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휴양림의 종다양성 증진을 위한 식생관리 방안 연구 - 경기도 축령산자연휴양림을 사례로 -
Planting Managements for Improvement of Species Diversity in Recreational Forest - A Case Study of Chukryongsan Recreational Forest, Gyeonggi-do -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4 no.4, 2010년, pp.351 - 362  

이태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최병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박석철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휴양림의 기능 향상을 위한 식생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외방리 축령산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휴양림 내 등산로 및 산책로 주변의 주요 분포종인 잣나무 인공식생지와 자연식생지인 낙엽활엽수림의 생물다양성 조사 및 분석 등을 실시하여 휴양림 기능향상을 위해 식생유형별 관리를 위한 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은 생물다양성 측면에서 식생관리, 현존식생 및 비오톱 현황, 식생유형 구분, 식생구조, 야생조류 서식구조 등의 기능검토를 실시하였다. 휴양림내 식생유형 구분은 현존식생과 비오톱현황을 기초로 잣나무 인공조림지와 자연상태의 낙엽활엽수림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등산로 및 산책로 주변 대표식생 조림여부, 식생관리 등에 따라 4개의 유형(관리되지 않은 인공 잣나무림, 관리된 인공 잣나무림, 단풍나무 비율이 높은 자연상태의 낙엽활엽수림, 관리된 낙엽활엽수림)으로 구분하였다. 식생구조 분석결과 종다양도는 낙엽활엽수림이 인공 잣나무림 보다 종다양도가 높게 나타났고 관리되지 않은 상태가 관리된 상태보다 종다양도지수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야생조류 서식구조 분석결과 관리된 잣나무림은 층위구조가 빈약한 단층으로 식재되어 다양한 야생조류의 이동통로로서 부적합한 구조이고, 관리되지 않은 자연상태의 낙엽활엽수림, 잣나무림 등이 양호한 야생조류 서식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물다양성 기능 검토에 근거하여 관리유형을 크게 보전관리와 복원관리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보전관리 중 기존낙엽활엽수림 유지유형은 자연상태의 낙엽활엽수림 지역, 관리된 낙엽활엽수림 지역 등이 속하며 생태적 관리유형은 관리되지 않은 인공 잣나무림 지역을 설정하였고, 복원관리지역인 생태적 복원유형은 관리된 인공 잣나무림 지역으로 설정하여 식생관리 유형별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supposed to offer vegetation plans for functional improvement of the recreational forest by researching Mt. Chukryong which is located at Oebang-li Sudong-Myon Namyangju Kyong-gi Province in Korea. In this study, artificial vegetation and natural vegetation near trails in recreatio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복원관리지역인 생태적 복원유형은 관리된 인공 잣나무림 지역이 해당되었다. 보전관리는 기존 낙엽활엽수림 유지 지역으로 기본적인 생태계 혹은 서식처가 유지되기 위하여 생물종의 보존은 필수적이며 가능한 한 많은 유전적 다양성이 유지됨으로써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이 균형을 이룬다고 했듯이 인위적인 관리를 하지 않는 자연적인 산림의 속성을 그대로 살려 낙엽활엽수림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식생 관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생태적 관리지역은 현존식생 및 식생구조 조사자료를 고려하고 아울러 향후 지속적인 관리를 고려하여 생태적 관리지역을 선정한 관리되지 않은 인공 잣나무림 지역은 일부 신갈나무, 고로쇠나무 등의 교목층과 산뽕나무, 당단풍, 층층나무 등의 아교목층이 골고루 분포할 수 있도록 자연천이에 맡겨야 한다.
  • , 1995). 본 연구는 축령산자연휴양림내 주요 식생유형별 특성을 파악하여 휴양림의 다양한 기능 중 생물다양성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생관리 방안을 수립하고자 실시하였다.
  • Guild는 유사한 방법으로 동일한 자원을 이용하는 종의 모임이라고 정의되고 있으며(Root, 1967), 영소길드(nesting guild)와 채이길드(foraging guild)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먹이자원 이용에 관련된 채이길드를 분석하고자 하며, 이러한 개념을 이용하여 야생조류 종의 다양성을 서식처(먹이자원이용) 다양성으로 변환한 Park(1994)의 기준을 응용하고 Won(1981)의 한국동식물도감 제15권 동물편(조류생태)의 자료를 이용하여 수간, 수관층, 관목층, 수변으로 구분하여 서식처의 다양성을 판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기 자연휴양림은 무엇을 위주로 계획되었는가? 2005년 12월말 현재 국유림 31개소, 공유림 50개소, 사유림 16개소로 총 97개소가 조성되어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05). 초기 자연휴양림은 시설중심, 이용자 프로그램을 위주로 계획되었지만 이용행태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이에 선행 연구에서도 자연휴양림의 시설에 의한 이용행태 및 만족도 분석위주로 연구되어 왔다(Song, 1993; Jo, 1995).
산림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과거 목재를 생산하는 기능보다는 공기정화, 수원함양 및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휴양기능으로서의 역할에 더 많은 비중을 두는 추세로 변화한 이유는? 국민경제의 급속한 성장으로 생활수준 향상 및 도시화에 따라 산림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은 과거 목재를 생산하는 기능보다는 공기정화, 수원함양 및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휴양기능으로서의 역할에 더 많은 비중을 두는 추세이다. 산림에 대한 휴양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지난 1980년대 후반부터 대관령자연휴양림을 시작으로 자연휴양림, 산림 욕장 숲속수련장 등 산림 내 다양한 휴양시설을 조성하기 시작하였으며 1990년도에는 산림법을 정비하는 등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본격적인 추진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자연휴양림의 기능이 시설물 위주의 관리에서 생태적․환경적 측면으로 점차 변화하는 이유는? 이에 선행 연구에서도 자연휴양림의 시설에 의한 이용행태 및 만족도 분석위주로 연구되어 왔다(Song, 1993; Jo, 1995). 하지만 최근 여가에 대한 인식과 활동이 매우 다양화되고, 목적 또한 심신의 휴식, 건강증진, 자연접촉, 일상생활에서의 해방, 자연학습 및 체험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Jeon, 1998). 이러한 흐름에 따라 전국적으로 조성되고 운영되는 자연휴양림의 기능이 시설물 위주의 관리에서 생태적․환경적 측면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zzaz, F.A.(1975) Plant species diversity in old-field successional ecosystems in southern [1] inois. Ecol. 56: 485-488. 

  2. Beon, M.S.(2003)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Ecological Management of Naesosa Watershed in Byonsanbando National Park.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7(3): 25-33. 

  3. Colin, J.B., N.D. Burgess and D.A. Hill(1997) Bird census techniques. Academic press limited(4th), London, 257pp. 

  4.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5. Hooper, R.G., H.S. Grawford and R.F. Harlow(1973) Bird density and diversity as related to vegetation in forest recreational area. J. of forestry 71: 766-799. 

  6. Jeon, K.S.(1998) Improvement of Trail Conditions for the Increase of the Recreational Functions in Forest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7(1): 1-10. 

  7. Jo, J.C., W. Cho and B.H. Han(1995)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in forest in Chuwangsan National Park. Journal of Korean Applied Ecology 8(2): 121-134. 

  8. Jo, J.H.(1995) Study on the Analysis of User's Satisfaction in Urban Natural Recreation Forest.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Graduate School, Kyunghee University. 

  9. Korea Forest Service(2005) Annual Report the Forestry. Seoul. 

  10. Kwon, J.O.(2003)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Ecological Evaluation for the Nature-friendly Residential Site Development Planning.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281pp. 

  11. Lee, K.J., J.C. Jo and J.S. Woo(1989) Analysi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Gayasan National Park by the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Technique. Journal of Korean Applied Ecology 3(1): 28-41. 

  12. Lee, K.J., K.B. Lim, J.C. JO and C.H. Ryu(1990)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he Forest Community in Mt. Sokri(1) -The Conservation Planning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pplied Ecology 4(1): 23-32. 

  13. Loucks, O.L.(1970) Evolution of diversity. efficiency, and community stability. Am. Zool. 10: 17-25. 

  14. Odum, E.P.(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Science 164: 262-270. 

  15. Oh, K.K., S.J. Jung and Y.S. Kim(1999) Actual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the Wolchul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7(1): 26-34. 

  16. Park, C.Y.(1994)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s for the inhabitation of wild birds.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73pp. 

  17. Park, I.H., K.J. Lee and J.C. Jo(1987)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Mt. Bukhan Area . Journal of Korean Applied Ecology 1(1): 1-23. 

  18. Pielou, E.C.(1975) A primer of conservation biology. Sinauer Associates Inc., Sunderland, 227pp. 

  19. Root, R.B.(1967) The niche exploitation pattern of the blue-gray gnatcatcher. Ecol. monogr. 37: 317-350. 

  20. Song, B.Y.(1993) Study on the Visitor's Behavior in the Forest Recreation area : with reference to the Dae-A and Mt.Man-In.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21. Won, B.O.(1981) Illustrated Flora & Fauna of Korea Vol. 25 Animal(Ecology of Birds). Ministry of Education, 1126p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