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물영아리늪 퇴적물의 화분분석에 의한 식생변천
Vegetational History of the Mulyeongari Fen by Pollen Analysis in Jeju Island,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20 no.3, 2011년, pp.341 - 350  

이창수 (울산대학교 생명과학부) ,  강상준 (충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최기룡 (울산대학교 생명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past vegetational changes in Jeju Island, Korea, pollen analysis and radiocarbon dating on the sediments obtained from the Mulyeongari fen were carried out. By the results, the vegetational changes around the Mulyeongari fen from ca. 3,300 cal. yr BP to the present c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제주도의 과거의 식생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지역에 따른 기후인자의 특성을 인지하고 연대측정을 동반한 화분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물영아리늪에서 채집된 퇴적물을 대상으로 연대측정을 동반한 화분분석을 실시하여 식생변천과정의 정보를 얻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물영아리늪의 퇴적물 속에 존재하는 화석 화분의 조성을 통해 과거의 식생복원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물영아리늪 일대는 c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i, K. R., Koh, J. K., 1989, Studies on Moor Vegetation of Mt. Daeam, East-Central Korea, Korean J. Ecology, 12(4), 237-244. 

  2. Choi, K. R., 1992, Palynological Study of the Alluvial Valley Plain Deposits from the Miruksa Site, Iksan-gun, Korea, Korean J. Ecology, 15(1), 59-65. 

  3. Choi, K. R., 1998, Origin and Natural Environment of the Mujechi Highmoor Peat Bog, Cheongjoksan, The Korean J. Quaternary Research, 12(1), 63-76. 

  4. Choi, K. R., 2001, Palynological Study of Mujechi Bog, The Korean J. Quaternary Research, 15(1), 13-20. 

  5. Choi, K. R., Kim, K. H., Kim, J. W., Kim, J. C., Lee, G. K., Yang, D. Y., Nahm, W. H., 2005, Vegetation history since the mid-lateglacial from Yeongsan river basin, Southwestern Korea, J. Ecol. Field Biol., 28(1), 37-43. 

  6. Chung, C. H., Yoon, H. I., Lee, S. H., 2004, Paleoclimatic Implications of Palynoflora from the Quaternary Sediments at Seogwipo, Jeju Island, Korea, J.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5), 377-385. 

  7. Chung, C. H., 2007, Vegetation response to climate change on Jeju Island, South Korea, during the last degalaciation based on pollen record, Geosciences J., 11(2), 147-155. 

  8. Erdtman, G., 1943, An Introduction to Pollen Analysis, Chronica Botanica, Waltham, Massachusetts. 

  9. Fægri, K., Kaland, P. E., Krzywinski, K., 1989, Textbook of Pollen Analysis, 4th ed., The Blackburn Press, NJ., 69-90. 

  10. Fossitt, J. A., 1996, Late quaternary vegetation history of the western isles of Scotland, New Phytol., 132, 171-196. 

  11. Fujihara Industry Co., 2001, Revised standard soil color charts, Tokyo: Fujihara Industry Company. 

  12. Jang, B. O., Yang, D. Y., Kim, J. Y., Choi, K. R., 2006, Postglacial vegetation history of the central 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J. Ecol. Field Biol., 29(6), 573-580. 

  13. Jang, N. K., 1986, Illustrated Flora and Fauna of Korea, vol. 29, Ministry of Education. 

  14. Jang, N. K., Kim, Y. P., Oh, I. H., Son, Y. H., 1987, Past Vegetation of Moor in Mt. Daeam in Terms of the Pollen Analysis, Korean J. Ecology, 10, 195-204. 

  15. Kang, S. J., 1980, A Preliminary Pollen Analytical Study of the High Moor in Daeam Mountain, Res. Review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9, 253-260. 

  16. Kim, J. W., 1998, Vegetation of Parasitic Volcanos in Cheju Islands, Bulletin of the KACN, 17, 23-48. 

  17. Moon, B. C., Chung, C. H., 2005, Palynostratigraphic and paleoclimatic implications of the Pleistocene Cheongsu core sediments, Jeju Island, Korea, J. Korean Earth Sci. Society, 26(3), 276-282. 

  18. Park, J. H., 2003, Holocene climate change in the central part of the Oh-u backbone range, Northeastern Japan with special focus on the Ulmus/Zelkova pollen ratio, J.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0, 239-253. 

  19. Park, J. H., Park, K., 2009, Post-Glacial Environmental Changes Reconstructed from the Pollen Analysis in Gimnyeong Sanddune Area, J.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6(1), 43-55. 

  20. Weather Resources Database, 200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ttp://www.kma.go.kr., Accessed 2 March 2010. 

  21. Yamazaki, T., 1940, Beitrage zur Verwandlung der Baumarten in sudlichen Teile von Korea durch die pollenanalyse, J. Jap. For. Sc., 22(2), 17-29(in Japanese). 

  22. Yim, Y. J., Kira, T.,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our. Ecol., 25(2), 77-88. 

  23. Yim, Y. J., Paik, K. S., Lee N. J., 1990, The Vegetation of Mt. Halla, A Study of Flora and Vegetation, The Chung-Ang University Press, Seoul, 51-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