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만성질환자 돌봄행위에 대한 간호사의 중요도 인지와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and Importance of Nurses' Caring Behaviors for Chronically Sick Elderl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2 no.3, 2010년, pp.303 - 311  

김춘길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nurses' caring behavior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of nurses' caring behavio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04 nurses who were caring the chronically sick elderly in five H university hospitals. Data were col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 돌봄행위에 대한 간호사의 중요도 인지정도를 알아보고 그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노인 간호 돌봄의 기초자료를 확장시키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노인 돌봄행위에 대한 간호사의 중요성 인지정도와 영향요인을 알아보는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간호사의 돌봄중요도에 대한 인지정도와 영향 요인을 규명하여 노인돌봄 간호의 기초자료를 확장하는데 목적이 있는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404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SPSS/WIN 16.
  • 이에 본 연구는 만성 노인질환자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돌봄행위의 중요도를 알아보고 그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간호사의 특성,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 변수를 중심으로 알아봄으로써 노인 돌봄 간호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인구의 증가 및 고령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주요 문제에는 무엇이 있는가? 특히 장례인구는 2018년을 쟁점으로 감소할 것이나 이에 비해 노인인구는 계속 증가되어 인구의 고령화 현상이 뚜렷할 것으로 추정된다(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노인인구의 증가 및 고령화에 따라 사회, 경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 중 만성질환의 증가는 주요 문제이다.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은 활동제한으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서 돌봄을 보다 필요로 하지만(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6), 가족형태 변화로 노인돌봄과 관련된 전통적인 가족기능이 전문기관으로 이양되면서 노인인구의 돌봄은 상당부분 전문직 간호인력에 의존하고 있다(Cho, 1999).
간호실무와 교육현장에서 나이와 경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결과는 Lee (1998)의 연구에서 돌봄행위의 중요도가 간호사의 직무만족, 나이, 경력, 결혼 기간, 수입, 초과 근무시간 및 밤번 근무일수와 유의하게 상관관계를 보였던 결과, 그리고 좋은 돌봄은 노인을 돌보는 이에게 만족감을 갖게 한다는 Mafullul과 Morriss (2000)의 보고와 일부 상통되었다. 이로 간호사의 나이와 경력이 많을수록 노인 돌봄행위의 중요도를 높이 인지하며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돌봄행위의 중요도 인지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실무와 교육현장에서는 이들 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입원 노인을 직접 돌보는 간호사는 20대가 가장 많았음으로 이들의 노인 돌봄 중요도 인식고취는 물론 직무만족의 증진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노인인구의 돌봄은 상당부분 전문직 간호인력에 의존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노인인구의 증가 및 고령화에 따라 사회, 경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 중 만성질환의 증가는 주요 문제이다.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은 활동제한으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서 돌봄을 보다 필요로 하지만(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6), 가족형태 변화로 노인돌봄과 관련된 전통적인 가족기능이 전문기관으로 이양되면서 노인인구의 돌봄은 상당부분 전문직 간호인력에 의존하고 있다(Cho, 1999). 이때 돌봄은 간호사와 환자의 상호작용에서 일어나며 간호사의 돌봄행위를 통하여 표현된다(Lee,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rg, L., Skott, C., & Danielson, E. (2007). Caring relationship in a context: Fieldwork in a medical ward.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3 (2), 100-106. 

  2. Boltz, M., Capezuti, E., Bowar-Ferres, S., Norman, R., Secic, M., Kim, H., et al. (2008).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the geriatric nurse practice environment.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0(3), 282-289. 

  3. Burns, N., & Grove, S. K. (1987). The practice of nursing research conduct, critique and utilization. Philadelphia: Saunders Company. 

  4. Chang, E., Chenoweth, L., & Hancock, K. (2003). Nursing needs of hospitalized older adults: Consumer and nurse perception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9(9), 32-41. 

  5. Cho, M. O. (1999). An ethnography of succession of caring behavior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 (1), 42-71. 

  6. Erlen, J . A. (2007). The frail elderly: A matter of caring. Orthopaedic Nursing, 26(6), 379-382. 

  7. Jonasson, L. L., Liss, P. E., Westerlind, B., & Berter?, C. (2010). Ethical values in caring encounters on a geriatric ward from in the next kin's perspective: An interview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6(1), 20-26. 

  8. Khomeiran, R. T., Yekta, Z. P., Kiger, A. M., & Ahmadi, F. (2006). Professional competence: Factors described by nurses as influencing their development.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3 (1), 66-72. 

  9. Kim, Y. Y., & Lee, B. S. (1999). Importance of nurses' caring behaviors as perceived by staff nurses and patients. The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6(1), 18-34. 

  10. Ko, S. H., & Chung, B. Y. (2004).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0 (3), 335- 344. 

  11. Kwon, K. J ., Chu, M. S., & Kim, J . A. (2009). The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2), 182-192. 

  12. Lee, B. S. (1996). Concept analysis of car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2), 337-344. 

  13. Lee, H. K. (1998). Factors influencing the nurses' perceptions of caring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14. Lee, S. J ., & Chang, S. O. (1995). The study on the content analysis of caring, supporting, nursing situ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7 (2), 279-298. 

  15. Liu, J . E., Mok, E., & Wong, T. (2006). Caring in nursing: Investigating the meaning of caring from the perspective of cancer patients in Beijing, China.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5(2), 188-196. 

  16. Mafullul, Y. M., & Morriss, R. K. (2000).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with care and emotional distress among informal carers of demented and non demented elderly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5(7), 594- 599. 

  17.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6, J uly).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ctivity Limitat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Retrieved March 7, 2010, from Web site: http://www.mw.go.kr 

  18.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October). 2009 Yearbook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statistics. Retrieved March 7, 2010, from Web site: http://stat.mw. go.kr 

  19. Morse, J . M., Solberg, S. M., Neander, W. L., Bottorff, J . L., & Johnson, J . L. (1990). Concepts of caring as a concept. Advanced Nursing Science, 13(1), 1-14. 

  20. Rees, J ., King, L., & Schmitz, K. (2009). Nurses' perceptions of ethical issues in the care of older people. Nursing Ethics, 16(4), 436-452. 

  21. Shin, H. J . (2006). The characteristics of caring in nursing -focused on the ethical aspe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22. Smith, M. K., & Sullivan, J . M. (1997). Nurses' and patients' perceptions of most important caring behaviors in a longterm care setting: Patients and nurses agree on the importance of a combined scientific-humanistic caring approach. Geriatric Nursing, 18(2), 70-73. 

  23. Song, J . J . (2008). SPSS/AMOS statistical analytic method for thesis. Paju: 21C Book Company. 

  24. Torrance, G. W., Feeny, D., & Furlong, W. (2001). Visual analog scales: Do they have a role in the measurement of preferences for health states? Medical Decision Making, 21(4), 329-334. 

  25. Tuckett, A. G. (2005). The care encounter: Pondering caring, honest communication and control.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1(2), 77-84. 

  26. Von Essen, L., & Sj d n, P. O. (1993). Perceived o e importance of caring behaviors to Swedish psychiatric inpatients and staff, with comparisons to somatically-ill sample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6(4), 293-303. 

  27. Wolf, Z. R., Giardino, E. R., Osborne, P. A., & Ambrose, M. S. (1994). Dimensions of nurse caring. IMAG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6(2), 107-111. 

  28. Wu, Y., Larrabee, J. H., & Putman, H. P. (2006). Caring behaviors inventory: A reduction of the 42-item instrument. Nursing Research, 55(1), 18-25. 

  29. Yeun, E. J ., Kwon, Y. M., & Ahn, O. H. (2005). Development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6), 1091-1100. 

  30. Yom, Y. H. (2009).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ealth status among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2), 216-2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