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진왜란 거북선 개판(蓋板)의 구조
Structures of the Cover of Geobukseon for Imjin Wa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3, 2011년, pp.201 - 210  

홍순구 (순천향대학교 영화애니메이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임진왜란 해상전투에 사용된 이순신의 거북선 복원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그 이유는 임진왜란에 사용된 거북선의 외부, 내부구조와 형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사료(史料)가 현재까지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복원된 거북선은 정조 19년(1795)에 왕명으로 편찬된 이충무공전서의 전라좌수영, 통제영 거북선의 목판화 그림과 설명문, 사료의 내용을 토대로 복원되었으나 두 거북선은 임진왜란 후 203년 뒤인 정조대의 거북선으로 임진왜란 당시의 거북선과는 같지 않고, 현재 복원된 임진왜란 이순신의 거북선은 임진왜란 당시의 문헌의 기록과 일치하지 않는 구조적, 형태적인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문헌에 나타난 최초의 거북선 그림인 1593년 이덕홍 귀갑선도는 그동안 거북선의 연구에서 중요시 되지 않았으나 임진왜란과 시기적으로 일치하고 그림 해석을 통한 구조분석과 판옥선, 전라좌수영, 통제영 거북선과의 관계를 분석하면 개판 윗면의 중앙부분은 평면구조이고, 전후좌우로 창검이 꽂혀있는 구조로 임진왜란 당시 기록의 내용에 접근된 거북선의 구조와 형태를 도출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scussion on restoration of Yi Sun-sin's Geobukseon used in sea battles of Imjin War continues. This is because no historical records which we can understand external and internal structure of Geobukseon used in Imjin War do not remain until now. The Geobukseon currently restored based on pictur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임진왜란 이순신 거북선의 원형복원을 위해 문헌에 나타난 거북선 그림의 구조적․형태적 분석과 기록된 내용을 중심으로 현재 복원된 거북선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거북선 개판의 구조는 전투, 항해, 무기의 배치 및 사용, 병사들의 임무수행, 선체의 외부·내부구조 등 복원에 많은 분야에 관계하는 중요한 분석 대상이다.
  • 현재 복원된 거북선의 개판은 이충무공전서에 실린 전라좌수영 ·통제영 거북선의 개판을 둥근 곡선구조로 해석해 복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복원된 거북선 개판의 구조와 형태에 문제를 제기하고 3차원 컴퓨터그래픽 시뮬레이션을 통해 임진왜란 거북선의 개판구조를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3) 개판의 전면이 용머리로 가려져 있어 구조 파악이 어렵다.
  • 4) 장대에 올라가는 계단 d는 귀갑선 판옥의 중앙통로가 된다.
  • 6) 문은 e와 같이 사수가 사용하는 구멍이 만들어진다.
  • 7) 3층 구조인 판옥전선은 그대로 3층 구조의 거북선으로 만들어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거북선의 구조와 형태를 최초로 학문적으로 연구한 사례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거북선의 구조와 형태를 최초로 학문적으로 연구한사람은 연희전문학교 교수였던 미국인 언더우드 (Horace Underwood)로 1934년 그의 논문 Korean Boat and Ships라는 논문에서 거북선의 구조와 성능에 대해 연구해 거북선의 연구 기반을 마련했다. 1950년대부터 국내 연구자에 의해 연구되면서 1969년 현충사에 1/6 크기의 거북선 모형 [그림 1]이 최초로 만들어진 후 여러 모형들은 추가로 제작되었고 교과서, 화폐, 상징물, 기념품 등으로 만들어져 이순신이 임진왜란에 사용된 거북선으로 알려져 왔다.
임진왜란 해상 전투에 사용된 이순신의 거북선 복원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임진왜란 해상전투에 사용된 이순신의 거북선 복원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그 이유는 임진왜란에 사용된 거북선의 외부, 내부구조와 형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사료(史料)가 현재까지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복원된 거북선은 정조 19년(1795)에 왕명으로 편찬된 이충무공전서의 전라좌수영, 통제영 거북선의 목판화 그림과 설명문, 사료의 내용을 토대로 복원되었으나 두 거북선은 임진왜란 후 203년 뒤인 정조대의 거북선으로 임진왜란 당시의 거북선과는 같지 않고, 현재 복원된 임진왜란 이순신의 거북선은 임진왜란 당시의 문헌의 기록과 일치하지 않는 구조적, 형태적인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임진왜란 이순신 거북선 복원과 관련한 논쟁 중, 2층 구조인가 3층 구조인가의 주장에 대해 각각 설명하시오. 임진왜란 이순신 거북선 복원의 여러 논쟁에서 2층 구조인가, 3층 구조인가의 주장은 거북선의 개판구조에 대한 논쟁이라고 할 수 있다. 2층 구조의 주장은 항해의 임무수행과 전투를 위한 무기사용이 같은 층에서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고, 3층 구조의 주장은 각각 독립된 층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각각의 두 주장은 거북선 덮개인 개판의 고증과 구조적인 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제기된 문제라고 지적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http://www.yi-sunsin.com/03ship/02_01_01.jsp 

  2. 태종실록, 권2, 태종 13년 2월 계사. 

  3. 태종실록, 권30, 태종 15년 7월 을미. 

  4. 李忠武公全書, 卷2, 狀啓1, 唐浦破倭兵狀. 

  5. 李忠武公全書, 卷9, 付祿. 

  6. 宣祖 82卷, 29年 11月 7日 己玄. 

  7. 李忠武公全書, 卷首圖說. 

  8. 艮齋集, 卷2. 

  9. 華城城役儀軟, 圖說. 

  10. 各船圖本, 圖畵書, 1800년대. 

  11. 李忠武公全書, 卷首圖說. 

  12. 萬機要覽, 軍政編四, 舟師, 總例. 

  13. 李忠武公全書, 卷首圖說.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