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정맥 애미랑재 지역의 식생구조 분석
Analysing Vegetation Structure of Aemirang Hill in the Nakdongjeongmaek, Korea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17 no.3, 2011년, pp.15 - 25  

이수동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  이승주 (한국농어촌공사)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to contribute for management and restoration as a basic study of vegetation structure in Aemirang Hill, Nakdongjeongmaek.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we set up 25 plots($100m^2$). The result of community analysis was used by TWINSPAN classific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로 인하여 백두대간이라는 용어는 익숙해졌으나 지맥인 정맥에 대한 현황연구는 현재 미비한 상태이며, 특히 낙동정맥에 대한 연구는 가지산도립공원과 특정구간에 대해 수행된 몇몇 연구결과(김인택, 1998; 김인택 등, 1996; 1997; 송유성, 1997; 백재봉 등, 2000; 김갑태 등, 2004; 신경옥, 2004; 조현서, 이수동, 2010)가 보고된 이외에는 최근에 수행된 연구결과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낙동정맥 구간 중 애미랑재를 중심으로 현황조사를 실시하여 식생구조를 밝히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정맥관리 및 복원방안 제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애미랑재 구간의 식물생태계 특성을 파악하고자 10m×10m(100㎡) 조사구 25개소를 설치하여 주요환경 인자 및 식생구조 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굴참나무군집은 굴참나무 DBH 7~74cm 구간에 30주가 고르게 출현한 반면에 신갈나무는 DBH 2~17cm 구간에 11주만이 출현하였고, 관목층에서는 72주가 분포하였다. 본 군집은 교목층 굴참나무의 세력이 우세하여 현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신갈나무군집은 DBH 7~22cm인 구간에 신갈나무가 66주 분포하였고 DBH 47~52㎝ 구간에 1주가 출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동정맥이란?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동쪽 해안선을 끼고 남쪽으로 흐르다가 내리뻗어 지리산에 이르고 있으며 태백산에서 서남쪽 소백산으로 이어지는 맥은 태백산 북쪽에서 벗어나 경북 울진의 백병산과 평해의 백암산, 영덕의 용두산, 청송의 주왕산을 지나고, 줄기차게 남쪽으로만 달려 경주의 단석산, 청도의 운문산, 언양의 가지산, 양산의 취서산, 동래의 금정산을 지나 몰운대에 이어지는데, 이것이 낙동정맥이다(송유성, 2007). 즉, 태백산 지역의 매봉산에서 남쪽으로 뻗어 경상남북도를 거쳐 부산다대포 물운대(沒芸臺)에 이르는 약 359㎞에 이르는 백두대간의 정맥 중 하나를 일컫는다(김동필 등, 2004).
애미랑재 구간의 식생 구조는 어떤 식으로 조사했나요? 식생구조는 방형구법(Quadrat Method)으로 조사하였으며 각 조사구내에 출현하는 수종을 대상으로 수관의 위치에 따라 교목, 아교목, 관목으로 구분하여 수종, 개체수 및 흉고직경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교목 및 아교목 층은 흉고직경(DBH) 2cm 이상인 수목을 대상으로 수종, 수고, 지하고, 수관폭을 조사하였고 관목층은 수고, 지하고, 수관폭을 조사하였다.
기후 변화에 의한 천이는 산림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나요? 기후변화에 의한 산림생태계의 천이영향은 산림군집 구조의 다양성을 저해하는 간접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는 생물종 다양성 및 종의 감소의 연결고리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생물종 다양성 보전과 유지가 필요한 상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국토연구원, 2001,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연구: 관리범위설정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001, 심포지엄 자료, 64. 

  2. 국토연구원, 2002a,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II: 관리방안 수립을 중심으로(2차연구), 환경부, 323. 

  3. 국토연구원, 2002b,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연구: 관리방안 중심(2차연도) 세미나, 97. 

  4. 국토연구원, 2004, 한반도 산맥체계 재정립 연구: 산줄기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29. 

  5. 국토연구원, 녹색연합, 1999, 백두대간 개념복원과 관리 방향 모색을 위한 심포지엄, 113. 

  6. 권태호, 이준우, 김동욱, 2004,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의 훼손실태와 관리방향 :남덕유산-소사고개 구간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175-183. 

  7. 권태호, 최송현, 유기준, 2002, 백두대간 관리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유역확장방식에 의한 접근,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4), 106-118. 

  8. 김갑태, 엄태원, 2004, 백두대간 자연생태계의 지역 구분을 위한 식생지수에 관한 연구: 남덕유산 - 소사고개 구간,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158-166. 

  9. 김갑태, 추갑철, 2003, 백두대간 노고단-고리봉 구간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 441-448. 

  10. 김갑태, 추갑철, 백길전, 2004, 백두대간 대덕산-금대봉 자연생태계 보전지역의 산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1), 9-17. 

  11. 김남춘, 남언정, 신경준, 2008, 백두대간 절토 비탈면의 생태복원녹화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0(4), 72-84. 

  12. 김동필, 최송현, 2004, 낙동정맥 가지산-능동산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3), 279-287. 

  13. 김인택, 1998, 가지산의 식물상, 한국생물상연구지, 3. 57-51. 

  14. 김인택, 송민섭, 이지훈, 1996, 가지산 도립공원의 식물상: I, 석남사지역, 창원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논문집, 5, 101-136. 

  15. 김인택, 송민섭, 이지훈(1997) 가지산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창원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논문집, 6: 43-72. 

  16. 박상곤, 조현제, 이창배(2009) 백두대간 마루금일대 침엽수림의 식생형과 식물상 조성, 한국임학회지, 98(4): 464-471. 

  17. 박인협, 이경재, 조재창(1988) 치악산국립공원의 삼림군집 구조-구룡사-비로봉지역을 중심으로-, 응용생태연구, 2(1): 1-8. 

  18. 박인협, 조재창, 오충현(1989) 가야산지역 계곡부와 능선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삼림구조, 응용생태연구, 3(1): 42-50. 

  19. 백재봉, 최송현, 조재우(2000) 석남사 지역의 식생경관 관리를 위한 삼림구조 분석, 한국정원학회지, 18(4): 68-76. 

  20. 산림청(1996) 백두대간 관현 문헌집, 21-77. 

  21. 산림청, 대한지리학회(1997) 백두대간의 산림실태 및 합리적인 보전방안 연구, 263-271쪽. 

  22. 산림청, 한국환경생태학회(2001) 백두대간 자연생태계 보전 및 훼손지 복원방안 조사연구, 306쪽. 

  23. 산림청, 한국환경생태학회(2002) 백두대간 자연생태계조사 및 관리방안 수립에 관한연구, 279쪽. 

  24. 산림청, 한국환경생태학회(2003) 백두대간 관리범위 설정 및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연구, 252쪽. 

  25. 송민섭(1997) 가지산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쪽. 

  26. 송유성(2007) 팔공산 파계사의 풍수지리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5쪽. 

  27. 신경옥(2004) 낙동정맥 가지산-능동산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밀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쪽. 

  28. 신준환(2004) 백두대간 관리범위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197-204 

  29. 양보경(1997) 조선시대의 '백두대간' 개념의 형성, 진단학보 83: 85-106. 

  30. 오구균, 박석곤(2002) 백두대간 피재-도래기재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330-343. 

  31. 오구균, 이정은(2003) 백두대간의 식물상, 식생, 이용 및 환경훼손에 관한 학술자료: 지리산 천왕봉부터 덕유산 향적봉 사이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 : 475-486. 

  32. 유기준(2002) 백두대간의 개념적 관리범위모형 수립을 위한 접근,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408-419. 

  33. 유기준, 권태호, 최송현(2004), 백두대간 지역의 효율적 자원관리의 방향 :남덕유산-소사고개 구간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408-419. 

  34. 이경재, 구관효, 최재식, 조현서(1991)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지리산 대원계곡의 삼림 군집구조 분석, 응용생태연구 5(1): 55-67. 

  35. 이경재, 민성환, 한봉호(1997) 설악산국립공원 주전골계곡 식물군집구조 분석, 환경생태학회지 10(2): 283-296. 

  36. 이경재, 최송현, 조재창(1992) 광릉 삼림의 식물군집구조(II)-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죽엽산 삼림의 식물군집구조 분석-, 한국식물학회지 33(3): 173-182. 

  37. 이경재, 최송현, 조현서, 이윤원(1994) 덕유산국립공원의 삼림군집구조분석-백련사-금포탄 지역을 중심으로-, 응용생태연구 7(1): 35-54. 

  38. 이동근, 송원경, 전성우, 성현찬, 손동엽(2007), 백두대간지역의 산림훼손경향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0(4): 41-53. 

  39. 이지혜, 권혜진, 전기성, 김남춘, 박관수, 송호경(2008) 백두대간 도로사면의 생태적 녹화를 위한 자생수종 선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1(4): 67-74. 

  40. 임동옥, 김용식 박양규, 유은미, 고명희(2004) 백두대간 덕유산 지역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107-123 

  41. 임업연구원(2003) 백두대간 생태계 현황 및 관리범위설정, 420쪽. 

  42. 조현서, 이수동(2010) 낙동정맥 삼척시 용소골 계곡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5): 582-590. 

  43. 조현서, 최송현(2002) 백두대간 태백산지역 백천계곡의 식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369-378. 

  44. 최송현(2002) 백두대간 청옥산지역 능선부의 식물 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344-353. 

  45. 최송현, 오구균(2003) 백두대간 정령치-복성이재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 421-432. 

  46. 최송현, 오구균, 강현미(2004) 백두대간 남덕유산-소사재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131-141. 

  47. 최송현, 이경재(1993) 북한산국립공원 삼림군집구조의 5년간 변화 연구, 응용생태연구 7(1): 35-48. 

  48. 최송현, 조현서, 김보현(2003) 백두대간 정령치-고기리 구간의 해발고에 따른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 433-440. 

  49. 추갑철, 김갑태(2004) 백두대간 수령-소사고개 구간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150-157. 

  50. 추갑철, 김갑태(2005) 백두대간 부봉-포암산 구간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2): 83-89. 

  51.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52.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53. Pielou, E.C.(1977)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Sons, N.Y. 165pp 

  54. Whittaker, R.H.(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Mountains Ecological Monographs 26: 1-80.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