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보간법을 이용한 전라북도 서해안 지역의 지하수 염소이온 분석
The Analysis of Chloride Ion of Ground Water in the West Coast District of Jeollabuk-Do using Spatial Interpolation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19 no.4, 2011년, pp.23 - 33  

이근상 (전주비전대학 지적부동산과) ,  임동길 (전북도청 기획관리실) ,  최연웅 (조선이공대학 토목건설과) ,  조기성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GIS 공간보간법을 이용하여 전라북도 서해안지역의 지하수관정 염소이온 농도를 분석하였다. 특히 해수침투를 평가하기 위해 지하수관정중 검정점을 지정하였으며, 역거리가중치, 스플라인 그리고 크리깅 보간법에 의한 염소이온 농도의 오차특성 분석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으로서 첫째, 485개 지하수 관정의 염소이온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공간 보간법의 오차특성을 분석한 결과 IDW 방법이 해수침투에 의한 염소이온 농도를 추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지역의 평균 염소이온 농도를 분석한 결과, 군산시가 $541mg/{\ell}$로서 공업용수 수질기준에도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김제시와 고창군은 먹는물 수질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안군은 $272mg/{\ell}$로서 먹는물 수질기준에 약간 미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행정구역별 분석에서 군산시는 서해안에 접해 있는 대명동, 중동, 장재동, 금암동의 평균 염소이온 농도가 매우 높게 분석 되었으며, 만경강과 접해 있는 회현면과 대야면도 공업용수 수질기준에도 미달하는 등 전반적으로 해수침투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data that examined the chloride ion concentration of ground water wells in the west coast of Jeollabukdo applying the GIS spatial estimation method were analyzed. In particular, through the designation of a validation point among ground water wells and then the analysis of error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서해안 지역을 대상으로 해수침투에 의한 염소이온 농도 분포특성을 GIS 공간 보간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지하수의 염소이온 농도의 주 원인이 되는 바닷물의 염분으로 인한 영향범위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지하수 개발시 폐공발생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하수 관정에서 관측한 염소이온농도 자료를 기초로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공간 보간법을 활용한 염소이온 농도 분포특성을 평가하였다. 특히 염소이온농도 분포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 지하수 관정 중 일부관정들을 검정점(Validation Point)으로 지정하여 역거리가중치(IDW; Inverse Distance Weight), 스플라인 그리고 크리깅 등의 공간 보간법에 대한 오차분석을 통해 대상지역의 지하수 염소이온 농도 분석을 위한 적정 공간 보간법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해수침투에 의한 염소이온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군산시에 대해 읍면동별로 영역격자(Zone Grid)를 지정하여 IDW 보간법에 의한 읍면동별 염소이온 농도를 계산하였다. 또한 먹는물과 공업용수 수질기준을 구간별로 분석하여 읍면동별 점유면적을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공의 종류는 크게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폐공의 종류는 크게 지하수 개발 중 발생하는 폐공과지하수 이용 중 발생하는 폐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하수 이용 중 발생하는 폐공 사례에서 염수의 침입에 의한 폐공발생이 최근 전라북도 서해안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다.
크리깅 보간법의 특징은 무엇인가? IDW는 관측점간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가중치를 할당하는 방법이며, 스플라인은 완화곡선에 적용하여 구간별로 별도의 다항식을 채택하여 적용하는 방법이다. 또한 크리깅 보간법은 기하학적 거리에 대한 상관관계가 아니라 통계학적인 상관성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반 베리오그램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분석을 위해 먼저 485개 샘플점을 공간 보간을 위한 포인트 데이터로 지정한 후 격자 분석을 위해 ArcGIS의『Spatial Analyst』 확장팩을 이용하여 각 보간법별 공간 보간을 수행하였다.
군산시의 행정구역과 인구의 특징은 무엇인가? 군산시는 약 675km2의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기존지역이 390km2이고 새만금지역이 285km2이다. 행정구역은 1개 읍, 10개 면, 16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구는 2011년 2월 기준으로 총 273,174 명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남자는 138,743 명 그리고 여자는 134,431 명으로 조사되었다. 군산시를 비롯한 김제시, 부안군, 고창군의 면적, 세대수, 인구, 행정구역에 대한 현황은 표 1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건설교통부, 2002, "폐공관리통합지침". 

  2. 건설교통부, 2000, "지하수 정보관리시스템 유지보수 보고서", p.162. 

  3. 건설교통부, 2003, "국가지하수 정보센터 설치?운영 계획보고서", p.65. 

  4. 김경호, 장창덕, 2007, "층상 해안대수층에서 해수침투특성에 대한 정성적 고찰", 건설기술논문집, 제26권, 제2호, pp.57-70. 

  5. 김규범, 손용철, 김종욱, 김대호, 이창원, 김양희, 2006, "지하수 정보관리체계 고찰 및 Web-GIS 기반의 국가지하수정보지도 구축 모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9권, 제3호, pp.107-122 

  6. 김만규, 2001, "GIS를 이용한 지하수개발 설계지원시스템", 한국GIS학회지, 제9권, 제2호, pp.207-225 

  7. 농림수산식품부, 2008, "해수침투조사사업 보고서", p.699. 

  8. 이명재, 이진용, 목종구, 여인욱, 이강근, 박유철, 안경환, 원종호. 2007, "다중 추적자 시험을 통한 폐공의 지하수 오염가능성 평가", 대한지질학회, 제43권, 제2호, pp.241-252. 

  9. 이사로, 김용성, 원종호, 2006, "GIS 및 원격탐사를 이용한 포항시 지하수 잠재가능성도 작성 및 검증", 한국GIS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15-128. 

  10. 장정욱, 윤여진, 1995, "지하수 개발후 폐공발생시의 처리방법에 관한 연구 보고서", 대한주택공사 

  11. 전라북도 보건환경연구원, 2009, "전라북도 보건환경연구원보", 제17권, pp.151-178 

  12. 조시범, 손호웅, 2004, "지하수오염 예측을 위한 GIS 활용연구", 지구물리, 제7권, 제2호, pp.121-134. 

  13. 최선영, 황세호, 박권규, 신제현, 윤왕중, 2004, "해수침투 조사자료의 통합적 해석을 위한 GIS의 적용", 한국GIS학회지, 제12권, 제3호, pp.49-60. 

  14. 함태성, 2010, "지하수의 체계적 보전?관리를 위한 입법적 검토", 환경법연구, 제32권, 제1호, pp.475-507. 

  15. 환경부, 2001,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http://likms.assembly.go.kr/law/jsp/ LawSrch.jsp. 

  16. Bear, J., 1979, "Hydraulics of groundwater", McGraw-Hill. 

  17. Cruz, J.V. and Silva, M.O., 2000, "Groundwater salinization in Pico Island(Azores, Portugal): origin and mechanics", Environmental Geology, Vol.39, pp.1181-1189. 

  18. Fetter, C.W., 1994, "Applied Hydrogeology(3rd Ed.)", Macmillan. 

  19. Zhou, X., M. Chen, X. Ju, X. Ning and J. Wang, 2000, "Numerical simulation of sea water intrusion near Beihai, China", Environmental Geology, Vol.40, pp.223-23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