주도본부, 2006, 제주도의 지질, 72p. 

  26. 한정상, 한규상, 김창길, 김남종, 한찬, 1994, 제주도 지하수자원의 최적 개발가능량, 지하수환경, 1(1), 33-50. 

  27. Hagedorn, B., EI-Kadi, A.I., Mair, A., Whittier, R.E., and Ha, K., 2011, Estimating recharge in fractured aquifers of a temperature humid to semiarid volcanic island (Jeju, Korea) from water table fluctuations, and CI, CFC-12 and 3H chemistry, Journal of Hydrology, in press (doi:10.1016/j.jhydroI.2011.08.060). 

  28.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7, Summary for policy makers, Climate Change 2007,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p. 

  29. Kim, K.Y., Park, Y.S., Kim, G.P., and Park, K.H., 2009, Dynamic freshwater-saline water interaction in the coastal zone of Jeju Island, South Korea, Hydrogeology Journal, 17, 617-629. 

  30. Kim, K.Y., Seong, H., Kim, T., Park, K.H., Woo, N.C., Park, Y.S., Koh, G.W., and Park, W.B., 2006, Tidal effects on variations of fresh-saltwater interface and groundwater flow in a multilayered coastal aquifer on a volcanic island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Hydrology, 330, 525-542. 

  31. Lee, J.Y., Yi, M.J. , and Hwang D., 2005, Dependency of hydrologic responses and recharge estimates on water-level monitoring locations within a small catchment, Geosciences Journal, 9(3), 277-286. 

  32. Won, J.H., Lee, J.Y., Kim, J.W., and Koh, G.W., 2006, Groundwater occurrence on Jeju Island, Korea, Hydrogeology Journal, 14, 532-5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