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보간법의 매개변수 설정에 따른 평균제곱근 비교 및 평가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Root Mean Square for Parameter Settings of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3 no.3, 2010년, pp.29 - 41  

이형석 (한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측정점의 값을 모델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가지 공간보간방법들의 예측오차를 비교하고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동해안 해안 지역의 표고점을 대상으로 역거리가중법, 크리깅, 지역 다항식보간법, 방사기반함수의 공간보간법과 관련된 매개변수들을 동일한 조건하에서 실행하여 평균제곱근을 산출한 결과, 단순 크리깅 방법의 원형 모델이 가장 작은 값으로 나타났다. 래스터의 연산 결과, 방사기반함수의 다중방정식에 의한 예측 지도가 대상 지역의 불규칙삼각망 표현과 일치정도가 높았다. 또한 공간보간 실행시 선택된 조건하에서 제공되는 최적 파워값을 사용하는 것이 양호한 보간 결과를 얻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prediction errors of various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used to model values at unmeasured locations was compared and the accuracy of these predictions was evaluated. The root mean square (RMS) was calculated by processing different parameters associated with spatial interpol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점 자료의 공간 보간에 역거리가 중기법, 크리깅 등의 여러 방법들을 적용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동해안 해안지역의 표고점을 선정하여 다양한 공간보간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초기 조건 및 매개변수 설정값에 따른 평균제곱근(Root Mean Square; RMS)를 산출하고 래스터 연산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일치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양호한 공간보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리통계적보간기법은 어디에 사용되는가? 전역 보간법은 전체데이터 셋을 이용하여 예측값을 계산하는 전역 다항식보간법(global polynomial interpolation) 이 있으며, 지역보간법은 실험 지역내에 작은 공간 지역인 특정 이웃값내의 측정값에서 예측 값을 계산하는 기법으로 역거리가중법, 지역다항식보간법(local polynomial interpolation), 방사기반함수(radial basis function)가 있어 측정된 점들에서 표면들을 생성한다. 지리통계적 보간법은 통계학적 및 수학적 방법에 근거하며 예측값의 오차나 불확실성을 포함하는 보다 진보된 예측 지표면 모델링을 위해 사용된다. 지리통계적보간기법인 크리깅은 측정된 점들의 통계 성분을 이용하며 측점된 점들 간의 자기상관(autocorrelation)을 정량화한다(ESRI, 2001; ESRI, 2003).
공간보간은 어떤 기법으로 나눌 수 있는가? 공간보간에는 결정론적(deterministic) 기법과 지리통계적(geostatistical) 기법으로 나뉘어진다. 결정론적 보간 기법은 수학 함수를 사용하며 전역(global) 보간과 지역(local) 보간의 두 그룹으로 분류된다.
결정론적 보간 기법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공간보간에는 결정론적(deterministic) 기법과 지리통계적(geostatistical) 기법으로 나뉘어진다. 결정론적 보간 기법은 수학 함수를 사용하며 전역(global) 보간과 지역(local) 보간의 두 그룹으로 분류된다. 전역 보간법은 전체데이터 셋을 이용하여 예측값을 계산하는 전역 다항식보간법(global polynomial interpolation) 이 있으며, 지역보간법은 실험 지역내에 작은 공간 지역인 특정 이웃값내의 측정값에서 예측 값을 계산하는 기법으로 역거리가중법, 지역다항식보간법(local polynomial interpolation), 방사기반함수(radial basis function)가 있어 측정된 점들에서 표면들을 생성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박운용, 김천영, 이현우. 2001. DTM 보간기법별 토공량 산정과 지형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9(1):39-47. 

  2. 백승아, 이태정, 김신도, 김동술. 2008. 서울지역 라돈농도의 분포예측을 위한 공간분석법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4(5):538-550. 

  3. 이동천, 배경호, 유근홍. 2009. 3차원 수치지도 생성을 위한 지형공간 데이터 모델링. 한국측량학회지 27(3):393-400. 

  4. 이민아, 이우균, 송철철, 이준학, 최현아, 김태민. 2007. 기온 및 강수량의 시공간 변화예측 및 변이성. 한국 GIS 학회지 15(3):267-278. 

  5. 이용신, 나유진, 방준세. 2009. 낙동강유역 면적 평균강우량 산정 기법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948-952쪽. 

  6. 유시동, 김홍택, 송병웅, 이형규. 2005. 지리정보시스템 및 표준관입시험 결과를 이용한 비소성 실트질 지반의 액상화 평가.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6(2):5-14. 

  7. 조홍래, 정종철. 2006. 강우자료에 대한 공간보간 기법의 적용. 한국 GIS 학회지 14(1):29-41. 

  8. 조홍래, 정종철. 2006. GIS를 이용한 연안수질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GIS 학회지 14(2):223-234. 

  9. 조홍래, 정종철. 2007. 공간보간기법을 이용한 환경자료의 지도화. 2007 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73-279쪽. 

  10. 최광희, 윤광성, 김종욱. 2006.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하논화산의 화구호 복원. 대한지리학회지 41(4):391-403. 

  11. ESRI. 2001. ArcGIS Geostatistical Analyst: Statistical Tools for Data Exploration, Modeling and Advanced Surface Generation. An ESRI White Paper pp.7-9. 

  12. ESRI. 2003. ArcGIS 9 Using ArcGIS Geostatistical Analyst. pp.300. 

  13. Naoum, S. and I.K. Tsanis. 2004. Ranking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s using a GIS-based DSS. Global Nest: the International Journal 6(1):1-20. 

  14. Skelly, W. C. 1993. Spatial interpolation: getting a realistic estimate of general circulation model precipitation. Exchange Processes at the Land Surface for a Range of Space and Time Scales(Proceedings of the Yokohama Symposium, July 1993), LAHS Publ. 212:603-6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