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종의 식물 추출물에 의한 백점충의 in vitro 구제효과
In vitro eliminative effects three sorts of herbal extracts of against Ichthyophthirius multifiliis 원문보기

韓國魚病學會誌= Journal of fish pathology, v.24 no.3, 2011년, pp.289 - 295  

김진도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김이청 (국립수산과학원 전략연구단) ,  정승희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서정수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박성우 (군산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3종의 식물성 추출물 및 포르말린의 시험관 내에서의 백점충에 대한 살충효과를 조사하였다. 복합생약제는 500배 희석액에서 1시간 이내에 충을 완전히 죽일수 있었으나, 여지초발효액은 100배의 희석액에서 1시간 이내에 모든 충을 죽일 수 있었다. 은행잎 추출물은 5,000배의 희석액으로 1시간 이내에 모든 충을 죽일 수 있었다. 대조약제로서 포르말린은 100ppm의 농도로 1시간 이내에 충을 모두 죽일 수 있었다. 이 결과로 은행잎 추출물이 살충효과가 가장 좋았다. 충에의 밀도에 따른 살충효과의 차이는 없었다. 또한 은행잎 추출물의 5,000배 희석액으로 2시간 동안 약욕한 후의 어류의 아가미 조직에 있어서 변화가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vitro eliminative effects of against three types of herbal extract and formalin Ichthyophthirius multifiliis were examined. All parasites were killed within one hour after exposure to the 500 fold dilution of the complex herb extract whereas the 10 fold dilution of the fertilized solution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쉽게 얻어질 수 있는 천연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무지개 송어의 백점충 구제 효과를 밝히고자 황금, 고삼, 금은화, 자소엽, 동과자 및 귤피의 6종류 생약제를 사용한 복합생약제, 여지초 및 은행잎 추출액의 백점충에 대한 시험관 내에서의 살충효과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담수어의 백점충은 무엇인가? 담수어의 백점충 (Ichthyophthirius multifiliis) 은 전세계적으로 온대 및 열대어류에 있어서 오래전부터 알려진 주요 병원성 기생충이다. 특히 양식어류에 감염되었을 시에는 짧은 시간 내에 대량폐사를 일으켜 큰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atthews, 1994).
담수어의 백점충은 어떤 경우에 단 시간 내 큰 피해를 입히는가? 담수어의 백점충 (Ichthyophthirius multifiliis) 은 전세계적으로 온대 및 열대어류에 있어서 오래전부터 알려진 주요 병원성 기생충이다. 특히 양식어류에 감염되었을 시에는 짧은 시간 내에 대량폐사를 일으켜 큰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atthews, 1994). 국내의 담수어류양식에서는 백점병에 의한 피해의 비중은 높지 않으나, 연중으로 빈발하여 고질적인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지 등, 1996).
국내의 백점병 예방 및 치료에 있는 한계는? , 2005).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백점병의 예방 및 치료에 관한 뚜렷한 대책은 아직까지 확립되지 않았으며, 수산용 포르말린이 대량폐사를 방지하기 위한 유일한 약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lberto J. V.: Applications and needs of fish and shellfish cell culture for disease control in aquaculture. Reviews in fish biology and fisheries, 13: 111-140, 2003. 

  2. Buchmann K. , Sigh J., Nielsen C. V., Dalgaard M.: Host responses against the fish parasitizing ciliate Ichthyophthirus multifiliis. Vet. Parasitol., 100: 105-116, 2001. 

  3. Ekanem, A.P., Obiekezie, A., Kloas, W., Knopf, K.: Effects of extracts of Mucana pruriens(Fabaceae) and Carica papaya (Caricaceae) against the protozoan fish parasite Ichthyophthirius multifiliis. Parasitol. Res., 92: 361-366, 2004 

  4. Ewing, M. S., Ewing, S. A. and Kokan, K. M. : Ichthyophthirius multifiliis (Ciliophora): Population studies suggest reproduction in host epithelium. J. Protozool., 35: 549-552, 1988. 

  5. Ewing M. S. and Kocan K. M.: Invasion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Ichthyophthirius multifiliis, a parasitic ciliate of Fish. Parasitology Today, 100: 204-208, 1992. 

  6. Luzardo-A'lvarez, A., Martinez-Mazagatos J., Santamarina- Ferna'ndez M. T., Otero-Espinar F. J., and Blanco-Me'ndez J. : Oral pharmacological treatments for Ichthyophthiriosis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Aquaculture, 220: 15-25, 2003 

  7. Mathews, R.A.: Parasitic Diseases of Fish, pp. 17-42, Tresaith, UK: Samara Publishing, 1994. 

  8. Ming Chao Yu, Zhuo Jia Li, Hei Zhao Lin, Guo Liang Wen, Shen Ma: Effects of dietary medicinal herbs and Bacillus on survival, growth, body composition, and digestive enzyme activity of the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Aquaculture Intl., 17: 377-384, 2009. 

  9. Paivi R. K., Mika R. , Anna-liisa M. K., Lotta-Riina S., Heikki M., and Baltonen E. T.: Treatment of ichthyophthiriasis after malachite green. I. Concrete tanks at salmonid farms. Dis. Aquat. Org., 64: 69-76, 2005. 

  10. Rajendiran A., Natarajan E., Subramanian P.: Control of Aeromonas hydrophila Infection in Spotted Snakehead, Channa punctatus, by Solanum nigrum L., a Medicinal Plant. J. World Aquaculture Soc., 39(3): 375-383, 2008. 

  11. Rasmus D. Heinecke, Kurt Buchmann: Control of Ichthyophthyrius multifiliis using a combination of water filtration and sodium percarbonate: Dose-response studies. Aquaculture. 288: 32-35, 2009 

  12. 배민종, 예은주, 김수정, 김재명, 이성태, 박은미: 여지초의 in vitro 항암효과 및 면역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J. Kor. Soc. Food Sci. Nutr., 36(4): 377-382, 2007. 

  13. 이남실, 정승희, 지보영: 생약재 5종 열수추출물의 어류 병원체에 대한 in-vitro 약효와 선택한 한 종(황 금)의 넙치에서의 항균효능과 독성시험. 한국어병학회지, 23(1): 137-143, 2010. 

  14. 이인화, 설명수, 박종대: 점박이응애(Tetranichus urticae),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과 복숭아 흑진딧물(Myzus persicae)에 대한 은행잎 추출 물의 살충 및 기피효과. J. Kor. Soc. Appl. Biol. Chem., 48(2): 150-154, 2005. 

  15. 조미라, 김진우, 김동수: 어류질병세균에 대한 천연식물 및 망태버섯 (Dicyophora indusiata) 추출물의 항균활성. 한국수산학회지, 35: 578-582, 2002. 

  16. 지보영, 김기홍, 박수일: 백점충, Ichthyophthirius multifiliis의 발달단계별 특성. 한국어병학회지, 9(1): 21-31, 1996. 

  17. 최혜승: 오배자 추출물이 어병세균에 대한 항균력 및 어류에 대한 생리반응.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pp. 3∼21,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