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denosine의 심장 및 혈관에 대한 약리작용
Pharmacological Action of Adenosine on the Cardiovascular System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1 no.1, 2011년, pp.6 - 13  

안형수 (동덕여자대학교 약학대학) ,  이영미 (동덕여자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olus intravenous injection of adenosine resulted the temporal decrease of systemic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 the anesthetized rats. Adenosine also resulted the persistent decrease of contractility and heart rate in the isolated spontaneously beating rat right atria. Both of the above inhib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보다 확인하고자, 내피세포에서 NO 생성을 억제하는 NAME을 전처치해 보았다. L-NAME (10-6 M)을 전처치시에도 adenosine은 10-4 M에서 35.
  • 이에 본 실험에서는 마취된 흰쥐와 흰쥐의 적출 우심방을 사용하여 adenosine의 직접작용과 간접작용에 관한 작용기전을 규명하고자 하며, 또한 혈관이완작용을 정상흰쥐와 내피세포가 일부 손상된 선천성 고혈압 흰쥐의 흉곽대동맥을 사용하여 평활근세포 및 내피세포에 대한 작용으로 각각 구분하여 ATP의 반응과 내피세포 의존성 혈관 반응성을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0) 또한, Adenosine의 혈관확장 작용이 NO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K+ channel의 open에 의한 두가지 작용에 의해 초래된다고도 하였다.11) 이러한 adenosine의 혈관이완 작용은 동물의 종, 계통, 나이, 혈관의 종류 등에 따라 동일 약물에 있어서도 반응의 차이가 크며, 또한 세포막의 수용체 및 세포내 작용기전 상의 차이가 있다. 즉, 돼지의 대동맥에서는 adenosine이 내피세포 의존성 이완반응을 보인 반면에, 흰쥐의 대동맥에서는 내피세포 비의존성 반응을 보고하였다.
  • 6) 반면에, A1 수용체와는 달리 adenosine A2A 수용체는 관상혈류를 증가시키고 심장의 수축력을 증가시킨다.7) Adenosine의 심장에서의 작용기전은 심방과 심실에서 서로 다르다. 즉, 심방의 동방결절에서는 A1 수용체에 작용하여 세포밖으로 K+의 유출을 증가시킴으로써 활동전위의 지속시간을 단축시키고 과분극을 초래하여 심박수의 감소를 직접적으로 가져올 뿐만 아니라, 또한, adenosine은 교감신경 흥분시 초래되는 세포내 cAMP를 증가를 억제하여 Ca++ 유입을 감소시키므로서 방실결절에서 자극전도를 억제하고, 불응기를 연장시킨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denosine에 의한 혈관확장작용은 어떻게 초래되는가? 한편, adenosine에 의한 혈관확장작용은 A2 수용체를 매개로 adenylate cyclase를 활성화시키므로서 초래된다. 그러나 이러한 혈관확장작용의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되고있다.
Adenosine이란? Adenosine은 세포내로 유입되어 ATP합성의 전구물질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가역적으로 ATP의 분해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는 원래 생체내 존재하는 nucleoside의 일종이다. 이들은 세포내에서 energy 자원으로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심장 및 혈관 평활근에 대해서도 직접적인 조절작용이 있다.
Adenosine은 세포내에서 어떠한 자원으로 가치가 있는가? Adenosine은 세포내로 유입되어 ATP합성의 전구물질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가역적으로 ATP의 분해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는 원래 생체내 존재하는 nucleoside의 일종이다. 이들은 세포내에서 energy 자원으로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심장 및 혈관 평활근에 대해서도 직접적인 조절작용이 있다.1) 즉, adenosine은 교감신경의 과다 흥분시 ATP로부터 생성되어 심장의 운동을 억제하고 관상혈관을 확장시켜 심근에 혈액공급을 증가시킴으로서 심장 보호작용을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Tasatargil A, Sadan G, Karasu E, Ozdem S. Changes in atrium and thoracic aorta reactivity to adenosinergic and adrenergic agonists in experimental hyperhomocysteinemia. J Cardiovasc Pharmacol 2006; 47(5): 673-9. 

  2. Urmallya VB, Pouton CW, Devine SM, Haynes JM, Warfe L, Scammells PJ, White PJ. A novel highly selective adenosine A1 receptor agonist VCP28 reduces ischemia injury in a cardiac cell line and ischemia-reperfusion injury in isolated rat hearts at concentrations that do not affect heart rate. J cardiovasc Pharmacol 2010; 56(3): 282-92. 

  3. Burnstock, G. A basis of distinguishing two types of purinergic receptors, In: Bolis L, Straub RW, eds. Cell Membrene Receptors for Drugs and Hormones. New York, Raven, 1978; 107-11. 

  4. Londos D, Cooper DMF, Schlegel W. Adenosine analog inhibit adipocyte adenylate cyclase by a GTP-dependent process:Basis for action of adenosine and methylxanthines of cyclic AMP productions and lipolysis. Proc Natl Acad Sci USA 1978; 75, 5362-67. 

  5. Van Calker D, Muller M, Hamprecht B, Adenosine regulates, via two different types of receptor, the accumulation of cyclic AMP in cultured cells. J Neurochem 1979; 33, 999-1006. 

  6. Mustafa SJ, Morrison RR, Teng B, Pelleg A. Adenosine receptors and the heart: role in regulation of coronary blood flow and cardiac electrophysiology. Handb Exp Pharmacol 2009; 193: 161-88. 

  7. Tikh EI, Fenton RA, Dobson JG Jr. Contractile effects of adenosine A1 and A2A receptors in isolated hearts. Am J Physiol heart Circ Physiol 2006; 290(1): H348-56. 

  8. Belardinelli L, Linden J, Berne R, The cardiac effects of adenosine. Prog Cardiovasc Dis 1989; 32, 73-9. 

  9. Sato A, Terata K, Miura H, Toyama K, Loberiza FR Jr, Hatoum OA, Saito T, Sakuma I, Gutterman DD. Mechanism of vasodilation to adenosine in coronary arterioles from patients with heart disease. Am J Physiol Heart Circ Physiol 2005; 288(4): H1633-40. 

  10. Teng B, Ledent C, Mustafa SJ. Up-regulation of A 2Badenosine receptor in A 2A adenosine receptor knockout mouse coronary artery. J Mol Cell Cardiol 2008; 44(5): 905-14. 

  11. Nakazawa T, Mori A, Saito M, Sakamoto K, Nakahara T, Ishii K. Vasodilator effects of adenosine on retinal arterioles in streptozotosin-induced diabetic rats. Naunyn Schmiedergs Arch Pharmacol 2008; 376(6): 423-30. 

  12. Gordon JL, Martin W, Endothelium-dependant relaxation of the pig aorta : relationship to stimulation of Rb efflux from isolated endothelial cells. Br pharmacol 1983; 79: 531-541. 

  13. Fruchgott RF. In: Vanhoutte PM, ed. Mechanism of vasodilators. New York: Raven Press, 1988; 401-414. 

  14. Ignarro LJ, Buga GM, Wood KS, Byrns RE, Chaudhuri G, Endothelium derived relaxing factor produced and releases from artrey and vein is nitric oxide. Proc Nat1 Acad Sci USA 1987; 84: 9265-9. 

  15. Jenner TL, Rose'Meyer RB. Adenosine A(3) receptor mediated coronary vasodiation in the rat heart: changes that occur with maturation. Mech Ageing Dev 2006; 127(3): 264-73. 

  16. Honey AC, Bland-Ward PA, Conner HE, Fenluk W, Humphrey PP. Study of an adenosine A1 receptor agonist on trigeminally evoked dural blood vessel dilation in the anaesthetized rat. Cephalalgia 2002; 22(4): 260-4. 

  17. Hocher B. Adenosine A1 receptor antagonists in clin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2010; 78(5): 438-45. 

  18. Paterson ARP, Lau EY, Dahli E, Cass CE, A common basis for inhibition of nucleoside transport by dipyridmole and nitrobenzylthioinosine. Mol Pharmacol 1980; 18: 40-8. 

  19. Harrington LS, Evans RJ, Wray J, Norling L, Swales KE, Vial C, Ali F, Carrier MJ, Mitchell JA. Purinergic 2X1 receptors mediate endothelial dependent vasodilation to ATP. Mol Pharmacol 2007; 72(5): 113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