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기발견을 통한 보존적 치료가 척추 측만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servative Treatment on Scoliosis According to Early Detection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2 no.4, 2010년, pp.65 - 71  

유재호 (삼육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정상미 (신성대학 작업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effects of conservative treatment intervention for individual with scoliosis. Methods: Studies were selected through a search of computerized databases of the literature (KERIS, 2000-2010) using "early detection", "conservative treatment", "exerci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척추 측만증에 대한 고찰을 통해 척추 측만증의 조기발견을 통해 가장 효과적이고 근거있는 보존적 치료방법을 알아보고 그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Guyatt 등29은 논문의 질적 수준 분류가 체계적 고찰(systemic review), 무작위화 대조군 연구(randomized control trial),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 test design), 사례연구(case study), 임상적 근거에 기초한 권위자의 의견(authority's opinion) 순이라고 하였으며 연구에 주요 제한점이 없고 무작위화될수록 강력한 근거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척추 측만증에 대한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척추 측만증의 조기발견을 통해 가장 효과적이고 근거있는 보존적 치료방법을 알아보고 그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국내 논문 중 한국학술정보서비스(KERIS)를 통해 ‘측만증’을 검색하였을 때 237편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이 중 20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게재된 논문은 132편이었다.
  • 또한 기존 국내에서 척추 측만증의 보존적 치료에 관한 고찰은 단 한번 이루어졌으며,12 이후 이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시행되어왔음에 최신 지견에 관한 고찰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척추 측만증에 대한 고찰을 통해 척추 측만증의 조기발견 시 가장 효과적이고 근거있는 보존적 치료방법을 알아보고 그 효과를 입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또한 Lenssinck 등5은 Cochrane, Pubmed, CINAHL, PEDro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척추 측만증의 보존적 치료 방법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무작위화 대조군 연구의 경우 겨우 3편에 불과했으며 실험군의 수도 너무 적어서 강력한 근거 자료가 되지 못한다고 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척추 측만증의 보존적 치료 논문들의 국내 현황을 검색하고 질적 수준을 파악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치료 방법들을 소개하고 그 치료 효과 유무와 정도를 판별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척추 측만증은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척추 측만증은 크게 구조적 측만증과 비구조적 측만증으로 분류하는데 구조적 측만증은 선천적이고 아직까지 원인이 정확히 규명되지 않아 특발성 측만증이라고 불리운다. 비구조적 측만증은 후천적으로 잘못된 자세 습관이 원인이 되어 형태적 이상이 있는 것으로 두 가지 모두 수술 및 보존적 치료를 요하고 악화될 시 외형에 변화를 주고 호흡 및 소화작용까지 나쁜 영향을 미친다.
구조적 측만증이 특발성 측만증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무엇인가? 척추 측만증은 크게 구조적 측만증과 비구조적 측만증으로 분류하는데 구조적 측만증은 선천적이고 아직까지 원인이 정확히 규명되지 않아 특발성 측만증이라고 불리운다. 비구조적 측만증은 후천적으로 잘못된 자세 습관이 원인이 되어 형태적 이상이 있는 것으로 두 가지 모두 수술 및 보존적 치료를 요하고 악화될 시 외형에 변화를 주고 호흡 및 소화작용까지 나쁜 영향을 미친다.
척추 측만증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어떠한 환자군에서 권장되는가? 척추 측만증의 조기 발견의 중요성은 수술적 요법에서 크게 다루어지나 성장기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고정을 이용한 수술기법들의 적용 여부는 아직까지 논란의 여지가 있어 치료 방법이 다양해짐에 따라 보존적 치료의 예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수술적 치료는 45° 이상의 cobb angle을 가지거나 심각한 회전을 동반한 환자군에서 권장되지만 개인 노력과 시간의 투자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보존적 치료의 예후는 최근 연구에 따르면 다소 논란이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Hyong IH, Kim HS, Lee SY. The effect of immediate pain and cervical ROM of cervical pain patients on stretching and manipulation. J Kor Soc Phys Ther. 2009;21(4):1-7. 

  2. Yi SJ. Oswestry low back pain disability index and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J Kor Soc Phys Ther. 2008;20(4):21-8. 

  3. Kim K, Ko JY, Lee SY.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ait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J Kor Soc Phys Ther. 2009;21(2):79-85. 

  4. Kim YK, Park SH. Comparative study on the frequency of spinal deformities of junior high age children depending on ag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2006;16(1):13-22. 

  5. Lenssinck ML, Frijlink AC, Berger MY et al. Effect of bracing and other conservative interventions in the treatment of idiopathic scoliosis in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trials. Phys Ther. 2005;85(12):1329-39. 

  6. Haasbeek JF.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Postgrad Med. 1997;101(6):207-9, 215-6. 

  7. Reamy BV, Slakey JB.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review and current concepts. Am Fam Physician. 2001;64(1):111-6. 

  8. Sapountzi-Krepia DS, Valavanis J, Panteleakis GPet al. Perceptions of body image,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adolescents wearing a Boston brace for scoliosis treatment. J Adv Nurs. 2001;35(5):683-90. 

  9. Suk SI, Yang JH, Kim IK et al. The incidence of scoliosis in Korea Part III : The incidence of scoliosis in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1980;15(1):1-6. 

  10. Lonstein JE, BJorklund S, Wanninger MH. Voluntary school screening for scoliosis in Minnesota. J Bone Joint Surg Am. 1982;64(4):481-8. 

  11. Moon JH, Park BK, Park KY. A study on the outocome of conservative treatment of scolio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1991;15(1):115-21. 

  12. Lee MS.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including promotion of self-efficacy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func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inimal scoliosis. J Kor Acad Soc Nurs Edu. 2008;14(2):282-93. 

  13. Kim YK, Kim KT. The effects of spine rehabilitation exercise on lumbar extension strength and spineposture in high school athletic. Kor J Spor Sci. 2009;18(4):1149-57. 

  14. Kim YJ, Lee JH, Kang HJ et al. The effects of kinesio-taping and correction exercise program on Cobb's angle, lumbar strength and physical fitness in university students. KACEP. 2009:443-6. 

  15. Kim K, Han JT, Lee HJ. The effects of Swiss ball exercise on scoliosis and flexibility in young adults. J Kor Spor Res. 2007;18(4):253-61. 

  16. Moon HH, Jang KT. The effect of correction exercise program on primary school students with idiopathic scoliosi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07;31:1033-41. 

  17. Moon HK, So JM, Han GS. The effect of torso rotation exercise on the alleviation of the curvature of the female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Kor J Phy Edu. 2007;46(2):441-50. 

  18. Shin SS, Song CH. The effect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the static balance of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J Kor Sports Med. 2007;25(2):165-73. 

  19. Lee HJ. The effect of biomechanical foot orthosis controlling pelvic malalignment on adolescent mild scoliosis. J Kor Sports Med. 2007;25(1):32-7. 

  20. Park GD, Lee TH, Lee WJ et al. The effect of qigong-exercise and chiropractic to girl's high school with vertebral scoliosis on Cobb's angle, Moire topography. Kor J Phy Edu. 2006;45(3):587-97. 

  21. Kim JJ, Lee JM, Shin JH. The effect of exercise on the LBP & scoliosis treatment after the TuiNa care. Kor J Spor Sci. 2005;14(2):777-87. 

  22. Lee SD. Effects of the remedy of pelvis tilting on scoliosis. J Kor Spor Res. 2005;16(4):27-39. 

  23. Jeon YN, Yang JH, Kim MS et al. The effects of Barre exercise on flexibility, balance and scoliosis improvement in high school female students with scoliosis. Kor J Phy Edu. 2005;44(1):683-91. 

  24. Cho JH, Lee WY, Kim KT et al. The effects of a regular exercise program on Cobb's angle and fitness parameters in teenagers with scoliosis. Kor J Phy Edu. 2004;43(3):1226-3028. 

  25. Yoon SH. A clinical study of Gyrotonic expansion systemprogram for the treatment of scoliosis. J Phy Grow Mot Dev. 2003;11(3):149-55. 

  26. Rhim YT, Kim SS, Yoon SJ et al.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 on change in curve in girls with mild scoliosi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03;20(2):1341-7. 

  27. Shim JH, Oh DW, Lee KW. The effects of thoracic flexibility exercise on vital capacity and chest expansion in patients with idiopathic scoliosis. KAUTPT. 2002;9(2):145-56. 

  28. Shin YI, Yang KY, Hong KE et al. Clinical study on idiopathic scoliosis with massotherapy. J Kor Acu Mox Soc. 2001;18(6):27-34. 

  29. Guyatt GH, Cook DJ, Jaeschke R et al. Grades of recommendation for antithrombotic agents: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8th Edition). Chest. 2008;133(6 Suppl):123S-131S. 

  30. Trisha GH. How to read a paper: the basic of evidence-based medicine. 3rd ed. Oxford, Blackwell Publishing Ltd, 2006. 

  31. Everett CR, Patel RK.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nonsurgical treatment in adult scoliosis. Spine(Phila Pa 1976). 2007;32(19 Suppl):S130-4. 

  32. Mamyama T, Kitagawai T, Takeshita K et al. Side shift exercise for idiopathic scoliosis after skeletal maturity. Stud Health Technol Inform. 2002;91:361-4. 

  33. Athanasopoulos S, Paxinos T, Tsafantakis E et al. The effect of aerobic training in girls with idiopathic scoliosis. Scand J Med Sci Sports. 1999;9(1):36-40. 

  34. Nachemson AL, Peterson LE. Effectiveness of treatment with a brace in girls who have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A prospective, controlled study based on data from the Brace Study of the Scoliosis Research Society. J Bone Joint Surg Am. 1995;77(6):815-22. 

  35. el-Sayyad M, Conine TA. Effect of exercise, bracing, and electrical surface stimulation on idiopathic scoliosis: a preliminary study. Int J Rehabil Res. 1994;17(1):70-4. 

  36. Tarola GA. Manipulation for the control of back pain and curve progression in patients with skeletally mature idiopathic scoliosis: two cases. J Manipulative Physiol Ther. 1994;17(4):253-7. 

  37. Blum CL. Chiropractic and pilates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adult scoliosis. J Manipulative Physiol Ther. 2002;25(4):E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