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OMPSAT-2 영상과 TerraSAR-X 영상 간 자동기하보정
Automatic Registration Between KOMPSAT-2 and TerraSAR-X Images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29 no.6, 2011년, pp.667 - 675  

한유경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변영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정보연구센터) ,  채태병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정보연구센터 영상운영지원팀) ,  김용일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이종센서자료인 고해상도 KOMPSAT-2 영상과 TerraSAR-X 영상 간 자동기하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두 영상간의 x, y 방향의 초기 변위량을 MI(Mutual Information) 기법을 통해 계산한 후, 계산된 위치만큼 TerraSAR-X 영상을 이동시켜서 두 영상 간 초기 위치 차이를 최소화하였다. 초기 위치 차이가 최소화된 두 영상에서 선형정보를 추출하여 이들 간의 유사도를 판단, 매칭쌍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영상 전반에 걸쳐 고르게 분포된 매칭쌍을 추출하기 위하여, 영상 전역에 걸쳐서 동일한 크기의 격자망을 구성하여, 각 격자망에서 하나의 매칭쌍만을 추출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매칭쌍을 이용하여 선형(rigid)과 비선형(nonrigid)의 변환식이 결합된 모델을 통해 기하보정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고, 실험 결과 모든 대상지역에서 5m 이내의 RMSE 값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omatic image-to-image registration between high resolution multi-sensor images. To do this, TerraSAR-X image was shifted according to the initial translation differences of the x and y directions between images estimated using Mutual Information method. After that,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다 우수한 기하보정 결과를 얻기 위해서, 추출된 매칭쌍에 존재할 수 있는 오매칭쌍에 대한 제거 과정을 추가하거나, 두 영상에 대하여 보다 정밀한 DEM을 이용하여 정사영상을 생성한 후 에 제안 기법을 적용해 보고자 한다. 나아가 KOMPSAT-2와 TerraSAR-X 영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중센서자료에 제안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본 기법의 우수성을 검증해보고자 한다.
  • 특히 SAR 영상의 경우, 측면관측을 통해 영상이 취득되는데 따른 특성으로 기하학적 왜곡의 크기나 형태가 광학영상의 왜곡 특성과 다르므로, 고도가 높거나 고도 변화가 심한 지역이 포함된 영상을 affine transformation이나 polynomial function과 같은 선형의 변환식으로 기하보정 할 경우 이러한 왜곡을 보정하는데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기개발된 선형식과 비선형식을 결합한 형태인 전역적/국지적 변환모델식(global/local mapping function)을 적용하여 두 영상이 가지고 있는 지형적인 차이를 효과적으로 최소화하고자 하였다(한유경 등, 2011).
  • 삼각망을 과하게 구성할 경우, 그 삼각망에 내포되거나 삼각망 여러 개에 걸쳐서 존재하는 특정 객체의 형태가 심하게 왜곡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상 전역에 걸쳐서 일정한 크기의 격자망을 형성하여, 각 격자망당 하나의 매칭쌍을 추출하도록 하였다. 그림 3은 본 연구에서 수행한 격자망 생성개념을 보여준다.
  • 이는 향후 발사될 KOMPSAT- 3호와 5호를 포함한 다중센서자료의 효과적인 통합 분석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보다 우수한 기하보정 결과를 얻기 위해서, 추출된 매칭쌍에 존재할 수 있는 오매칭쌍에 대한 제거 과정을 추가하거나, 두 영상에 대하여 보다 정밀한 DEM을 이용하여 정사영상을 생성한 후 에 제안 기법을 적용해 보고자 한다. 나아가 KOMPSAT-2와 TerraSAR-X 영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중센서자료에 제안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본 기법의 우수성을 검증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의 KOMPSAT-2 영상과 TerraSAR-X 영상 간 자동기하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두 영상 간의 x, y 방향의 초기 위치 차이를 MI 기법을 통해 계산한 후, 계산된 위치만큼 TerraSAR-X 영상을 이동시켜서 두 영상 간 초기 위치 차이를 최소화 한다.
  • 반면, 매칭쌍이 존재하지 않는 영상의 외각 지역의 경우 주변 삼각망을 이용한 외삽법 (extrapolation)을 통해 변환을 수행하기 때문에 왜곡이 크게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Arévalo 등, 2008).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에 영향을 받지 않는 삼각망이 구성된 지역에 대해서만 piecewise linear function을 적용하였고, 그 외의 지역은 전역적인 affine transformation을 수행하여, 이들이 가지는 단점을 서로 효과적으로 보안함으로써 기하보정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그림 4와 같이 삼각망 외각에 존재하는 매칭쌍(빨간색으로 표시)을 이용하여 affine transformation 계수를 추정하며, 이를 이용하여 영상에서 삼각망이 구성되지 않은 지역(회색 지역)에 대한 변환을 수행하게 된다.
  • 그림 4와 같이 삼각망 외각에 존재하는 매칭쌍(빨간색으로 표시)을 이용하여 affine transformation 계수를 추정하며, 이를 이용하여 영상에서 삼각망이 구성되지 않은 지역(회색 지역)에 대한 변환을 수행하게 된다. 삼각망 외각에 존재하는 매칭쌍만을 전역적인 affine transformation 계수를 추정하는데 이용함으로써 두 변환모델 사이에 생길 수 있는 오차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모든 변환식에 대한 재배열(resampling) 기법으로는 공일차 내삽법(bilinear interpolation)을 사용하였다.
  • 여기서 빨간색 십자표시는 기준영상의 하나의 선형화소를 나타내며, 실선은 이 선형화소에 대하여 매칭 대상이 되는 기준영상의 선형화소들을 나타낸다. 원형탐색영역을 통해 점선을 제외한 실선의 선형화소들만 매칭 후보가됨으로써 매칭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비용을 줄일 뿐만 아니라 매칭 결과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기준영상의 하나의 선형화소에 대해서, 가장 작은 비용함수 값을 갖는 대상영상의 원형탐색영역 내 선형화소가 후보매칭쌍이 되며, 이때의 비용함수 값이 임계치를 넘지 않을 때를 매칭쌍으로 판단하였다.
  • 영상전역에 고르게 분포된 매칭쌍을 구하기 위한 격자망의 크기는 100×100 화소의 크기로 공통적으로 할당하였고, 각 격자망에서 가장 작은 비용함수 값을 갖는 후보매칭쌍을 최종 매칭쌍으로 추출하였다. 이렇게 설정된 임계치를 이용하여 두 대상지역에 대하여 기하보정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 특히, 영상 전반에 걸쳐 고르게 분포된 매칭쌍을 추출하기 위하여, 동일한 크기의 격자망을 구성하여, 각 격자망에서 하나의 매칭쌍만을 추출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매칭쌍을 이용하여 SAR 영상의 측면관측으로 인한 기하학적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한 선형(rigid)과 비선형(non-rigid)의 변환식이 결합된 모델을 통해 기하보정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그림 3은 본 연구에서 수행한 격자망 생성개념을 보여준다. 즉, 추출된 매칭쌍에 대해서 각 격자망에서 가장 낮은 비용함수 값을 가지는 하나의 매칭쌍만을 추출하며, 이를 통해 영상 전역에 걸쳐서 고르게 분포된 다수의 매칭쌍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 두 영상 간의 x, y 방향의 초기 위치 차이를 MI 기법을 통해 계산한 후, 계산된 위치만큼 TerraSAR-X 영상을 이동시켜서 두 영상 간 초기 위치 차이를 최소화 한다. 초기 위치 차이가 최소화된 두 영상에서 선형정보를 추출하여 이들 간의 유사도를 판단, 매칭쌍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영상 전반에 걸쳐 고르게 분포된 매칭쌍을 추출하기 위하여, 동일한 크기의 격자망을 구성하여, 각 격자망에서 하나의 매칭쌍만을 추출하도록 하였다.
  • 제안한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한 전처리로, 1,500×1,500 화소크기의 모든 영상에 대하여 2% linear stretching을 수행하였고 8bits 영상으로 변환하였다. 특히 TerraSAR-X 영상의 경우 MI 기법을 적용하고 선형정보를 추출하는데 어려움을 주는 스펙클잡음이 존재하기 때문에 Lee filter를 통해 이들의 효과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Lee, 198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상 간의 기하보정은 크게 무엇으로 나눌 수 있는가? 영상 간의 기하보정은 크게 데이터 전체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강도 기반(intensity-based) 기법과 영상에 존재하는 특징들을 이용하는 개체 기반(feature-based) 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강도 기반 기법의 경우 데이터 간 초기 지질학적 위치관계를 대략적으로 추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나, 유사도를 측정하는 연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영상 간 기하보정이란 무엇인가? 영상 간 기하보정은 두 개나 그 이상의 같은 지역에 대한 다른 시기, 다른 관점, 다른 센서에 의해서 추출된 영상을 중첩하는 과정을 말한다(Zitová 등, 2003). 일반적으로
영상 간의 기하보정 시, 강도 기반 기법의 경우 어떤 장단점이 있는가? 영상 간의 기하보정은 크게 데이터 전체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강도 기반(intensity-based) 기법과 영상에 존재하는 특징들을 이용하는 개체 기반(feature-based) 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강도 기반 기법의 경우 데이터 간 초기 지질학적 위치관계를 대략적으로 추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나, 유사도를 측정하는 연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 개체 기반 기법은 영상에서 점, 선, 면과 같은 개체를 추출하여 이들 특징을 표현하는 서술벡터 간의 유사도를 판단하여 정합을 수행하므로 지역적인 변형에 적합하고, 공간해상도 변화에도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어서, 광학영상 간 기하보정에 주로 사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한유경, 변영기, 최재완, 한동엽, 김용일 (2010), 지역적 매칭쌍 특성에 기반한 고해상도영상의 자동기하보정,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8권, 제 3호, pp. 353-359. 

  2. 한유경, 김덕진, 김용일 (2011), 선형정보를 이용한 고해상도 광학영상과 SAR 영상 간 기하보정, 대한원격탐사학회지, 대한원격탐사학회, 제 27권, 제 2호, pp. 141-150. 

  3. Arevalo, V. and Gonzalez, J. (2008),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non-rigid registration techniques on Quickbird satellite imagery,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9, No. 2, pp. 513-527. 

  4. Canny, J. (1986), A computational approach to edge detection,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 8, No. 6, pp. 679-698. 

  5. Chen, H., Arora, M. and Varshney, P. (2003), Mutual information-based registration for remote sensing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4, No. 18, pp. 3701-3706. 

  6. Dare, P. and Dowman, I. (2001), An improved model for automatic feature-based registration of SAR and SPOT images, Journal of Photogrammetry & Remote Sensing, Vol. 56, No. 1, pp. 13-28. 

  7. Goshtasby, A. (1986), Piecewise linear mapping functions for image registration, Pattern Recognition, Vol. 19, No.6, pp. 459-466. 

  8. Hong, T. and Schowengerdt, A. (2005), A robust technique for precise registration of radar and optical satellite image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Vol. 71, No. 5, pp. 585-593. 

  9. Huang, L. and Li, Z. (2010), Feature-based image registration using the shape context,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1, No. 8, pp. 2169-2177. 

  10. Lee, J. (1980), Digital image enhancement and noise filtering by use of local statistics, IEEE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 2, No. 2, pp. 165-168. 

  11. Newton, W., Gurney, C., Sloggett, D. and Dowman, I. (1995), An approach to the automated identification of forests and forest change in remotely sensed images,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Vol. 30, No. 3, pp. 607-614. 

  12. Reinartz, P., Muller, R., Schwind, P., Suri, S. and Bamler, R. (2011), Orthorectification of VHR optical satellite data exploiting the geometric accuracy of TerraSAR-X data,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Vol. 66, pp. 124-132. 

  13. Suri, S. and Reinartz, P. (2010), Mutual-information-based registration of TerraSAR-X and Ikonos imagery in urban area,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Vol. 48, No. 2, pp. 939-949. 

  14. Viola, P. and Wells, W. (1997), Alignment by maximization of mutual inform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Vol. 24, No. 2, pp. 137-154. 

  15. Zitova, B. and Flusser, J. (2003), Image registration methods: a survey, Image and Vision Computing, Vol. 21, No. 11, pp. 977-1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