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정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팔굽혀 펴기 시 상지 근활성도와 운동학적 변수간의 상관분석
Relationship between Muscle Activity and Kinematic Variables of the Upper Extremity during a Push-up Task on Stable and Unstable Surface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3 no.2, 2011년, pp.7 - 15  

윤정규 (남서울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cle activity and kinematic variables of the upper extremity during a push-up task on stable and unstable surfaces. Methods: We recruited 15 healthy subjects. Subjects completed the push-up task on stable and unstable surfaces. Surface electr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이 손보다 높이 올라간 위치에서 안정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팔굽혀 펴기 시 상지 근활성 도와 운동학적 변수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팔굽혀 펴기의 동작을 보다 학술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어깨 손상 환자들의 재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유익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발이 손보다 높이 올라간 위치에서 안정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팔굽혀 펴기 시 상지 근활성도와 운동학적 변수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지지면의 특성을 달리하여 팔굽혀 펴기 시 상지 근활성도와 운동학적 변수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사전실험을 통해 팔굽혀 펴기를 실시해 본 결과 여성들의 신체적 특성상 연구과제를 수행하기 어려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정된 지지면에서의 팔굽혀 펴기 운동에서 어깨 넓이에 따른 근육별 근활성도 순서는 어떻게 되는가? 안정된 지지면에서의 팔굽혀 펴기 운동과 관련하여 An 등2은 어깨관절과 연관된 손바닥의 위치, 팔의 움직임 면, 발의 위치 그리고 중력과 연관된 팔굽혀 펴기 속도 등이 팔굽혀 펴기 시 사지의 관절내 압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안정된 지지면에서 어깨넓이 보다 넓게, 어깨넓이 만큼, 어깨넓이보다 좁게 어깨의 넓이를 조절한 조건에서 팔굽혀 펴기를 실시한 후 상지 근활성도를 연구한 Youdas 등3의 보고에 의하면 어깨 넓이를 좁게한 후 팔굽혀 펴기를 실시했을 때 근활성도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근육 별로는 위팔세갈래근(triceps brachii), 큰가슴근(pectoralis major), 앞톱니근(serratus anterior), 뒤 어깨세모근(posterior deltoid)의 순서로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안정된 지지면에서의 팔굽혀 펴기 운동에 대한 전문가의 보고는? 안정된 지지면에서의 팔굽혀 펴기 운동과 관련하여 An 등2은 어깨관절과 연관된 손바닥의 위치, 팔의 움직임 면, 발의 위치 그리고 중력과 연관된 팔굽혀 펴기 속도 등이 팔굽혀 펴기 시 사지의 관절내 압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안정된 지지면에서 어깨넓이 보다 넓게, 어깨넓이 만큼, 어깨넓이보다 좁게 어깨의 넓이를 조절한 조건에서 팔굽혀 펴기를 실시한 후 상지 근활성도를 연구한 Youdas 등3의 보고에 의하면 어깨 넓이를 좁게한 후 팔굽혀 펴기를 실시했을 때 근활성도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근육 별로는 위팔세갈래근(triceps brachii), 큰가슴근(pectoralis major), 앞톱니근(serratus anterior), 뒤 어깨세모근(posterior deltoid)의 순서로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팔굽혀 펴기는 어떤 운동으로 알려져 있는가?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일상생활에서 간단히 수행할 수 있는 운동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팔굽혀 펴기는 어깨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을 위해 어깨 기능 개선을 위한 일반적인 치료적 운동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Lunden JB, Braman JP, Laprade RFet al. Shoulder kinematics during the wall push-up plus exercise. J Shoulder Elbow Surg. 2010;19(2):216-23. 

  2. An KN, Korinek SL, Kilpela T et al. Kinematic and kinetic analysis of push-up exercise. Biomed Sci Instrum. 1990;26:53-7. 

  3. Youdas JW, Budach BD, Ellerbusch JV et al. Comparison of muscle-activation patterns during the conventional push-up and perfect. $pushup^{TM}$ exercises. J Strength Cond Res. 2010;24(12):3352-62. 

  4. Ludewig PM, Cook TM. Alterationsin shoulder kinematics and associated muscle activity in people with symptoms of shoulder impingement. Phys Ther. 2000;80(3):276-91. 

  5. McClure PW, Michener LA, Karduna AR. Shoulder function and 3-dimensional scapular kinematics in people with and without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Phys Ther. 2006;86(8):1075-90. 

  6. Decker MJ, Hintermeister RA, Faber KJ et al. Serratus anterior muscle activity during selected rehabilitation exercises. Am J Sports Med. 1999;27(6):784-91. 

  7. Tucker WS, Armstrong CW, Gribble PA et al. Scapular muscle activity in overhead athletes with symptoms of secondary shoulder impingement during closed chain exercises. Arch Phys Med Rehabil. 2010;91(4):550-6. 

  8. Tucker WS, Campbell BM, Swartz EE et al. Electromyography of 3 scapular muscl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ff link device and a standard push-up. J Athl Train. 2008;43(5):464-9. 

  9. Martins J, Tucci HT, Andrade R et al. Electromyographic amplitude ratio of serratus anterior and upper trapezius muscles during modified push-ups and bench press exercises. J Strength Cond Res. 2008;22(2):477-84. 

  10. de Araujo RC, Tucci HT, de Andrade R et al. Reliability of electromyographic amplitude values of the upper limb muscles during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with stable and unstable surfaces. J Electromyogr Kinesiol. 2009;19(4):685-94. 

  11. Lehman GJ, Gilas D, Patel U. An unstable support surface does not increase scapulothoracic stabilizing muscle activity during push up and push up plus exercises. Man Ther. 2008;13(6):500-6. 

  12. de Oliveira AS, de Morais Carvalho M, de Brum DP. Activation of the shoulder and arm muscles during axial load exercises on a stable base of support and on a medicine ball. J Electromyogr Kinesiol. 2008;18(3):472-9. 

  13. Lehman GJ, MacMillan B, MacIntyre I et al. Shoulder muscle EMG activity during push up variations on and off a Swiss ball. Dyn Med. 20065:1-7. 

  14. Park SK, Park JM, Lee JH. Effects of a push-up plus exercise program on scapular position and muscle activity in individuals with rounded shoulder posture. J Kor Soc Phys Ther. 2010;22(5):1-8 

  15. Borstad JD, Scucz K, Navalagund A. Scapula kinematic alterations following a modified push-up plus task. Hum Mov Sci. 2009;28(6):738-751. 

  16. Shumway-cook A, Woollacott MH.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3rd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35-37. 

  17. Ludewig PM, Hoff MS, Osowski EE et al. Relative balance of serratus anterior and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during push-up exercises. Am J Sports Med. 2004; 32(2):484-93. 

  18. Lear LJ, Gross MT. An electromyographical analysis of the scapular stabilizing synergists during a push-up progression.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8;28(3):146-57. 

  19. Magee DJ. Orthopedic physical assessment. 3rd ed. Philadelphia, WB Saunders, 1998:235-40. 

  20. Hong WS, Kim GW. Assessment of isometric muscle strength of shoulder girdle: a reliability study. J Kor Soc Phys Ther. 2007;19(6):17-22 

  21. Martin RM, Fish DE. Scapular winging: anatomical review, diagnosis, and treatments. Curr Rev Musculoskelet Med. 2008;1(1):1-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