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척시산불지역에서의 나방류에 관한 종다양성 변화
Changes of Species Diversity on Moth Communities at Forest Fire Region in Samcheok, Korea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0 no.1, 2011년, pp.7 - 14  

배양섭 (인천대학교생명과학부) ,  채도영 (인천대학교생명과학부) ,  주영돈 (인천대학교생명과학부) ,  배정훈 ((주)참생태연구소) ,  김종명 (국립환경과학원생태계조사단) ,  안능호 (국립생물자원관전시교육과) ,  이철민 (국립산림과학원산림생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0년 삼척 동해안산불이 나방군집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3개의 조사지(지점1: 미피해지역, 지점2: 지표화 피해지역, 지점3: 수관화 피해지역)를 설정하여 2006부터 2009년 까지 1년에 4회 UV 라이트 트랩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조사지에서 30과 727종 3,804개체를 채집하였다(지점1: 27과 505종 1,727개체, 지점2: 24과 353종 1,193개체, 지점3: 25과 340종 885개체). 밤나방과, 명나방과, 자나방과와 잎말이나방과는 종수와 개체수가 3개의 조사지에서 상위를 점했다. 종수, 개체수, 종다양도(H') 모두 지점1에서 가장 높았다. 유사도(${\alpha}$-Index)는 2006년에는 지점2와 3이 더 높았지만, 2009년에는 지점1과 2가 더 높았다. 나방류를 유충기의 기주로 16개 카테고리로 나누어 군집변화를 분석하였다. 지점3에서 초본식성의 나방류의 개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했지만, 목본식성의 개체수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이 연구결과, 나방군집은 산불 이후 식생변화와 더불어 회복되었고 지표화 피해지역에서 나방군집의 재생은 수관화 피해지역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moth communities in Samcheok, Korea, to elucidate the influence of the East Coast Fire in 2000. Moths were collected with UV light traps 4 times a year from 2006 to 2009 at 3 sites: Unburned area (Site 1), Surface fire area (Site 2), and Crown fire area (Site 3) sites, respective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001), Shin(2001), Bae(2001, 2004), Park(2004), Bae and Paek(2006), Park et al.(2006), Son(2006) 과 Park and Ponomarenko(2007)에 기재되어 있는 식성정보를 기준으로 다식성(Polyphagy), 상록수와 낙엽수(Evergreen and deciduous trees), 상록수(Evergreen tree), 낙엽수(Deciduous tree), 초본(Grass plant), 덩굴식물(Climbing plant), 대나무(Bamboo), 양치류(Fern), 이끼(Moss), 지의류(Lichen), 버섯(Mushroom), 곡물(Cereal), 과일(Fruit), 낙엽(Falling leaf), 벌집(Comb), 불명(Unkown)의 16종류로 분류하여 나방군집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나방류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삼척시에 위치한 미피해지역, 지표화 피해지역, 수관화 피해지역에서 UV라이트 트랩법을 이용하여 포획조사를 실시하고, 각 종의 유충기식성 등에 주목하면서 나방군집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 조사는 비가 오지 않고 바람이 불지 않는 날에 이루어졌고 가급적 보름달이 있는 날은 피하였다. 채집된 나방은 건조표본으로 제작하여 분류한 후 국내외의 문헌을 참고하여 동정하였다. 외관상 동정이 어려운 종은 생식기를 해부하여 종을 확인하였다.

대상 데이터

  • 1. Location of 3 study sites in Samcheok, Korea (1, 2, 3). Shading indicates all the regions affected by the East Coast Fires in 2000 (2).
  • 5. Species richness and individuals of moths of 16 different feeding habit at 3 study sites in Samcheok, Korea from 2006 to 2009.
  • 1). 나방 채집은 12V 휴대용 건전지에 의해 작동되는 O형 22W 자외선 등 트랩(Bioquip, U.S.A)을 이용하였다. 트랩은 각 조사지에 1개씩 설치하고 채집은 일몰 후 약 3시간동안 실시하였다.
  • 동해안 산불이후 나방류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삼척시에 위치한 3지점에서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야간채집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29과 727종 3,804개체가 채집되었다(Table 1). 각 지점의 나방류의 과수, 종수, 개체수를 보면 지점1(미피해지점)이 28과 505종 1,726개체로 가장 많았고, 지점2(지표화 피해지점)는 23과 354종 1,193개체, 지점3(수관화 피해지점)은 24과 340종 885개체로 종수와 개체수가 가장 적었다.
  • 조사는 2000년 동해안 산불의 피해를 입은 강원도 삼척시에서 미피해지역(지점 1), 지표화 피해지역(지점 2)과 수관화 피해지역(지점 3)에서 2006년 5월부터 2009년 9월까지 4년간 연 4회씩 총16회에 걸쳐 야간채집을 실시하였다(Fig. 1). 나방 채집은 12V 휴대용 건전지에 의해 작동되는 O형 22W 자외선 등 트랩(Bioquip, U.
  • 지점 1 (미피해지역: 37° 19′ 40.0″, 129° 12′ 10.9″): 산불에 피해를 입지 않은 지역으로 고도 약 96 m지점에 트랩을 설치했다.
  • 지점 2 (지표화 피해지역: 37° 14′ 13.9″, 129° 18′ 16.2″): 산불에 피해를 입은 지역으로 고도 326 m에 트랩을 설치했다.
  • 지점 3 (수관화 피해지역: 37° 13′ 49.7″, 129° 18′ 34.0″): 산불로 인한 훼손이 가장 심각한 지점으로 고도 약 268 m에 트랩을 설치했다.

데이터처리

  • 또한, 군집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서 Pianka(1973)의 유사도(α-Index)를 이용하고, 비가중평균결합(UPGMA)에 의해 클래스터분석을 수행했다.

이론/모형

  • 각 지점의 나방군집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서 종수, 개체수, Shannon and Weaver(1949)의 다양도지수(H')를 이용했다.
  • 외관상 동정이 어려운 종은 생식기를 해부하여 종을 확인하였다. 명명체계는 한국곤충 총 목록을 따랐다(Paek et al., 2010). 표본은 인천대학교 생명과학부에 보관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불의 역할은 무엇인가? 산불은 산림생태계에서 주요 교란의 하나로 다양한 서식처를 만들고 경관패턴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Kreisel and Stein, 1999; Nakagoshi et al., 2003).
나방류는 육상생태계에서 어떤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가? 나방류는 종수가 많고 육상생태계에서 초식자, 수분매개자, 소형동물의 먹이 등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Summerville et al., 2004).
2000년 4월 발생한 동해안 산불의 피해 규모는 얼마나 되는가? 한국에서는 동해안 지역에서 대형산불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대표적 예로써, 2000년 4월에 발생한 동해안 산불을 들 수 있다. 총산림면적의 0.37%에 해당하는 23,794 ha를 태워 산불역사상 가장 큰 피해를 입혔고, 나무가 완전히 탄 수관화 피해지역은 51%, 하층부만 타고 나무의 상층부가 살아남은 지표화 피해지역은 49%로 집계되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02). 동해안 산불피해지역에서 식생은 비교적 빠르게 복원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지만(Chou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e, Y.S. 2001. Family Pyraloidea: Pyraustinae and Pyralinae. Economic insects of Korea 9. Ins. Koreana Suppl. 16. Junghaeng-sa. 252 pp. 

  2. Bae, Y.S. 2004. Superfamily Pyraloidea II (Phycitinae and Crambinae etc.). Economic Insects of Korea 22. Ins. Koreana Suppl. 29. Junghaeng-sa. 207 pp. 

  3. Bae, Y.S. and M.K. Paek. 2006. Host-plants for Larvae of Pyraloidea (Lepidoptera). Economic insects of Korea 26. Ins. Koreana Suppl. 33. Junghaeng-sa. 181 pp. 

  4. Beck, J., C.H. Schulzek, K.E. Linsenmair and K. Fiedler. 2002. From forest to farmland: diversity of geometrid moths along two habitat gradients on Borneo. J. Trop. Ecol. 17: 33-51. 

  5. Byun, B.K., Y.S. Bae and K.T. Park. 1998. Illustrated catalogue of Tortricidae In Korea. Junghaeng-sa. 317 pp. 

  6. Choi, S.W. 2008. Diversity and composition of larger moths in three different forest types of Southern Korea. Ecol. Res. 23: 503-509. 

  7. Choung, Y.S., B.C. Lee, J.H. Cho, K.S. Lee, I.S. Jang, S.H. Kim, S.K. Hong, H.C. Jung and H.L. Choung. 2004. Forest Responses to the Large-Scale East Coast Fires in Korea. Ecol. Res. 19(1): 43-54. 

  8. Hilt, N. and K. Fiedler, 2005. Diversity and composition of Arctiidae moth ensembles along a successional gradient in the Ecuadorian Andes. Diversity Distrib. 11: 387-398. 

  9. Hirowatari, T., K. Tateiwa, S. Takaki, N.H. Ahn, B.W. Lee, H. Mizukawa, G.H. Huang and T. Ueda. 2010. Species diversity of microlepidoptera assemblages within three forest ecosystems. 2. Evaluation of monitoring microlepidoptera using light. Jpn. J. Envirion. Entomol. Zool. 21(1): 37-52. 

  10. Hirowatari, T., S. Takaki, K. Tateiwa, N.H. Ahn, B.W. Lee, K. Yamada, H. Mizukawa and T. Ueda. 2007. Species diversity of microlepidoptera assemblages within three forest ecosystems. Jpn. J. Environ. Entomol. Zool. 18(1): 23-37. 

  11. Inoue, H., S. Sugi, H. Kuroko, S. Moriuti and A. Kawabe. 1982. Moths of Japan. Kodansha. Vol. 1: 966 pp.; Vol. 2: 552 pp. pls. 392pp. 

  12. Intachat, J., J.D. Holloway and M.R. Speight. 1999. The impact of logging on geometroid moth populations and their diversity in lowland forests of Peninsular Malaysia. J. Trop. Forest Sci. 11: 61-78. 

  13. J?riado, I., J. Paal and J. Liira. 2003. Epiphytic and epixylic lichen species diversity in Estonian natural forests. Biodiver. and Conser. 12: 1587-1607. 

  14. Keith, S.S., L.M. Ritter and T.O. Crist. 2003. Forest moth taxa as indicators of lepidopteran richness and habitat disturbance: a preliminary assessment. Biological Conservation. 116(2004): 9-18. 

  15. Kim, C.W., S.H. Nam and S.M. Lee. 1982. Illustrated flora and fauna of Korea vol. 26 Insecta (VIII). Ministry of education republic of Korea. 919 pp. 

  16. Kim, S.S., E.A. Beljaev and S.H. Oh. 2001. Illustrated Catalogue of Geometridae in Korea. Junghaeng-sa. 278 pp. 

  17. Kitching, R.L., A.G. Orr, L. Thalib, H. Mitchell, M.S. Hopkins and A.W. Graham. 2000. Moth assemblages as indicators of environmental quality in remnants of upland Australian rain forest. J. Appl. Ecol. 37: 284-297. 

  18. Kreisel, K.J. and S.J. Stein. 1999. Bird use of burned and unburned coniferous forests during winter. Wilson Bull. 111: 243-250. 

  19. Lee, B.D., S.Y. Kim, J.S. Chung and P.S. Park. 2008. Estimation of fire severity by use of Landsat TM images and its relevance to vegetation and topography in the 2000 Samcheok forest fire. J. For. Res. 13: 197-204. 

  20. Lee, E.J., W.S. Lee, S.H. Son and S.J. Rhim. 2010. Differences in bird communities in postfire silvicultural practices stand within pine forest of South Korea. Landscape Ecol. Eng. DOI.1007/s11355-010-0111-6. 

  21. Ministry of Environment. 2002. Studies on the Ecosystem Restoration and the Polices in East Coast Fire Regions. 244 pp. 

  22. Nakagoshi, N., E.V. Angara and K. Nehira. 2003. Species composition through twenty years post-fire succession on Etajima Island, southwestern Japan. Vegetation Science 20(1): 17-30. 

  23. Nam, S.H. 1998. Insects' life in Korea V. Korea University Korean Entomological Institute. 259 pp. 

  24. Paek, M.K, J.M. Hwang, K.S. Jung, T.W. Kim, M.C. Kim, Y.J. Lee, Y.B. Cho, S.W. Park, H.S. Lee, D.S. Ku, J.C. Jeong, K.G. Kim, D.S. Choi, E.H. Shin, J.H. Hwang, J.S. Lee, S.S. Kim and Y.S. Bae. 2010. Checklist of Korean Insects. Nature and Ecology. 598 pp. 

  25. Park, K.T. 2004. Families Gelechiidae and Lecithoceridae. Economic Insects of Korea 21. Ins. Koreana Suppl. 28, 152 pp. 

  26. Park, K.T. and M.G. Ponomarenko. 2007. Gelechiida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djacent Territories. Junghaeng-sa. 306 pp. 

  27. Park, K.T., J.C. Son and H.L. Han. 2006. Host-plants for Lavae of Noctuidae (Lepidoptera).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136 pp. 

  28. Pianka, E.R. 1973. The structure of lizard communities. A. Rev. ecol. Syst. 4: 53-74. 

  29. Powell, J.A. 1980. Evolution of larval food preferences in Microlepidoptera. Ann. Rev. Entmol. 25: 133-159. 

  30. Robinson, G.S., P.R. Ackery, I.J. Kitching, G.W. Beccaloni and L.M. Hernandez. 2007. Hosts ? a Database of the World's Lepidopteran Hostplants. Available at: http://internat.nhm.ac.uk/jdsml/research-curation/projects/hostplants. 

  31. Rogan, J. and S.R. Yool. 2001. Mapping fire-induced vegetation depletion in the Peloncillo Mountains, Arisona and New Mexico. Int. J. Remote Sens. 16: 3101-3121. 

  32.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A Mathematical Model of Communication. Urbana, IL: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33. Shin, Y.H. 2001. Coloured illustrations of the Moths of Korea. Academybook Publishing Co. Ltd. 551 pp. 

  34. Shin, Y.H., K.T. Park and S.H. Nam. 1983. Illustrated flora and fauna of Korea vol. 27 Insecta (IX). Ministry of education republic of Korea. 1053 pp. 

  35. Son, J.C. 2006. Insect larva book in pocket. Slow and steady. 455 pp. 

  36. Sugi, S., K. Nakatomi, R. Sato, H. Nakajima and M. Owada. 1987. Larvae of larger moths in Japan. Kodansha. 453 pp. 

  37. Summerville, K.S., L.M. Ritter and T.O. Crist. 2004. Forest moth taxa as indicators of lepidopteran richness and habitat disturbance: A preliminary assessment. Biological Conservation 116: 9-18. 

  38. White, J.D., K.C. Ryan, C.C. Key and S.W. Running. 1996. Remote sensing of forest fire severity and vegetation recovery. Int. J. Remote Sesns. 6: 125-1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