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인용서(引用書)인 "집성(集成)"에 관한 고찰(考察)
A Study on "Jipseong" quotated in "Hyangyakjipseongbang" - Based on the traditional medical classic -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4 no.6, 2011년, pp.187 - 193  

송지청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금경수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엄동명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In "Hyangyakjipseongbang" there are quotation remark as "Jipseong", that means "Hyangyakjipseongbang" because this is self-quotation. The contents of "Jipseong" that "Hyangyakjipseongbang" mentioned are in "Yifangjicheng". So "Jipseong" means abbreviation of "Yifangjicheng" and "Jipseo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醫方集成』은 現存하지 않으나 『醫方大成』을 통해 그 내용이 전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醫方大成』에 대해서 더 살펴보았다.
  • 이로써 보면 『鄕藥集成方』에 언급된 『醫方集成』은 現存 『醫方大成』이다. 이에 『醫方集成』과 『醫方大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醫方集成』과 『醫方大成』을 언급하고 있는 의적사전을 통해 두 서적의 書誌事項을 살펴보았다.
  • 硏究를 하던 중에 『鄕藥集成方』의『集成』이 中國醫書의 略稱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에 『集成』과 관련된 書籍의 書誌事項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鄕藥集成方에는 어떤 내용들이 있는가? 『鄕藥集成方』에는 『集成』, 『集成方』, 『醫方集成』等 인용표기인 ‘集成’과 관련된 내용들이 있다. 『鄕藥集成方』에 『集成』이 言及된 부분을 그림과 함께 예를 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鄕藥集成方은 무엇이라 할 수 있는가? 朝鮮初期 韓國醫書인 『鄕藥集成方』은 編制上 韓國 및 中國 醫方書를 다수 言及하고 있다. 『鄕藥集成方』은 略稱 『鄕集』또는 『集成』, 『集成方』이라 하는데, 『鄕藥集成方』에 言及된 書籍 중에 『集成』이 있어 疑問點이 있었다.
中醫醫籍大辭典의 醫方大成을 說明하는 가운데 언급한 내용은 무엇인가? 『醫方大成論』: 不分卷. 元·孫允賢原撰, 熊彦明增補. 1321년에 成書, 1343년에 增補. 『三因方』과 嚴用和의 說을 바탕으로 元初에 孫允賢이 『醫方集成』을 編纂하고 후에 熊彦明이 『宣明論方』, 『濟生拔粹』 등의 내용을 添加하여 『醫方集成』을 增補하고 『醫方大成』이라 하였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鄕藥集成方. 서울. 행림서원. 1977. p.71, 203, 272, 302, 539. 

  2. 丹波元胤. 醫籍考. 北京. 學苑出版社. 2007. p.399, 400. 

  3. 中國醫籍大辭典編纂委員會. 中國醫籍大辭典.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2002. p.395, 398, 1670. pp.394-395. 

  4. 中國醫籍通考. 上海. 上海中醫學院出版社. 1991. p.2329, 2402. 

  5. 醫方類聚(交點本 6分冊).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79. p.459. 

  6. 醫方類聚(交點本 10分冊).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79. p.142. 

  7. 醫方類聚(交點本 11分冊).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79. p.442. 

  8. 김남일. 鄕藥集成方의 인용문헌에 대한 연구. 진단학회. 진단학보. 87권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