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가 인지한 치매노인 돌봄행위의 중요도 및 영향요인
Importance of and Influencing Factors on Nurses' Caring Behaviors for Elders with Dementia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3 no.2, 2011년, pp.160 - 169  

김춘길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nurses' caring behaviors and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n nurses' caring behaviors for elders with dementi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156 nurses in several demented elderly setting and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치매노인 돌봄행위에 대한 간호사의 중요도 인지정도를 알아보고 그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치매노인 간호 돌봄의 기초자료를 확장시키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치매노인 돌봄행위에 대한 간호사의 중요도 인지정도와 영향 요인을 알아보는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치매노인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간호사의 돌봄 중요도에 대한 인지정도와 영향 요인을 규명하여 치매노인 돌봄 간호의 기초자료를 확장하는데 목적이 있는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156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SPSS/WIN 16.
  • , 2006)가 보고되었으나 치매노인을 돌보는 간호사의 돌봄행위 중요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찾을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치매노인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돌봄행위의 중요도를 알아보고 그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 변수를 중심으로 알아봄으로써 치매노인 돌봄 간호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에서 돌봄개념이 필수적인 이유는? 더불어 돌봄의 질은 간호의 질을 결정하며 나아가 간호전문직의 가치를 판가름하는 잣대로 간주하고 있다(Cho, 1999; Lee, 1996; Tuckett, 2005). 즉, 돌봄은 간호의 본질인 돕는 행위의 중심개념으로 간호가 어떤 것인지를 인지하거나 실제로 행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해주므로 간호에서 돌봄개념은 필수적이다(Morse, Solberg, Neander, Bottorff, & Johnson, 1990). 특히, 치매노인의 돌봄에서 간호사는 가족들이 제공할 수 없는 자원, 지식, 기술 등을 제공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Kitson, 1987) 또한 간호사의 전문적인 돌봄에 의해 치매노인의 돌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Kim, 2001) 치매노인에서 간호사의 돌봄은 더욱 중요하다.
치매노인의 간호사 돌봄 향상을 위해서 간호사의 전문직관과 직무만족을 우선으로 고려하여야 하는 이유는? 한편, 치매노인 돌봄에서 간호사의 전문인으로서의 정체성 확립은 돌봄 전략의 조건(Kim, 2001)이며 직무만족은 양질의 간호제공과 환자 만족을 위해 필수적(Yom, Kwon, Lee, Kwon, & Ko, 2009)이다. 그러므로 치매노인의 간호사 돌봄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전문직관과 직무만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Hallin & Danielson, 2007).
돌봄 간호는 어떤 과정인가? 특히, 치매노인의 돌봄에서 간호사는 가족들이 제공할 수 없는 자원, 지식, 기술 등을 제공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Kitson, 1987) 또한 간호사의 전문적인 돌봄에 의해 치매노인의 돌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Kim, 2001) 치매노인에서 간호사의 돌봄은 더욱 중요하다. 이때, 돌봄 간호는 환자와 간호사의 상호주관적인 과정(Wolf, Giardino, Osborne, & Ambrose, 1994)이므로 간호사에 따라 인지에 차이가 있게 된다. 더욱이 치매 환자의 상황은 대상자에 따라 다르고 같은 대상자의 경우에도 수시로 변화하므로, 다른 환자보다 돌봄 간호에 대한 질 모니터가 더 요구되며 이는 돌봄에 대한 평가, 즉 간호사의 돌봄 행위에 대한 측정을 필요로 한다(Wu, Larrabee, & Putman,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oltz, M., Capezuti, E., Bowar-Ferres, S., Norman, R., Secic, M., Kim, H., et al. (2008).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the geriatric nurse practice environment.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0(3), 282-289. 

  2. Burns, N., & Grove, S. K. (1987). The practice of nursing research conduct, critique and utilization. Philadelphia: Saunders Company. 

  3. Cho, M. O. (1999). An ethnography of succession of caring behavior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1), 42-71. 

  4. Cohen-Mansfield, J., Creedon, M. A., Malone, T., Parputa-Gill, A., Dakheel-Ali, M., & Heasly, C. (2006). Dressing of cognitively impaired nursing home residents: Description and analysis. The Gerontologist, 46, 89-96. 

  5. Dalsgaard, T., Kallerup, H., & Rosendal, M. (2007). Outteach visits to improve dementia care in general practice: A qualita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19(5), 267-273. 

  6. Erlen, J. A. (2007). The frail elderly: A matter of caring. Orthopaedic Nursing, 26(6), 379-382. 

  7. Hallberg, I. R., Holst, G., Nordmak, A., & Edberg, A. K. (1995). Cooperation during morning care between nurses and severely demented institutionalized patients. Clinical Nursing Research, 4(1), 78-104. 

  8. Hallberg, I. R., & Norberg, A. (1995). Nurse experiences of strain and their reactions in the care of severly demented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0 , 757-766. 

  9. Hallin, K., & Danielson, E. (2007). Registered nurses' perceptions of their work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1(1), 62-70. 

  10. Kim, C. G. (2010). Influencing factors and importance of nurses' caring behaviors for chronically sick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2(3), 303-311. 

  11. Kim, E. J. (2003). Factors influencing care dependency in patients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6), 705-712. 

  12. Kim, M. Y. (2001). The nurses' experience process caring for the demented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3. Kitson, A. L. (1987). A comparative analysis of lay-caring and profession caring relationship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4(2), 155-165. 

  14. Lee, B. S. (1996). Concept analysis of car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2), 337-344. 

  15. Lee, H. K. (1998). Factors influencing the nurses' perceptions of caring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16. Lee, S. H. (2009). Multi-level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servic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3), 409-421. 

  17. Liu, J. E., Mok, E., & Wong, T. (2006). Caring in nursing: Investigating the meaning of caring from the perspective of cancer patients in Beijing, China.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5(2), 188-196. 

  18. Mafullul, Y. M., & Morriss, R. K. (2000).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with care and emotional distress among informal carers of demented and non demented elderly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5(7), 594-599. 

  19. McCloskey, R. M. (2004). Caring for patients with dementia in an acute care environment. Geriatric Nursing, 25(3), 139-144. 

  20.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April). Survey of 2009 dementia prevalence. Retrieved August 1, 2010, from Web site: http://stat.mw.go.kr 

  21. Morse, J. M., Solberg, S. M., Neander, W. L., Bottorff, J. L., & Johnson, J. L. (1990). Concepts of caring as a concept. Advanced Nursing Science, 13(1), 1-14. 

  22. Oh, J. J. (2003). The experience of care-assistants in facilities for dementia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3(1), 75-92. 

  23. Roger, K. S. (2008). Priorities for people living with dementia: Education, counselling, research. Clinical Intervention in Aging, 3(3), 573-579. 

  24. Smith, M. K., & Sullivan, J. M. (1997). Nurses' and patients' perceptions of most important caring behaviors in a longterm care setting: Patients and nurses agree on the importance of a combined scientific-humanistic caring approach. Geriatric Nursing, 18(2), 70-73. 

  25. Torrance, G. W., Feeny, D., & Furlong, W. (2001). Visual analog scales: Do they have a role in the measurement of preferences for health states? Medical Decision Making, 21(4), 329-334. 

  26. Tuckett, A. G. (2005). The care encounter: Pondering caring, honest communication and control.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1(2), 77-84. 

  27. Wolf, Z. R., Giardino, E. R., Osborne, P. A., & Ambrose, M. S. (1994). Dimensions of nurse caring. IMAG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6(2), 107-111. 

  28. Wu, Y., Larrabee, J. H., & Putman, H. P. (2006). Caring behaviors inventory: A reduction of the 42-item instrument. Nursing Research, 55(1), 18-25. 

  29. Yeun, E. J., Kwon, Y. M., & Ahn, O. H. (2005). Development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6), 1091-1100. 

  30. Yom, Y. H., Kwon, S. B., Lee, Y. Y., Kwon, E. K., & Ko, J. W. (2009).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of nurses: Focused on work re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3), 329-3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