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on the need for early screening of scoliosis. Methods : We have researched and analyzed theories and literatures of scoliosis screening program. Result :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1. Scoliosis screening should be carried 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근래에는 수술의 대상이 되지 않거나, 수술을 원하지 않는 환자들이 점차 한방병원을 찾는 경우가 늘고 있으며 척추즉만증은 조기 발견 및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이에 저자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표본으로 우리나라 청소년층의 척추관련 건강인자에 대한 기초적인 데이터를 분석하여 향후 청소년 건강증진, 질병예방, 학습능률향상 및 척추치료에 대한 한의학적 프로그램의 개발에 중요한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척추측만증의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한 이유는? 이러한 척추 측만증은 단순히 미용상의 문제일 수는 없으며, 장기 위치 이상으로 인한 기능이 강, 특히 심폐기능의 저하 및 각종 통증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4).
척추측만증이란? 척추측만증이란 해부학적인 정중앙의 축으로 부터 척추가 측방으로 만곡 혹은 편위 되어 있는 관상면상의 변형일 뿐만 아니라, 추체의 회전도 동반되어 시상면상에서도 정상적인 만곡 상태가 소실되는 3차원적인 변형을 지칭한다1).
척추측만증는 어떻게 나눌 수 있나? 척추측만증은 척주에 설상변형(Wedging), 회전변형(Rotation)등 구조적 변형이 있는 구조성 측만증(Structural Scoliosis)과 척주에는 아무런 구조적 변화가 없고 척주 이외에 다른 원인에 의해 측만증이 발생한 비구조성 측만증(Nonstryctural Scoliosis)으로 나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 서울, 군자출판사, pp4-11, 67-8, 2005. 

  2. 석세일. 척추외과학. 서울, 최신의학사, pp312-44, 2004. 

  3. 문재호, 박준수, 강연승, 배기정, 이효순, 김성기. 청소년의 책걸상 사용에 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22(3):711-6, 1998. 

  4. 한을주, 이명종. 한방 병원에서의 척추 측만증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12(4):143-54, 2001. 

  5.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서울, 최신의학사, pp436-42, 2005. 

  6. 나영무, 강성웅, 배하석. 요통환자에서 척추만곡의 분석. 대한재활의학회지, 20(3):669-74, 1996. 

  7. 김종원. 한국 중학생에서의 척추 측만증 유병율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9. 

  8. Kane WJ. Scoliosis Prevalence: A Call for a statement of terms. Clin. Orthop, pp126, 43-6, 1977. 

  9. McCarthy RE. Prevention of the complications of scoliosis by early detection. Clin. Orthop, pp222, 73-8, 1987. 

  10. 김복용, 박전한, 김풍택. 부산시내 남자 초 중 고등학생의 척추 측만증 유병율 측정을 위한 단면조사. 예방의학회지, 21:217-223, 1988. 

  11. 문재호, 강성웅, 이지선. 한국 남녀 청소년의 척추 변형에 대한 조사. 대한재활의학회지, 20(4):921-8, 1996. 

  12. Brooks HL, Azen SP. Scoliosis a prospective epidemiological study. J bone and joint surg, 57(A):968-72, 1975. 

  13. Walker AP, Dickson RA. School screening and pelvic tilt scoliosis. The Lancet, 2:152-4, 1984. 

  14. Morais T, Bemier M, Turcotte F. Age and sex specific prevalence of scoliosis and the value of school programs. Journal of public health, 75:1377-80, 1985. 

  15. Daruwalla JS, Balasubramaniam P, Chay SO, et al. Idiopathic scoliosis, Prevalence and ethic distribution in Singapore schoolchildren. J Bone Joint Surg Br, 67:182-4, 1985. 

  16. 조정현, 최장석, 조현오, 이영구. 한국 중고등학생의 척추 측만증의 발생빈도에 관한 연구 및 비교. 대한정형의과학회지, 19(2):431-5, 1984. 

  17. Park JY, Sung JH, Oh NS. Health Behavior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n Island.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3(3):87-98, 2007. 

  18. Shin YH, Ahn YH. A Mentoring Program for Stress Management among Korean Adolescen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2):259-68, 2009. 

  19. Choi YE, Kang YJ, Lee HR. Major health related problems among adolescents in Seoul area. J Korean Acad Fam Med, 21(2):175-85, 2000. 

  20. Cho KY, Park H, Seo JW.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metabolic syndrome in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11(2):150-59, 2008. 

  21. Choi JL. Effects of living and exercise habits on scoliosis of middle school girls in their growing stage. J of Physical Growth and Motor Development, 12(4):135-46, 2004. 

  22. Park E. The influencing factors on suicide attempt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J Korean acad Nurs, 38(3):456-73, 2008. 

  23. Cho SJ, Jeon HJ, Kim JK, Suh TW, Kim SU, Hahm BJ, et al. Prevalence of suicide behaviors(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and risk factors of suicide attempt in junior and high school adolesc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41(6):1142-55, 2002. 

  24. Seo SJ, Lee HY, Lee SW.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comparisons of the criteria of Cook et al., Cruz and Goran, and Ferranti et al. Yonsei Med J, 49(4):563-72, 2008. 

  25. Seo MJ, Seong JW, Sohn KJ, Ko BJ, Han JH, Kim SM.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1. J Korean Acad Fam Med, 27(10):798-06, 2006. 

  26. Ahn Hj, Yang JM, Kim DI. A study on VDT syndrome by sasang constitu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Su-won City. J korean oriental Med, 28(1):159-70, 2007. 

  27. Hong SH, Kim SH, Kang CW. A study of association betwee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in teenagers. J Korean Oriental Med, 22(4):114-20, 2001. 

  28. Seo KS, Ahn YC, Son CG. Survey for General Traits of Health-associated Factors of High school students in Daegeon city. J Korean Oriental Med, 31(4):171-77, 2010. 

  29. Suh SW, Lee SH, Hur CY, Yoo JC, Kang CS, Wang JH. Idiopathic scoliosis in korean school studentss-prevalence study. J Korean orthop Assoc, 36(1):33-7, 2001. 

  30. Lee CH. A comparison of physique, physical fitness and emotional states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spinal scoliosis. MA Thesis. Yeungnam University. 2005. 

  31. Nilsonne U, Lundgren KD. Long term prognosis in idiopathic scoliosis. Acta Orthop Scand, 39(4):456-65, 1968. 

  32. Nachermson A. A long-term follow up study of non treated scoliosis. Acta Orthop Scand, 39(4):466-76, 1968 

  33. Torell G, Nordwall A, Nachemson A. The changimg pattern of scoliosis treatment due to effective screening. J Bone Joint Surg, 63(A):337-41, 1981. 

  34. Lonstein JE, Bjorkland S, Wanninger MH, Nelson RP. Voluntary school screening for scoliosis in Minnesota. J Bone Joint Surg, 64(A):481-8, 1982. 

  35. Willner S.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iciency of different types of school screening for scoliosis. Acta Orthop Scand, 53(5):769-74, 1982. 

  36. Oda M, Rauh S, Gregory PB, Silverman FN, Bleck EE. The significance of roentgenographic measurement in scoliosis. J pediatr Orthop, 2(4):378-82, 1982. 

  37. Laulund T, Søjbjerg JO, Hørlyck E. Moire Topography in school screening for structural scoliosis. Acta Orthop Scand. 1982;53(5):765-8 

  38. Brooks HL, Azen SP, Gerberg E, Brooks RN, Chane L. Scoliosis: A prosprctive epidemiological study. J Bone Joint Surg, 57(A):968-72, 1975. 

  39. Nachemson A. Terapeutiska framsteg inomskiliosomradat. Lakartidningen, 73(11):953-61, 1976. 

  40. Adrian RL, Mark SG, Nancy EM, James AH, Benoit P. Reducing the lifetime risk of cancer from spinal radiographs among people with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Spine, 21(13):1540-8, 1995. 

  41. Theofilos K, John S, Nikolaos R, George S, Dimitrios K, Konstantinos N. Ten-year follow-up evaluation of a school screening program for scoliosis: Is the forward-bending test an accurate diagnostic criterion for the screening of scoliosis. Spine, 24(22):2318-24, 1999. 

  42. Harada Y, Takemitsu Y, Imai M: The role of contour line photography using the light cutting method and Moire photography in school screening for scoliosis. In Moire fringe topography and spinal deformity. Proceedings of an International Conference. Edited by Morealnd MS, Pope MH, Armstrong GWD. New York, Pergamon Press, pp113-121, 1981. 

  43. Adair Ⅳ, Van Wijk MC, Armstrong GWD. Moire topography in scoliosis screening. Clin Orthop, 129:165-71, 1977. 

  44. Daruwalla JS, Balasubmaniam P. Moire Topography in Scoliosis: Its Accuracy in Detecting the Site and Size of the Curve. J Bone Joint Surg, 67B(2):211-3, 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