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슬괵근 유연성과 보행능력에 대한 신경가동기법, 정적 신장기법 및 수축-이완기법의 즉각적 효과 비교
Comparison the Initial Effects of Nerve Mobilization Techniques, Static Stretching and Contract-Relax on Hamstring Flexibility and Walking Ability in Post-Stroke Hemiplegia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6 no.4, 2011년, pp.369 - 379  

김용정 (주은라파스병원 재활센터) ,  김택연 (대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선엽 (대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오덕원 (대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initial effect of nerve mobilization (NM), static stretching (SS), and contract-relax (CR) techniques to find the best method in improving hamstring flexibility and gait function in patients with hemiplegia. Methods : Eleven patients with hemip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경우도 한 두 가지 기법에 중점을 둔 반면, 각 실험방법을 적용 후 유연성을 비교하고 보행 능력 변화를 관찰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게 NM기법, SS기법, CR기법이 슬괵근 유연성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즉각적인 영향을 알아보고,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의 향상을 위한 슬괵근 유연성 증진 기법을 찾아 신경학적 손상 환자들의 효율적인 재활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NM기법, SS기법, CR기법을 이용한 슬괵근 신장 실험 활동을 통해 편마비 환자의 슬괵근 유연성의 변화와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편마비 환자 11명에게 무작위 교차설계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슬괵근 신장을 위한 신장가동기법, SS기법, CR기법을 24시간 간격으로 실시하여 실험 전, 실험 직후, 실험 후 30분에 슬괵근 유연성을 PKE 검사와 SR 검사로 평가하고, TUG 검사와 10MW 검사를 통해 보행 능력을 알아본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 11명을 대상으로 신경가동(NM)기법, 정적 신장(SS)기법, 수축-이완(CR)기법 적용이 슬괵근 유연성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수동적 슬관절 신전(PKE) 검사와 좌전굴(SR) 검사, 일어나 서서 걷기(TUG) 검사, 10m 보행(10MW) 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는 무작위 교차설계 연구방법(randomized cross-over trial)을 이용하여 슬괵근 신장이 슬괵근 유연성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 방법은 환자 자신이 대조군 역할을 하여 환자 내의 분산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
  • 본 연구는 NM기법, SS기법, CR기법을 이용한 슬괵근 신장 실험 활동을 통해 편마비 환자의 슬괵근 유연성의 변화와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편마비 환자 11명에게 무작위 교차설계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슬괵근 신장을 위한 신장가동기법, SS기법, CR기법을 24시간 간격으로 실시하여 실험 전, 실험 직후, 실험 후 30분에 슬괵근 유연성을 PKE 검사와 SR 검사로 평가하고, TUG 검사와 10MW 검사를 통해 보행 능력을 알아본 연구이다. 그 결과, NM기법, SS기법, CR기법을 적용 후 PKE 검사와 SR 검사에서 슬괵근의 유연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

가설 설정

  • 첫째, 편마비 환자에게 NM기법, SS기법 그리고 CR기법을 적용하였을 때, 적용 전과 직후, 적용 30분 후에 슬괵근의 유연성과 보행 능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편마비 환자에게 적용한 세 가지의 기법간에 슬괵근의 유연성과 보행 능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편마비 환자에게 NM기법, SS기법 그리고 CR기법을 적용하였을 때, 적용 전과 직후, 적용 30분 후에 슬괵근의 유연성과 보행 능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편마비 환자에게 적용한 세 가지의 기법간에 슬괵근의 유연성과 보행 능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경가동기법이란 무엇인가? NM기법은 정상적인 근 긴장을 유지하고 운동범 위를 확보하기 위해 신경계도 적절히 신장 및 수축이 되어야 한다는 것으로(Butler, 1991), 신경 역동 성이라고도 부르며(Shacklock, 1995), 이런 기법들은 이미 100여 년 전부터 의학에서 사용되어져 왔던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Dyck, 1984). SS기법은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는 운동으로 일정시간 동안 신장된 근육의 장력을 유지시키며 근육을 천천히 늘려 최대한으로 오랫동안 견딜 수 있는 길이가 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Anderson과 Burke, 1991).
유연성이란 무엇인가? 유연성이란 근골격계가 정상적으로 기능을 발휘 하기 위해 모든 관절이 적절한 가동범위를 유지하는 능력으로(Jun과 Lee, 1992), 바른 자세 유지와 개선, 적절하고 우아한 동작의 증진, 운동 기능의 촉진과 발달, 일상생활이나 운동수행 중의 상해 예방에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Ogura 등, 2007). 슬괵근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선행 연구에는 전기치료, 능동 운동, 온열, 마사지, 정적 신장(static stretching; SS) 기법, 수축-이완(contract-relax; CR) 기법, 후 등척성 억제기법, 신경가동(nerve mobilization; NM)기법이 있다(송주영과 김수민, 2003; Barlow 등, 2007; Funk 등, 2003; Spernoga 등, 2001).
뇌졸중 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임상적 특징은 무엇인가? 이 중 뇌혈관질환에 의한 뇌졸중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고(Anderson과 Binder, 1989), 사망률은 암 다음으로 2위를 차지하고 있다(통계청, 2008). 뇌졸중 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게서 보여지는 임상적 특징들은 근 긴장도의 변화, 비정상적인 자세반사, 감각장애, 감정장애 등이다. 편마비 환자의 하지에서 나타나는 임상적인 특징은 하지의 약한 근력과 운동조절의 저하, 경직 혹은 길항근의 공동수축 및 체중지지 시 불안정성 등으로 비정상적인 보행 패턴을 보이게 된다는 것이다(Geiger 등,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김경훈. 정적, 동적,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PNF) 스트레칭 후 대퇴근(hamstring)의 유연성 유지 기간 비교 분석.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2. 김용선. 기능적인 전기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발목 배측굴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 박지원. 상지 연부조직과 가동기법이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4. 박혜상. 세 가지 유형의 스트레칭이 노인의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5. 송주영, 김수민. 수축-이완과 수동신장 기법의 단기적용이 슬괵근의 길이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 학회지. 2003;1(1):11-8 

  6. 심제명, 김병선, 하해정 등. 정적 신장과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PNF)신장기법 적용 후 슬괵근에 대한 진단 초음파를 통한 분석. 대한물리의학회지. 2008;3(2):81-8. 

  7. 윤장순. 편마비 환자의 슬건근의 근력의 차이가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사학회지. 2005;12(4):69-77. 

  8. 이창렬. 신경가동기법이 뇌졸중 환자의 족관절 저측굴근 경직에 미치는 영향. 을지의과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9. 주민, 권기준, 강성국 등. 1개 초등학교 3학년생의 슬괵근 유연성 평가.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0;12(1):73-8. 

  10.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연보. 2008. 

  11. Adler SS, Beckers D, Buck M. PNF in Practice: An illustrated guide. 3rd ed. Berlin, Springer-Verlag. 2008, 31-3. 

  12. Anderson ME, Binder MD. Spinal and supraspinal control of movement and posture. 1989, 14-6. 

  13. Anderson B, Burke, ER. Scientific, med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stretching. Clin Sports Med. 1991;10(1):63-86. 

  14. Baltaci G, Un N, Tunay V et al.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sit and reach tests for measurement of hamstring flexibility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Br J Sports Med. 2003;37(1):59-61. 

  15. Bandy WD, Irion JM, Briggler M. The effect of static stretch and dynamic range of motion training on the flexibility of the hamstring muscles.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8;27(4):295-300. 

  16. Bandy WD, Irion JM. The effect of time on static stretch on the flexibility of the hamstring muscles. Phys Ther. 1994;74:845-52. 

  17. Barlow A, Clarke R, Johnson N et al. Effect of massage of the hamstring muscles on selected electromyographic characteristics of biceps femoris during sub-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Int J Sports Med. 2007;28(3):253-6. 

  18. Brunnstrom S. Recording gait patterns of adult hemiplegic patients. Phys Ther. 1964;44(1):11-8. 

  19. Butler DS. Mobilization of the nervous system.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1991, 68-9. 

  20. Chow S, Liu J. Design and analysis of clinical trials: Concepts and methodologies. 2nd Ed. Massachusetts. Wiley interscience. 2004, 243-50. 

  21. Chaitow L. Muscle energy techniques, 3rd ed.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 2007, 111-9. 

  22. Crum RM, Anthony JC, Bassett SS et al. Populationbased norms for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by age and educational level. JAMA. 1993;269 (18):2386-91. 

  23. Deathe AB, Miller WC. The L test of functional mobility: measurement properties of a modified version of the timed "up & go" test designed for people with lower-limb amputations. Phys Ther. 2005;85(7):626-35. 

  24. Dyck P. Lumbar nerve root: The enigmatic eponyms. Spine. 1984;9(1):3-6. 

  25. Funk DC, Swank AM, Mikla BM et al. Impact of prior exercise on hamstring flexibility: A comparison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nd static stretching. J Strength Cond Res. 2003;17 (3):489-92. 

  26. Geiger RA, Allen JB, O'Keefe J et al. Balance and mobility following stroke: Effects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with and without biofeedback/force plate training. Phys Ther. 2001;81(4):995-1005. 

  27. Handel M, Horstmann T, Dickhuth HH et al. Effects of contract-relax stretching training on muscle performance in athletes. Eur J Appl Physiol Occup Physiol. 1997;76(5):400-8. 

  28. Herrington, L. Effect of different neurodynamic mobilization techniques on knee extension range of motion in the slump position. J Man Manip Ther. 2006;14(2):101-7. 

  29. Heyward VH. Advanced fitness assessment and exercise prescription (2ed). Champaign Illinois. Human Kinetics Books. 1991, 215-29. 

  30. Jun KK, Lee MK. Preliminary development korean version of CES-D. J Korean Clin Psycho. 1992;11(1):65-79. 

  31. Kendall FP, McCreary EK, Provence PG.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4th eds. Baltimore. Williams & Willkins. 1993, 38-48. 

  32. Lee GP, Ng GY. Effects of stretching and heat treatment on hamstring extensibility in children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and hypertonia. Clin Rehabil. 2008;22(9):771-9. 

  33. Millesi H. The nerve gap. Hand Clin. 1986;2:651-63. 

  34. Nee RJ, Butler D. Management of peripheral neuropathic pain: Integrating neurobiology, neurodynamics, and clinical evidence. Phys Ther Sport. 2006;7:36-49. 

  35. Ng SS, Hui-Chan CW. The timed up and go test: Its reliability and association with lower-limb impairments and locomotor capacities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5;86(8):1641-7. 

  36. Ogura Y, Miyahara Y, Naito H et al. Duration of static stretching influences muscle force production in hamstring muscles. J Strength Cond Res. 2007;21(3):788-92. 

  37.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and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38. Pohl M, Mehrholz J, Ritschel C et al. Speed-dependent treadmill training in ambulatory hemiparetic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005;36(5):932-933. 

  39. Sahrmann SA. Does postural assessment contribute to patient care?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2;32(8):376-79. 

  40. Shacklock M. Neurodynamics. Physiotherapy. 1995;81(1):9-16. 

  41. Spernoga SG, Uhl TL, Arnold BL et al. Duration of maintained hamstring flexibility after a onetime modified hold-relax stretching protocol. J Athl Train. 2001;36(1):44-8. 

  42. Sullivan MK, Dejulia JJ, Worrell TW. Effect of pelvic position and stretching method on hamstring muscle flexibility. Med Sci Sports Exerc. 1992;24(12):1383-9. 

  43. Tombaugh TN, McIntyre NJ.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 comprehensive review. J Am Geriatr Soc.1992;40(9):922-35. 

  44. Turnbull G, Charteris J, Wall JC. A comparison of the range of walking speeds between normal and hemiplegic subjects. Scand J Rehabil Med. 1995;27(3):175-82. 

  45. Wandel A, Jørgensen Hn HNakayama H et al. Prediction of walking function in stroke patients with initial initi extremity paralysis: The Copenhagen Stroke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0;81(6):736-8. 

  46. Warburton DER, Gledhill N, Quinney A. Musculoskeletal fitness and health. Can J Appl Physiol. 2001;26(2):217-37. 

  47. Webright WG, Randolph BJ, Perrin DH. Comparison of nonballistic active knee extension in neural slump position and static stretch techniques on hamstring flexibility.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7;26(1):7-13. 

  48. Wolfson L, Judge J, Whipple R et al. Strength is a major factor in balance, gait, and the occurrence of fall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1995;50:64-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