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능형 로봇제어를 위한 3D 비전 기술동향 원문보기

電子工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v.38 no.12 = no.331, 2011년, pp.72 - 78  

고정환 (인하공업전문대학)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MU의 Hoiem, Efros, Hebert는 한 장의 이미지에서 기학학적인 상황(Context)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그림 17>과 같이 색상, 텍스처, 위치, 형상, 간단한 3차원 기하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점 집합을 정의하고, 이를 이용해 이미지 상의 각 영역들을 특성에 맞게 분류하였다[4].
  • 3차원 물체인식에 관한 연구로서 미국에서는 주로 화성탐사 로봇이나 이동로봇 및 무인 자동차를 위한 3차원 물체인지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NASA의 화성탐사 로봇의 환경인지에 대한 연구는 CMU의 Field Robotics Center에서 연구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장애물 인지로서 여기서는 정확한 주변환경 인지보다는 탐사 로봇의 주행을 위하여 대략적인 평지를 찾아가는 것이 목적이다[16].
  • 본 고에서는 지능형 로봇의 시각 제어를 위한 물체인식 기반의 3D 카메라의 개발동향 및 적요사례를 분석하고, 이와 관련한 전반적인 기술적인 내용을 정리하고 향후 3D 카메라의 시장전망을 기술하고자 한다.
  • 서강대학교 비전 그래픽스 연구실에서는 3차원 거리정보와 컬러 특징점(photometric feature)을 융합하여 고유의 거리영상 통합 및 물체인식방법을 개발하여 3차원 물체 정합에 응용하였으며, KIST 21C 프론티어 사업단에서는 Contour fragment matching 기법을 이용하여 실시간성의 확보를 위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로봇의 응용을 위해서는 어떻게 손쉽게 로봇에게 물체 모델을 등록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 생산기술연구원에서는 스마트 로봇환경을 구축하고 그 환경 내에서의 로봇 물체인식, 포즈 추정, 조작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비주얼 기술자를 통한 물체 인식 및 포즈 추정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트래킹(tracking) 기술이란? 지능형 로봇 비전을 위한 연구 분야는 크게 물체 및 형태 인식기술과 로봇의 위치를 파악해 스스로 주행경로를 결정하는 SLAM(Simultaneous Locali zation And Mapping) 기술, 2차원 시각정보의 3차원 공간 재현 및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하는 트래킹(tracking) 기술 등으로 분류되며, 이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주변 환경의 완전한 인식이나 재구성 보다는 실제공간에서의 물체 위치, 크기 및 방향 등과 같은 간단한 3차원 정보의 실시간적 추출이 요구된다. 즉, 3차원 공간에서의 로봇 작업을 위한 위치인식, 3차원 공간 매핑(mapping) 및 경로탐색, 상황인식 기술이 필요하며, 3차원 공간에 대한 인식 및 공간정보의 활용은 공간인지기반 상황대응 및 다양한 로봇작업 수행에 필수적이다[1~2].
SLAM이란? 지능형 로봇 비전을 위한 연구 분야는 크게 물체 및 형태 인식기술과 로봇의 위치를 파악해 스스로 주행경로를 결정하는 SLAM(Simultaneous Locali zation And Mapping) 기술, 2차원 시각정보의 3차원 공간 재현 및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하는 트래킹(tracking) 기술 등으로 분류되며, 이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주변 환경의 완전한 인식이나 재구성 보다는 실제공간에서의 물체 위치, 크기 및 방향 등과 같은 간단한 3차원 정보의 실시간적 추출이 요구된다. 즉, 3차원 공간에서의 로봇 작업을 위한 위치인식, 3차원 공간 매핑(mapping) 및 경로탐색, 상황인식 기술이 필요하며, 3차원 공간에 대한 인식 및 공간정보의 활용은 공간인지기반 상황대응 및 다양한 로봇작업 수행에 필수적이다[1~2].
외국의 로봇작업에 직접 응용하기위한 지능형 로봇비전 관련 연구 사례는? 실시간 처리를 요하는 지능형 로봇비전을 위해서는 영상 Texture 및 단일 시간에서 획득한 영상 신호처리에 의한 수동적인 물체인식이 아닌 직접적인 거리 및 Texture 정보를 얻을 수 있는 Active 3D 스테레오 비전 및 3D TOF camera 시스템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영상신호의 3차원 해석을 통한 동적 물체 및 포즈(Pose)를 인식할 수 있는 물체인식 기술을 의미하며, 이러한 기술적 기반을 토대로 로봇작업에 직접 응용하기위한 지능형 로봇비전 관련 연구들이 진행 되고 있다. 즉, 미국에서는 무인자동차나 군용 무기와 같은 현실적 목표를 설정해두고 막대한 자원을 투입하는 연구방식을 선호하고 있으며, 일본은 산업장비의 시각적 검사, 측정에 사용되는 이른바 머신비전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유럽은 인간시각을 기계적으로 모방하는 기초연구와 모델개발에서 앞서가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들 로봇강국에 비해서 열악한 환경이지만 일부 로봇비전분야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이며, 로봇비전의 눈에 해당하는 하드웨어 모듈도 국산화가 활발하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