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강나무 목부를 80% methanol로 추출, 농축하였으며, 얻어진 추출물을 ethyl acetate (EtOAc), butanol (n-BuOH) 및 $H_2O$로 분배, 추출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과 n-BuOH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 octadecyl silica gel (ODS)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수행하여 2종의 lignan과 3종의 flavonoid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화합물의 구조는 NMR, MS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asarinin (1), (+)-catechin (2), (-)-epicatechin (3), hyperin (4) 및 nudiposide (5)로 구조 동정하였다. Asarinin (1)과 nudiposide (5)는 생강나무에서 이번에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em woods of Lindera obtusiloba Blume were extracted in 80% aqueous methanol and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ethyl acetate (EtOAc), butanol (n-BuOH), and $H_2O$, successively. From the EtOAc and n-BuOH fractions, five compounds were isolated through the repeated si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자는 생강나무의 목부로부터 이차대사산물을 분리하고 각 물질에 대한 성분분석을 통해 생강나무로부터 기능성 화장품 및 의약품 소재로서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생강나무 목부를 methanol (MeOH)로 추출하고 용매분획 한 후 얻어진 ethyl acetate (EtOAc) 분획과 butanol (n-BuOH) 분획에 대하여 여러 가지 resin을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 실시하여 2종의 lignan과 3종의 flavonoid 화합물을 분리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강나무의 분류학적 위치는?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ume)는 녹나무과(Laur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일본, 중국에도 자생하고 있다. 높이는 약 7m이고, 수피는 흑회색이다.
생강나무는 우리나라 이외에 어느 나라에서 자생하는가?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ume)는 녹나무과(Laur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일본, 중국에도 자생하고 있다. 높이는 약 7m이고, 수피는 흑회색이다.
생강나무의 수피는 무슨 색인가?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ume)는 녹나무과(Laur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일본, 중국에도 자생하고 있다. 높이는 약 7m이고, 수피는 흑회색이다. 생강나무는 황색 꽃이 잎보다 먼저 3~4월에 개화한다[Kim 등,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rung ET, Furuta S, Ishikawa H, Kusuma IW, Shimizu K, and Kondo R (2011) Anti-melanogenesis properties of quercetin- and its derivative-rich extract from Allium cepa. Food Chem 124, 1024- 1028. 

  2. Atiar Rahman MD, Katayama T, Suzuki T, and Nakagawa T (2007) Stereochemistry and biosynthesis of (+)-lyoniresinol, a syringyl tetrahydronaphthalene lignan in Lyonia ovalifolia var. elliptica I: isolation and stereochemistry of syringyl lignans and predicted precursors to (+)-lyoniresinol from wood. J Wood Sci 53, 161-167. 

  3. Bang CY, Won EK, Park KW, Lee GW, and Choung SY (2008) Antioxidant activites and whitening effect from Lindera obtusiloba BL. extract. Yakhak Hoeji 52, 355-360. 

  4. Bang MH, Song MCh, Han MW, Lee DY, Jo JK, Chung HG, Jeong TS, Lee KT, Choi MS, and Baek NI (2007)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XIX. Isolation of inhibitory compound on LDL-Oxidation from the aerial parts of Sajabalssuk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ajabalssuk).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224-227. 

  5. Choi EH, Choi JY, Lee JG, OH JS, Kim DCh, Lee HS, Son JK, Ryang SA, Kim JA, and Lee SH (2007) Isolation of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y compounds from the roots of Asarum sieboldii. Korean J Pharmacogn 38, 394-399. 

  6. Dada G, Corbani A, Manitto P, Speranza G, and Lunazzi L (1989) Lignan glycosides from the heartwood of European oak Quercus petraea, J Nat Prod 52, 1327-1330. 

  7. Hong SC, Byun SH, and Kim SS (1987) In Colored Illustrations of Trees & Shrubs in Korea. p. 89, Kye Myeong Sa, Seoul, Korea. 

  8. Inoshiri S, Sasaki M, Kohda H, Otsuka H, and Yamasaki K (1987) Aromatic glycosidesfrom Berchemia racemosa. Phytochemistry 26, 2811-2814. 

  9. Ju Y, Still CC, Sacalis JN, Li JY, and Ho CT (2001) Cytotoxic coumarins and lignans from extracts of the norhern prickly ash (Zanthoxylum americanum). Phytother Res 15, 441-443. 

  10. Kim NY, Park SJ, and Oh DH (2005) Antioxidant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effects of catechin compounds isolated from ethyl acetate fraction of grape seed ethanol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498-1502. 

  11. Kim SH, Son JH, and Lee SH (2009) Inhibitory effects of water extract of Lindera obtusiloba on the mast cell-mediated allergic inflammation. Korean J Pharmacogn 40, 233-237. 

  12. Kim TW (1996) In the Woody Plants of Korea in Color, p. 117, Kyo 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13. Kwon DJ, Kim JK, and Bae YS (2007) Essential oils from leaves and twigs of Lindera obtusiloba. J Korean For Soc 96, 65-69. 

  14. Kwon HCh, Choi SU, Lee JO, Bae KH, Zee OP, and Lee KR (1999) Two new lignans from Lindera obtusiloba Blume. Natural Products 4, 417-422. 

  15. Lee DY, Lyu HN, Kwak HY, Jung LK, Lee YH, Kim DK, Chung IS, Kim SH, and Baek NI (2007) Isolation of flavonoids from the fruits of Cornus kousa Burg. J Appl Biol Chem 50, 144-147. 

  16. Lee JO, Oak MH, Jung SH, Park DH, Cyril Auger, Kim KR, Lee SW, and Valerie SK (2011) An ethanolic extract of Lindera obtusiloba stems causes NO-mediated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s in rat aortic rings and prevents angiotensin II-induced hypertension and endothelial dysfunction in rats. Naunyn-Schmied Arch Parmacol 383, 635-645. 

  17. Lee KY, Kim SH, Jeong EJ, Park JH, Kim SH, Kim YCh, and Sung SH (2010) New secoisolariciresinol derivatives from Lindera obtusiloba stems and their neuroprotective activities. Planta Medica 76, 294-297. 

  18. Lee SH, Kim BK, Cho SH, and Shin KH (2002) Phyto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fruit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Arch Pharm Res 25, 280-284. 

  19. Lee TchB (2003) In Coloured Flora of Korea, p. 403, Hyang Mun Sa, Seoul, Korea. 

  20. Luo L, Sun Q, Mao YY, Lu YH, and Tan RX (2004) Inhibitory effects of flavonoids from Hypericum perforatum on nitric oxide synthase. J Ethanopharmacol 93, 221-225. 

  21. Park JCh, Yu YB, and Lee JH (1996) Isolation and structure elucidation of flavonoid glycosides from Lindera obtusiloba BL.. J Korean Soc Food Nutr 25, 76-79. 

  22. Piao MJ, Kang KA, Zhang R, Ko DO, Wang ZH, You HJ, Kim HS, Kim JS, Kang SS, and Hyun JW (2008) Hyperoside prevents oxidative damage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in lung fibroblast cells via an antioxidant effect. Biochem Biophys Acta 178, 1448- 1457. 

  23. Seo KH, Baek MY, Lee DY, Shrestha S, Kang HCh, Rho YD, and Baek NI (2010) Isolation of secondary methabolites from Lindera obtusiloba Blume. Research Collection of Institute of Life Sciences & Resources 29, 24-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