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성인에서 러시안 전류와 저주파 전류 자극에 의한 근력 증가의 비교
A Comparison of Muscle Strength by Russian Current and Low Frequency Current Stimulation in Normal Adult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6 no.3, 2011년, pp.353 - 360  

김종열 (진주 성모의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muscle strength by stimulation of russian current and low frequency. Methods : The subjects were thirty young healthy volunteer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cluding russian current group(n=15) and low frequency group(n=15).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저주파 전류와 러시안 전류가 근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논문은 많이 보고가 되었지만 두 전류를 비교평가 하는 논문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정성관, 2004). 따라서 본 연구는 신체 건강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두 전류를 적용한 후에 근력측정 기기를 이용하여 평균일률과 최대염력의 변화를 기간에 따라 파악함으로써 두 전류의 자극에 따른 근력의 증가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M대학에 재학 중인 신체 건강한 성인 남녀 총 30명을 대상으로 4주 동안 12번의 러시안 전류와 저주파 전류를 자극하여 두 전류간의 근력 증가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평균일률의 경우, 러시안 전류(F=12.
  • 본 연구는 러시안 전류와 저주파 전류의 자극에 따른 근력의 증가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기 위한 전·후 통제집단설계(pretest &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이며, 연구 설계 모형은 다음과 같다(Fig 1).
  • 골격근에 반복적으로 전기자극을 적용하면 근섬유의 직경이 증가하고, 근 무게의 감소가 지연되며, 혈관신생촉진 및 모세혈관의 증가, 근 위축예방, 혈류량 증가, 골격근의 근력증가, 산소 소모량 증가, 근단백질 감소예방, 골격근의 당원함량 증가, 근섬유 형태의 변화, 신경근연접부의 운동단위 증가 등의 임상적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진유신, 2008). 이에 본 연구는 근력증가를 위한 전기자극의 방법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러시안 전류와 저주파 전류 중에 어느 쪽이 근력향상에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4주 동안 실시되었다. 연구의 결과, 평균일률의 경우에 러시안 전류와 저주파 전류 모두 자극 전과 자극 2주 후에 비해 자극 4주 후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최대 염력의 경우에도 러시안 전류와 저주파 전류 모두에서 자극 전과 자극 2주 후에 비해 자극 4주 후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력증가를 위한 전기자극의 방법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러시안 전류와 저주파 전류 중에 어느 쪽이 근력향상에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이에 본 연구는 근력증가를 위한 전기자극의 방법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러시안 전류와 저주파 전류 중에 어느 쪽이 근력향상에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4주 동안 실시되었다. 연구의 결과, 평균일률의 경우에 러시안 전류와 저주파 전류 모두 자극 전과 자극 2주 후에 비해 자극 4주 후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최대 염력의 경우에도 러시안 전류와 저주파 전류 모두에서 자극 전과 자극 2주 후에 비해 자극 4주 후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두 전류간의 평균일률과 최대염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러시안 전류에 의한 평균일률과 최대염력의 증가는 고태성(2001)이 러시안 전류 자극기를 상완이두근에 배치하고, 단속 시간 비는 1:2, 맥동기간은 250μs, 맥동빈도는 50bps로 설정한 후 1회에 15분간 주 3회씩 총 6주를 자극한 결과 유의한 근력 증가가 나타났다고 보고한 것과 일치하였다. 또한 김택연 등(2008)이 러시안 전류를 본 연구와 동일한 조건으로 설정하고 대상자가 견딜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 가시수축이 일어나는 강도로 11분 20초간 주당 3회씩 4주간의 전기자극을 하였을 때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의 시간 경과에 따라 각속도 60°/sec에서의 대퇴사두근의 평균 비트는 힘(torque)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에서 각속도 60°/sec에서 측정한 상완이두근의 근력 증가와 일치하였다. 이것은 Kots가 권장한 러시안 전류의 조건인 단속 시간비 1:5와 10분간의 자극시간이 최대의 효과를 나타내었다(Ward & Shkuratova, 2002)는 보고와는 자극 조건에 약간의 변화를 주어 실시된 것이지만 연구의 결과는 근력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손상이나 질병에서 회복 될 때 각 개인의 정상적인 근력을 되찾는 것이 필수적인 이유는? 근력(muscle strength)이란 일상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근원이며, 생체 역학적인 면에서 신체 기능을 평가 할 수 있는 기준의 하나로써(이혜영, 2005), 부하에 대하여 최대 수축력을 발휘하는 근육의 능력을 말한다(장경철, 2010). 이러한 근력은 통증, 석고고정, 관절 핀 고정, 건 절단, 인대손상, 관절질환, 척수손상 초기 및 뇌 손상 등 상위 신경원질환, 절대 침상안정 등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근육이 수축을 하지 못하면 근력 약화 및 불용성 위축(disuse atrophy)이 일어나기 때문에 손상이나 질병에서 회복 될 때 각 개인의 정상적인 근력을 되찾는 것이 필수적이다(Rutherford 등, 1990). 현재 근력증진을 위한 방법으로 운동요법과 그리고 전기자극을 이용한 방법이 있는데 Lake(1992)는 수의적 수축과 전기자극에 의한 수축의 차이점으로 수의적 수축은 TypeⅠ에서 TypeⅡ로 운동단위가 동원되지만 전기자극은 반대로 TypeⅡ에서 TypeⅠ으로 동원된다고 하였다.
근력이란? 근력(muscle strength)이란 일상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근원이며, 생체 역학적인 면에서 신체 기능을 평가 할 수 있는 기준의 하나로써(이혜영, 2005), 부하에 대하여 최대 수축력을 발휘하는 근육의 능력을 말한다(장경철, 2010). 이러한 근력은 통증, 석고고정, 관절 핀 고정, 건 절단, 인대손상, 관절질환, 척수손상 초기 및 뇌 손상 등 상위 신경원질환, 절대 침상안정 등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근육이 수축을 하지 못하면 근력 약화 및 불용성 위축(disuse atrophy)이 일어나기 때문에 손상이나 질병에서 회복 될 때 각 개인의 정상적인 근력을 되찾는 것이 필수적이다(Rutherford 등, 19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고태성. 러시안 전류자극과 점진적 저항운동이 근력 및 지구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 김택연, 원상희, 박현식. 대퇴사두근의 등척성 운동과 전기자극에 의한 근력 증가 비교.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2008;14(1):31-8. 

  3. 송영희. 기능적 전기자극기를 이용한 간헐적 고주파 교대자극과 간헐적 저주파 동시자극의 근 수축력 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4. 원광희. 전기자극과 Weigtht Training 후 인체 골격근 섬유의 조성과 근육의 기능.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5. 이상주, 이미화. 경혈지압을 병행한 운동요법이 외래 간호 인력의 피로도 및 견통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지. 2008;10(3(B)):1357-71. 

  6. 이재형. 최신 전기치료학. 서울. 대학서림. 2010 

  7. 이혜영. 슬골관절염 환자를 위한 타이치 운동, 수중운동과 자조관리프로그램의 효과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8. 장경철. 복합운동이 성장기 남.여학생의 신체조성, 근력 및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9. 정성관. 러시안 전류와 맥동 전류로 발생시킨 대퇴사두근의 근 수축력과 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0. 진유신. 신경근전기자극(NMES)이 슬관절염환자 내측광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1. 홍용. 인위적 전기자극이 비만여성의 근기능 및 운동지속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2002;11(1):119-30. 

  12. Cabric M, Appell HJ, Resic A.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f different frequencies on the myonuclei and fiber size in human muscle. Int J Sports Med. 1987;8(5):323-6. 

  13. Cabric M, Appell HJ, Resic A. Fine structural changes in electrostimulated human skeletal muscle Evidence for predominant effects on fast muscle fibres. Eur J Appl Physiol. 1988;57(1):1-5. 

  14. Delitto A, Rose SJ, Mckowen JM et al. Electrical stimulation versus voluntary exercise in strengthening thigh musculature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surgery, Phys Ther. 1988;68(5):660-3. 

  15. Galea V.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human ankle dorsi- and plantar-flexor muscles: Comparative responses during fatiguing stimulation and recovery. Eur J Appl Physiol. 2001;85(1-2):130-40. 

  16. Lake DA.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An overview and its application in the treatment of sports injuries. Sports Med. 1992;13(5):320-36. 

  17. McMiken DF, Todd-Smith M, Thompson C. Strengthening of human quadriceps muscles by 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Scand J Rehabil Med. 1983;15(1):25-8. 

  18. Rutherford OM, Jones DA, Round JM. Long lasting unilateral muscle wasting and weakness follow ing injury and immobilization. Scand J Rehabil Med. 1990;22(1):33-7. 

  19. Selkowitz DM. Improvement in isometric strength of the quadriceps femoris muscle after training with electrical stimulation. Phys Ther. 1985;65(2):186-96. 

  20. Selkowitz DM. High frequency electrical stimulation in muscle strengthening. Am J Sports Med. 1989;17(1):103-11. 

  21. Snyder-Mackler L, Delitto A, Stralka SW et al. Use of electrical stimulation to enhance recovery of quadriceps femoris muscle force production in patients follow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Phys Ther. 1994;74(10):901-7. 

  22. Ward AR, Shkuratova N. Russian electrical stimulation: the early experiments. Phys Ther. 2002;82(10):1019-30. 

  23. Westing SH, Seger JY, Thorstensson A.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eccentric and concentric torque-velocity relationships during knee extension in man. Acta Physiol Scand. 1990;140(1):17-2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