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방문물리치료가 재가장애인의 일상생활동작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on Activites of Daily Living and Function in Disabled Persons Living at Home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3 no.2, 2011년, pp.61 - 68  

박승규 (대불대학교 보건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지혜영 (대불대학교 보건대학원 물리치료학전공) ,  허재원 (대불대학교 보건대학원 물리치료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ness and the necessity of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through examining performance ability and functional changes in daily life activities by investigating the life of disabled persons living at home. Methods: After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재가장애인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가정방문 물리치료 실시 후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 기능의 변화를 재가 장애인의 침상환경, 근골격계 손상과 신경계 손상,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가정방문 물리치료의 효과와 필요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재가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할 때 치료적 접근에 선행하여 침상환경의 개선을 통한 일상생활동작수행능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시행되는 재가장애인 복지서비스란 무엇이며, 목적은? 국내에서 시행되는 재가장애인 복지서비스란 노령, 질병, 장애 등의 이유로 타인의 보호를 필요로 하게 되는 경우 시설에 수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생활하면서 지역사회로부터 일상생활을 위한 서비스와 자립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받는 것으로,11 궁극적으로 환자와 그 가족이 스스로 가정에서 장기적으로 지속적으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획득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12
재활이란 무엇인가? 재활의 개념은 장애의 보충이나 보상, 치료회복과 개선, 문제의 해결과 극복으로서 장애인이 전 인간적인 복권이 이루어지도록 모든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종합적인 서비스라고 할 수 있고,6 의학적 장애인이 사회적 장애인으로 되는 것을 막는 과정으로7 장애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적절한 재활치료를 하여 기능을 최대한 회복시킴으로써, 장애인이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8 그렇기에 재활서비스는 재활의 전문성과 책임성, 사회적 통합성, 접근성 등을 고려할 때 지역사회재활이 재활의 중심이 되어야 하고, 지역사회 내에 장애인들의 거주를 가능하게 해 주는 다면적이며, 포괄적인 서비스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한다.
가정방문 물리치료서비스의 장점은 무엇인가? Han 등의 연구에서 물리치료서비스가 필요한 환자들 예를 들어 뇌· 척수 손상자, 만성질환자, 기능 장애자들 중에서 집중적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 환자에게 의사의 처방을 기초로 하여 가정이라는 생활환경 내에서 물리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13. 또한 물리치료는 뇌졸중, 뇌손상, 척수손상 외 각종 노인질환에서 퇴원 후 지속적인 치료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필요하다고 하였으며,14 가정 내에서 치료와 운동 기능회복 및 강화를 촉진하여 독립적인 생활을 획득할 수 있으며, 장애의 예방, 병원 입원기간의 단축, 가족의 한 구성원으로 가족 간 유대강화, 치료비의 절감 등을 가정방문 물리치료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15. 가정방문 물리치료의 대상자로는 Han 등13은 담당의사가 퇴원 후 물리치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환자로 규정할 수 있다고 보고하는 하였으며, Bae15는 포괄적으로 전 의료영역과 관련된다고 하였으며 특히 외과계열의 환자는 더 적극적인 접근이 우선 필요할 것이며, 내과계열의 환자일 경우에도 장기간 입원 혹은 침상생활을 한 환자일 경우 질환자체가 완쾌되었다 하더라도 근력의 약화를 예상하고 일상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운동기능 강화를 해주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0 National Disability Survey.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1:50. 

  2. An DH. Effects on improve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rough short-term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KAUTPT. 2007;14(2):53-60. 

  3. Lee SJ, Lee JK, Ryu HS. A preliminary study for expending of hospital-based home health care coverage-focused on accident inpatients who has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J Kor Acad Soc Home Care Nursing. 1999;6:5-18. 

  4. Ryu HS. Analyses on the mean length of stay of and the income effects due to early discharge days of car accident patients at the general hospital. J Korean Commun Nursing. 1999;10(1):70-9. 

  5. Byeon YC, Kim SH, Yun SY et al.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disabled persons in 2005. Korea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6. 

  6. Lee SC, Kang WY, Jo JS. Rehabilitation method. seong-won. 1992:19. 

  7. Lee HY, Park RJ, Kim JS et al. A study on the Japanese home care service. J Kor Soc Phys Ther. 2000;12(1):113-8. 

  8. Kim TG. A study on the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 system for the disabled people staying at home. Dong-A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1999. 

  9. Kim TS, Baek JS, Sin HY. The theory of welfare administration. Seoul, Dae-Young Co, 1998:411-6. 

  10. Lee KU. A study on problem and rehabilitation measure for welfare of disabled persons in rural. Chungang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1994. 

  11. Cheong YI, Kim KK, Lee C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ealth care delivery system for Gimhae city under the local autonomy system. Gimhae Develop Institute. 1997;1(1):217-55. 

  12. Jetta LF. Home care for the client who has had a CVA. Albany, Delmar Pub, 2000. 

  13. Han DW, Moon TH, Lee EM et al. Development of the system for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J Kor Soc Phys Ther. 2005;17(1):1-26. 

  14. Hwang BY, Lee EJ, Han SD. Effect of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on motor function and ADL in the persons with chronic stroke. J Kor Soc Phys Ther. 2003;15(4):319-30. 

  15. Bae SS. A strategy of the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J Kor Soc Phys Ther. 2003;15(4):180-9. 

  16. Kim JW. Path analysis of determinants influencing ADL among the adult population with cerebral pals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006;58(2):57-85. 

  17. Cheong SM. Rehabilitation, welfare of the disabled persons. 4th ed. Seoul, Chungang Gyeongjesa. 2003. 

  18. Granger CV, Albrecht GL, Hamilton BB. Outcome of comprehensive medical rehabilitation: measurement by PULSES profile and the Barthel Index. Arch Phys Med Rehabil. 1979;60(4):145-54. 

  19. Hwang SJ, Lee SY, Lee JA. The correlation of the berg balance scale, timed up & go test, and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in the elderly people. KAUTPT. 2004;11(1):27-34. 

  20. Harada N, Chiu V, Damron-Rodriguez Jet al. Screening for balance and mobility impairment in elderly individuals living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Phys Ther. 1995;75(6):462-9. 

  21. O'Sullivan SB, Schmitz TJ. Physical rehabilita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4th ed. Philadelphia, FA Davis Co, 2000.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isability Registration. Disability Policy Dept. 2009. 

  23. Loewen, S.C., Anderson, B.A.. Predictors of stroke outcome using objective measurement scales. Stroke, 1996;21(1);78-81. 

  24. Wylie CM, White BK. A measure of disability. Arch Environ Health. 1964;8:834-9. 

  25. Berg KO, Maki BE, Williams JI et al. Clinical and laboratory measures of postural balance in an elderly popul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2;73(11):1073-80. 

  26. Kottke FJ, Lehmann JF. Krusen's handbook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4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Co, 1990:876-903. 

  27. Yi CH, Park KH, Lee HJ.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of disabled persons living at home in rural community. KAUTPT. 2000;7(3):49-61. 

  28. Hwang BY. A pilot survey for the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in uiwang. J Kor Soc Phys Ther. 1999;11(2):75-80. 

  29. Kollen B, Kwakkel G, Lindeman E. Hemiplegic gait after stroke: Is measurement of maximum speed required? Arch Phys Med Rehabil. 2006;87(3):358-63. 

  30. Bae SS, Pack RJ. Rehabilitation of geriatric patient. J Kor Soc Phys Ther. 1990;2(1):95-101. 

  31. Chandler JM, Duncan PW, Studenski SA. Balance performance on the postural stress test: comparison of young adults, healthy elderly and fallers. Phys Ther. 1990;70(7):410-5. 

  32. Lee SA, Kim HA.Housing improvement for physical disabled people: team-approach.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04;12(2):1-14. 

  33. Kwon OJ, Choi JS, Ha HH. A study on residential alterations by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ly disabled.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1;17(11):19-28. 

  34. Null RL, Cherry KF. Universal design: Creative solutions for ADAcompliance. Professional Pubns Inc. 1996. 

  35. Kim HW, Ko YJ, KangSY. The relationship of MMSE to functionalImprovement in brain injured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1998;22(6):1179-84. 

  36. Lee JH. Comparison study for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and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in patients with CVA. Kyunghee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1995. 

  37. Lee EJ. Effects on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on the motor function and ADL in the persons with chronic stroke. Yong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2. 

  38. Rodriquez AA, Black PO, Kile KA et al. Gait training efficacy using a home-based practice model in chronic hemiplegia. Arch Phys Med Rehaill. 1996;77:801-805. 

  39. Kim SH. Awareness and attitudes on the introduction of a physical therapy home visiting program. Yonsei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ee. 1996. 

  40. Han DU. The degree of demand and features of service required for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ee.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