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편난(大便難)을 주소로 하는 소아 환자 5례에 대한 정장요법의 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the Effects of Jungjangyobup on 5 Constipation Children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25 no.3, 2011년, pp.27 - 34  

석연희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민상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김장현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linical effects of Jungjangyobup on children's constipation. Methods: We treated the 5 case with Jungjangyobup, one of retention enema therapies with Gwakhyangjunggisan. We observed its effects since March 2010 up to November 2011. Results 4 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장요법(整腸療法)은 보류 관장의 일종으로 藿香正氣散 전탕액을 생리식염수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관장요법이다. 관장을 통해 배변을 원활하게 할 뿐 아니라 약물의 장관을 통한 흡수를 통해 下焦의 氣機를 바로 잡아 大便難에 대한 근본적 치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 본 증례에서는 2010년 3월에서 2011년 5월까지 동국대학교 한방소아과 외래에 大便難을 주소로 내원하여 기능성 변비, 과민성 대장증후군, 새는 장 증후군 등으로 의심되는 5명의 환아에 대해 각 1~3회의 정장 요법 시행을 통해 大便難 완화에 나타난 결과를 보고 하는 바이다. 대부분 증례에서 치료 직후 대변 횟수나 복통, 구토, 식욕부진 등 함께 나타난 증상에 각각 일정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증례 4>의 경우 지체 부자유한 환아의 특수성에 의해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이에 저자는 大便難을 氣亂의 관점에서 보아 2010년 3월에서 2011년 5월까지 배변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 順氣, 調氣하는 치료법으로 정장요법을 적용하여 소아 변비 치료에 유의한 효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5. 가족력 : 특이소견 없음.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변장애의 치료에 사용되는 정장요법은 무엇인가? 최근 디톡스(detox, 解 毒)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러 요법이 시도되고 있는데 한의학의 치료법 중 하나인 관장요법 역시 디톡스의 관점에서 많이 행해지며 탁음을 배출, 해독하는 효과로 주목받고 있다. 정장요법(整腸療法)은 보류 관장의 일종으로 藿香正氣散 전탕액을 생리식염수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관장요법이다. 관장을 통해 배변을 원활하게 할 뿐 아니라 약물의 장관을 통한 흡수를 통해 下焦의 氣機를 바로 잡아 大便難에 대한 근본적 치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변비는 무엇인가? 변비는 대변이 장내에 오래 머물러서 정상시의 규칙 적인 배변을 할 수 없으며 변질이 건조하여 배출하기 어려운 것으로 일반적으로 1주에 3회 미만의 배변으로 정의되는 경우가 많으나 이 외에도 굳은 변, 배변장애, 배변이 불충분한 느낌 등도 변비의 정의에 포함된다. 그 중 95%는 기질적 원인이 배제된 기능성 변비3)인데 기능성 변비의 경우 양방의 과민성 대장증후군, 새는장 증후군과도 증상이 유사한 점이 있다.
만성 변비의 원인은 무엇인가? 만성 변비의 원인은 기능상태, 해부학적 또는 생리학적 이상, 대사 또는 내분비 기능 이상 및 약물에 의한 경우 등인데 급성 변비가 적절히 치료되지 않아 발생하기도 하며 복통, 식욕부진이 동반되는 경우도 많다. 특히 배변 시의 통증은 환아가 배변 자체를 기피하게 만들어 대변을 참게 되고 이로 인하여 직장벽에 있는 신장수용기(stretch receptor)가 차츰 둔해져서 직장 벽이 이완되어1)대장의 운동성이 떨어지고 효과적인 배변이 어렵게 되는 악순환을 이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홍창의. 홍창의 소아과 9판. 서울: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7:506-9. 

  2. Jun DW, Park HY, Lee OY, et al. A population-based study on bowel habits in a Korean community: prevalence of functional constipation and self-reported constipation. 2006;51:1471-7. 

  3. 김기봉, 김덕곤, 김윤희, 김장현, 민상연, 박은정, 백정한, 유선애, 이승연, 이진용, 이해자, 장규태, 채중원, 한윤정, 한재경. 한방소아청소년의학. 서울:의성당. 2010:454-6, 460-6. 

  4. 정기욱, 명승재. 변비의 병태생리와 진단. 대한내과학회지. 2011:80(5);505-9. 

  5. 박무인, 신정은, 명승재, 허규찬, 최창환, 정성애, 최석채, 손정일, 최명규. 변비 치료에 관한 임상진료지침. Korean J Gastroenterol. 2011;57(2);100-14. 

  6. 이광재. 과민성 장증후군의 치료.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1;80(5):499-504. 

  7. 양재훈, 이준성, 홍수진, 임희혁, 황경란, 김현정, 이상호, 고봉민, 정인섭, 유창범, 김진오, 조주영, 이문성, 심찬섭, 김부성. 변비형 과민성 장증후군과 기능성 변비 환자에서 직장 감각능의 차이.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2005;11:58-65. 

  8. 전우규. 장건강 및 면역질환의 보완통합의학적 접근. Hanyang Medical Reviews. 2010;30(2):109-14. 

  9. 배승철. 금석 황제내경 영추. 서울:성보사. 1995:300-3. 

  10.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수. 비계내과학. 서울:나도. 1991:75-7. 

  11.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수. 방제학. 서울:영림사. 1999: 488-90. 

  12. 황도연. 신증방약합편. 서울:영림사, 2002:190-1. 

  13. 신재용. 방약합편해설. 서울:성보사. 1989:108. 

  14. 신동길, 김덕곤, 이진용. 비만아 9례에 대한 藿香正氣散 가미방의 치료효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1;15(1):183-94. 

  15. 안정란. 가미곽정탕의 효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서울:경희대학교대학원논문. 1993. 

  16. 김윤범, 김중호, 채병윤. 藿香正氣散과 가미방이 위장관기능 및 항알레르기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1993;14(1):9-23. 

  17. 윤희식, 유봉하, 박동원, 유기원. 藿香正氣散과 소음인藿香正氣散의 효능에 관한 실험적 비교연구. 경희대한의대논문집. 1998;21(1):197-211. 

  18. 김진성. 장세척의 한의학적 응용.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논문집. 1998;21(1):527-38. 

  19. 황치원, 변일. 내과급증의 응급처치 및 투약방법에 관한 문헌적 고찰:중풍급증을 중심으로. 혜화의학. 1994;1(3):16-45. 

  20. 임준식, 문병순. 保留灌腸을 시행한 마비성 장폐색 환자 12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999;20(1):210-21. 

  21. 彭崩, ?思華. 中藥灌腸劑的硏究槪. 江西中醫學院學報. 1996;8(3):46. 

  22. 송미선, 임은미, 김윤상, 윤정문, 이태희. 강녕탕의 경구와 직장투여의 항염증효과 비교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3):147-61. 

  23. 박지은, 문원, 남지현, 김낭희, 김성훈, 박무인, 박선자, 김규종. 생리식염수 관장 직후 혈성 설사로 발현한 허혈대장염 1례. 대한소화기학회지. 2007;50:126-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