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 가수분해와 발효에 의한 해조류로부터 에탄올 생산
Ethanol Production From Seaweeds by Acid-Hydolysis and Fermentation 원문보기

신재생에너지 = New & Renewable Energy, v.7 no.3, 2011년, pp.6 - 16  

나춘기 (목포대학교 환경공학과) ,  송명기 (목포대학교 환경공학과) ,  손창인 (한국환경공단 에너지사업단 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study the utilization of seaweeds as an alternative renewable feedstock for bioethanol production, their properties of hydrolysis and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The seaweeds were well hydrolyzed with diluted sulfuric acid. The weight loss of seaweeds reached 75-90%, but only 12-51%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수분해 촉매가 해조류별 에탄올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증류수, 황산 및 가성소다를 촉매로 하는 가수분해물(Fig. 1)을 대상으로 에탄올 발효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Fig.
  •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바이오매스 자원으로서 해조류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해역에서 생산되는 녹조류(파래, 청각), 갈조류 (다시마, 미역) 및 홍조류 (김, 우뭇가사리)를 대상으로 각 해조류별 가수분해 특성과 Saccharomyces cerevisiae에 의한 가수분해물의 에탄올 발효특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조류가 매우 유망한 바이오에너지 자원으로 인식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해조류는 육상식물에 비해 생산성이 높고 이산화탄소의 저감 효과가 높을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매우 유망한 바이오에너지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11). 대부분의 해조류는 육상식물과 마찬가지로 셀룰로오스계 세포벽과 전분을 주된 탄수화물 저장 화합물로 축적하고 있지만 매우 넓은 범위의 복합다당류를 포함하고 있다(12-14).
바이오에너지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중 바이오연료는 가장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바이오에너지는 재생가능하고 대체에너지의 확보, 환경개선, 원료 재배농가의 소득창출이라는 긍정적 효과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바이오에너지는 액체, 고체, 기체의 형태로 이용되고 있으며, 그 중 수송용 화석연료를 일정 부분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에탄올과 바이오디젤 등 바이오연료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해조류의 바이오에탄올 생산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등을 대상으로 가수분해공정과 효모발효 공정을 적용해 본 결과 어떤 결론을 얻을 수 있었는가? (1) 황산 촉매 가수분해에 의한 해조류의 용해율은 80∼90%로 가수분해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대체로 가수분해시간 4시간 이후에는 그 증가폭이 감소하였다. 환원당 생성량은 다시마를 제외하고는 모두 가수분해 4시간에서 최대값을 나타낸 후 감소하였다. (2) 환원당 생성량과는 달리 최대의 바이오에탄올 생산량을 얻을 수 있는 가수분해시간은 녹조류인 파래와 청각의 경우 4시간, 갈조류인 다시마와 미역의 경우 8시간, 홍조류인 김과 우뭇가사리의 경우 6∼8시간으로 나타나, 녹조류를 제외하고는 모두 최대 환원당 생성시간보다 길었다. (3) 해조류 가수분해물의 에탄올 발효는 순수 단당류인 글루코오스에 비해 지연되었으며, 적정 에탄올 발효시간은 녹조류 48시간, 갈조류와 홍조류 96시간이었다. (4) 해조류 가수분해물의 바이오에탄올 생산량은 환원당으로부터 전환될 수 있는 이론적 생산 가능량에 비해 1.5∼4배 이상 많아 환원당 생성량만으로 해조류의 바이오에탄올 생산성을 평가할 수 없었다. 이는 해조류를 사용하는 제3세대 바이오에탄올 공정의 에탄올 생산수율이 가수분해를 통해 생성된 환원당보다는 에탄올 생산 기질로 이용 가능한 올리고당류나 만니톨과 같은 비환원당류에 의해 지배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5) 0.5N 황산 수용액을 촉매로 이용하여 130℃에서 4∼8시간 가수분해하고 S. cerevisiae를 효모로 첨가하여 35℃에서 48∼96시간 발효시키는 조건에서 건조중량당 녹조류는 138±37kg/ton, 갈조류는 258±29kg/ton, 홍조류는 343±53kg/ton의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었다. 각 해조류별 에탄올 생산수율은 김>우뭇가사리≥다시마>미역>파래>청각 순으로 높았다. (6) 이들 해조류 중 갈조류는 생산속도가 빠르고 생산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5,000kg/ha/년 이상의 바이오에탄올 생산수율을 얻을 수 있어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해양바이오매스 자원으로 가장 유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M. Balata, H. Balata, C. Oz, 2008, "Progress in bioethanol processing", Prog. Energy and Combustion Sci., Vol. 34, pp. 551-573. 

  2. P. Nigam, A. Singh, 2011, "Production of liquid biofuels from renewable resources", Prog. Energy Combust. Sci., Vol. 37, pp. 52-58. 

  3. R.E.H. Sims, W. Mabee, J.N. Saddler, M. Taylor, 2011, "An overview of second generation biofuel technologies", Bioresource Technol., Vol. 101, pp. 1570-1580. 

  4. J.P. Delgenes, R. Moletta, J.M. Navarro, 1990, "Acidhydrolysis of wheat straw and process considerations for ethanol fermentation by Pichia Stipitis Y7124", Process Biochemistry, Vol. 25, pp. 132-135. 

  5. B.K. Ahring, K. Jensen, P. Nielsen, A.B. Bjerre, A.S. Schmidt, 1996, "Pretreatment of wheat straw and conversion of xylose and xylan to ethanol by thermophilic anaerobic bacteria", Bioresource Technology, Vol. 58, pp. 107-113. 

  6. J.N. Nigam, 2001, "Ethanol production from wheat straw hemicellulose hydrolysate by Pichia stipitis", Journal of Biotechnology, Vol. 87, pp. 17-27. 

  7. B.C. Saha, L.B. Iten, M.A. Cotta, Y.V. Wu, 2005, "Dilute acid pretreatment, enzymatic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of wheat straw to ethanol", Process Biochemistry, Vol. 40, pp. 3693-3700. 

  8. Q. Hu, M. Sommerfeld, E. Jarvis, M. Ghirardi, M. Posewitz, M. Seibert, 2008, "Microalgal triacylglycerols as feedstocks for biofuel production: perspectives and advances", Plant J., Vol. 54, pp. 621-639. 

  9. X. Zhang, Q. Hu, M. Sommerfeld, E. Puruhito, Y. Chen, 2010, "Harvesting algal biomass for biofuels using ultrafiltration membranes", Bioresource Technol., Vol. 101, pp. 5297-5304. 

  10. A. Singh, P.S. Nigam, J.D. Murphy, 2011, "Renewable fuels from algae: an answer to debatable land based fuels", Bioresource Technol., Vol. 102, pp. 10-16. 

  11. M. Aresta, A. Dibenedetto, G. Barbeiro, 2005, "Utilization of macro-algae for enhanced $CO_2$ fixation and biofuels production: development of a computing software for an LCA study", Fuel. Process. Technol., Vol. 86, pp. 1679-1693. 

  12. C.S. Goh, K.T. Lee, 2010, "Conceptual macroalgaebased thirdgeneration bioethanol (TGB) biorefinery in Sabah, Malaysia as an underlay for renewabl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Renew. Sustain. Energy Rev., Vol. 14, pp. 842-848. 

  13. G. Guerriero, J. Fugelstad, V. Bulone, 2010, "What do we really know about cellulose biosynthesis in higher plant?", J. Integrative Plant Biology, Vol. 52, pp. 161-175. 

  14. K. Okuda, K. Oka, A. Onda, K. Kajiyoshi, M. Hiraoka, K. Yanagisawa, 2008, "Hydrothermal fractional pretreatment of sea algae and its enhanced enzymatic hydrolysis", J. Chem. Technol. Biot., Vol. 83, pp. 836-841. 

  15. S.J. Horn, I.M. Aasen, K. Ostgaard, 2000, "Production of ethanol from mannitol by Zymobacter palmae", J. Ind. Microbiol. Biotechnol., Vol. 24, pp. 51-57. 

  16. 이성목, 이재화, 2010, "산 농도 및 염 농도가 다시마 에탄올 발효에 미치는 영향", Appl. Chem. Eng., Vol. 21, pp. 154-161. 

  17. X. Wang, X. Liu, G. Wang, 2011, "Two-stage hydrolysis of invasive algal feedstock for ethanol fermentation", J. Integrative Plant Biology, Vol. 53, pp. 246-252. 

  18. G.L. Miller,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the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s", Anal. Chem., Vol. 31, pp. 426-428. 

  19. M. Chen, J. Zhao, L. Xia, 2009, "Comparison of four different chemical pretreatments of corn stover for enhancing enzymatic digestibility", Biomass and Bioenergy, Vol. 33, pp. 1381-1385. 

  20. Van Groenestijn J., Hazewinkel O., Bakker R., 2006, "Pretreatment of lignocellulose with biological acid recycling (Biosulfurol process)", Zuckerindustrie, Vol. 131, pp. 639-641. 

  21. L. Dawson, R. Boopathy, 2008, "Cellulosic ethanol production from sugarcane bagasse without enzymatic saccharification", Bio. Resour. Vol. 3, pp. 452-460. 

  22. S. Abedinifar, K. Karimi, M. Khanahmadi, M.J. Taherzadeh, 2009, "Ethanol production by mucor indicus and rhizopus oryzae from rice straw by separate hydrolysis and fermentation", Biomass and Bioenergy, Vol. 33, pp. 828-833. 

  23. S.C. Rabelo, R.M. Filho, A.C. Costa, 2009, "Lime pretreatment of sugarcane bagasse for ethanol production", Appl. Biochem. Biotechnol., Vol. 153, pp. 139-150. 

  24. N. Mosier, C. Wyman, B. Dale, R. Elander, Y.Y.L.M. Holtzapple, M. Ladisch, 2005, "Features of promising technologies for pretreatment of lignocellulosic biomass", Bioresource Technol., Vol. 96, pp. 673-686. 

  25. E. Percival, 1979, "The polysaccharides of green, red and brown seaweeds: Their basic structure, biosynthesis and functions", British Phycological Journal, Vol. 14, pp. 103-117. 

  26. J. Arne, 1993, "Present and future needs for algae and algal products", Hydrobiologia, Vol. 260, pp. 15-23. 

  27. 류정곤, 조정희, 김대영, 2009, "해조류 바이오산업화를 위한 전략 및 정책방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정책연구자료. 

  28. L. Ge, P. Wang, H. Mou, 2011, "Study on saccharification techniques of seaweed wastes for the transformation of ethanol", Renewable Energy, Vol. 36, pp. 84-89. 

  29. R. Harun, M.K. Danquah, 2011, "Influence of acid pre-treatment on microalgal biomass for bioethanol production", Process Biochemistry, Vol. 46, pp. 304- 309. 

  30. P. Polycarpou, 2009, "Bioethanol production from Asphodelus aestivus", Renewable Energy, Vol. 34, pp. 2525-2527. 

  31. K. Ohgren, R. Bura, G. Lesnicki, J. Saddler, G. Zacchi, 2007, "A comparison between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and separate hydrolysis and fermentation using steam-pretreated corn stover", Process Biochemistry, Vol. 42, pp. 834-839. 

  32. S. Kim, B.E. Dale, 2004, "Global potential bioethanol production from wasted crops and crop residues", Biomass and Bioenergy, Vol. 26, pp. 361-375. 

  33. 김경수, 2007, "해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생산 타당성 연구", GOVP1200819997, 산업자원부.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