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 소화산들의 화산활동 기록
Volcanic Activity of the Volcanoes in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Jeju Island,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4 no.1, 2021년, pp.1 - 19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연구센터) ,  이춘오 (지질환경재해연구센터) ,  임재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연구센터) ,  이진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연구센터) ,  안웅산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번 연구에서는 제주도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내 소화산들에 대한 40Ar-39Ar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보고한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 내 어리목 상수원 부근에 위치하는 현무암질조면안산암 및 조면암이 192 ka 내외로 가장 오래된 연대를 보였으며, 동수악의 알칼리현무암 184 ka 내외, 만세동산의 조면현무암 153 ka 내외, 장구목오름의 현무암질조면안산암 135 ka 내외, 어승생악의 현무암질조면안산암 123 ka 내외, 삼각봉의 조면암 106 ka 내외 등으로 10만년 이상의 연대를 보인다. 10만년 전 이후의 화산활동으로는 윗방애오름의 현무암질조면안산암 94 ka, 성널오름의 알칼리현무암 92 ka, 물장올의 전이질현무암 81 ka, 영실조면암 71 ka, 보리악의 조면안산암 73 ka, 윗세누운오름과 윗세족은오름의 현무암질조면안산암에서 각각 76 ka, 93 ka, 흙붉은오름의 조면현무암 60 ka, 방애오름과 알방애오름의 전이질현무암은 각각 59 ka, 83 ka, 백록담의 조면암 47 ka, 한라산 북벽의 조면암 35 ka, 윗세붉은오름의 조면현무암 41 ka, 성널오름을 관입한 조면암 32~43 ka, 동수악 부근 조면암 39 ka, 서중천 지류하천의 조면암 37 ka 내외의 연대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대측정 결과로 추정하면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화산활동은 약 192 ka에서 홀로세 직전의 17 ka까지 지속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조면암의 분출시기에 의하면 한라산천연보호 구역은 최소 약 8회의 화산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 중 왕관릉, 삼각봉, 영실, 백록담 등과 같이 조면암 돔이 형성된 4회의 화산활동과 용암류의 흐름 또는 암맥상의 조면암이 산출된 4회의 화산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형성은 지표상에 노출된 용암으로 볼 때 가장 먼저 보호구역 북서부에서 시작되어 남부지역, 동부지역, 그리고 마지막으로 백록담 형성과 관계된 화산활동 등의 순서로 진행된 것으로 해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ports the Ar-Ar dating results for the volcanic rocks from small volcanoes(oreum) of the Hallasan Nature Reserve. According to the age of 40Ar/39Ar, the volcanic activity of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was started from about 192 ka ago. The basaltic trachyandesite and trachyte located ...

주제어

표/그림 (15)

참고문헌 (21)

  1. Ahn, H.S., Hong, S.S. and Lee, J.Y. (2020) Feasibility of lava-heated underlying sediment OSL chronology in age determination of lava effusion since the Late Pleistocene: Confirmation from lava 40 Ar/ 39 Ar chronology.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56, p.481-4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Ahn, H.S., Kim, J.C., Lee, J.Y., Lim, J., Sohn, Y.K. and Cho, H. (2018) Magnetic assessment of OSL and radiocarbon ages of sediments beneath a lava in Jeju Island, Korea: Implication of possible resetting of OSL signals and age constraint of the late Quaternary lava. Quaternary Geochronology, v.48, p.45-63. 

  3. Ahn, U.S., Choi, J.H. and Yeo, E.Y. (2017) Eruption timing of the Geomun Oreum through the comparison of radiocarbon and quartz OSL age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53, p.367-3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Ahn, U.S. and Hong, S.S. (2017) Volcanological history of the Baengnokdam summit crater area, Mt. Halla in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6, p.221-2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Ahn, U.S. and Hwang, S.G. (2008) Interpretation of formation and growth processes of Manjang lava tube through detailed surveying with electronic total statio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4, p.657-6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Brenna, M., Cronin, S.J., Smith, I.E.M., Sohn, Y.K. and Maas, R. (2012) Spatio-temporal evolution of a dispersed magmatic system and its implications for volcano growth, Jeju Island Volcanic Field, Korea. Lithos, v.148, p.337-352. 

  7. Hwang, S.G., Ahn, U.S., Lee, M.W. and Yun, S.H. (2005) Formation and internal structures of the Geomunorm lava tube system in the northeastern Jeju Islan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1, p.385-4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Irvine, T.N. and Baragar, W.R.A. (1971) A guide to the chemical classification of the common volcanic rocks.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v.8, p.523-548. 

  9.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1997) Oreum in Jeju Island, Jeju, 483p. 

  10. Ki, J.S., Jeon, Y., Ryu, C.K. and Kim, S. S. (2016) A significantion and meaning of Geomunoreum as a representative geosite of global geopark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52, p.763-7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J., Choi, J.H., Jeon, S.I., Park, U.J. and Nam, S.S. (2014) 40 Ar/ 39 Ar age determination for the Quaternary basaltic rocks in Jeongok a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3, p.385-3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J. and Cho, I.H. (2020) Improvement of 40 Ar/ 39 Ar age determinations for Quaternary basaltic rocks by eliminating the peak suppression effect. Journal of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https:doi.org/10.1186/s40543-020-00207-9 

  13. Koh, G.W., Park, J.B., Hong, S.S., Ko, I.J. and Kim, T.H. (2019) Multiple volcanic eruption episodes in the highlands of Mt.Halla(Hallasan), Jeju Island, Korea : 40 Ar/ 39 Ar ages of lava flow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55, p.71-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oh, G.W., Park, J.B., Kang, B.R., Kim, G.P. and Moon, D.C. (2013) Volcanism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9, p.209-2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oh, J.S., Yoon, S.H. and Kang, S.S. (2003) Petrology of the volcanic rocks in the Paekrogdam crater area, Mt. Halla, Jeju Island.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31, p.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 Maitre R.W., Streckeisen A., Zanettin B., Le Bas M.J., Bonin B., Bateman P., Bellieni G., Dudek A., Efremova S., Keller J., Lamere J., Sabine P.A., Schmid R., Sorensen H. and Woolley A.R. (2002) Igneous Rocks: A Classification and Glossary of Terms,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Union of Geological Sciences, Subcommission of the Systematics of Igneous Rock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6p. 

  17. Macdonald, G.A. and Katsura, T. (1964) Chemical composition of Hawaiian Lavas. Journal of Petrology, v.5, p.82-133. 

  18. Middlemost, E.A.K. (1989) Iron oxidation ratios, norms and the classification of volcanic rocks. Chemical Geology, v.77, p.19-26. 

  19. Park, K.W., Cho, D.L., Kim, J.C., Cho, B.W., Jang, Y.N., Lee, B.J., Lee, S.R., Son, B.K., Cheon, H.Y., Lee, H.Y. and Kim, Y.U. (2000) Geologic report of the Segwipo-Hahyori sheet. Jeju Provincial Government, 163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Sohn, Y.G. and Chough, S. K. (1992) The Ilchulbong tuff cone, Cheju Island, South Korea: depositional processes and evolution of an emergent, Surtseyan-type tuff cone, Sedimentology, v.39, p.523-544. 

  21. Sohn, Y.G., Woo, K.S., Kwon, C.W., Kim, R. and Jeon, Y.M. (2009) Geoheritages and geomonitoring with special reference to Jeju Islan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5, p.751-7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