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200℃의 저온에서 PECVD 기법으로 성장한 SiNx 박막의 열처리에 따른 광학적 특성 변화 규명
Optical Properties of SiNx Thin Films Grown by PECVD at 200℃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20 no.1, 2011년, pp.42 - 49  

이경수 (서울시립대학교 나노과학기술학과) ,  김은겸 (서울시립대학교 나노공학과) ,  손대호 (서울시립대학교 나노과학기술학과) ,  김정호 (서울시립대학교 나노과학기술학과) ,  임태경 (서울시립대학교 나노과학기술학과) ,  안승만 (서울시립대학교 나노과학기술학과) ,  박경완 (서울시립대학교 나노과학기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_x$ 박막$200^{\circ}C$의 저온에서 $SiH_4$ 가스의 흐름 비율을 바꾸어 가며 PECVD 기법으로 성장하였다. 시료의 광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상온 광 발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성장 시 $SiH_4$ 가스의 흐름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시료의 발광 최대치 파장이 장파장으로 이동하였으나, $SiH_4$ 가스의 흐름 비율과 무관하게 모든 시료에서 1.8, 1.9, 2.2, 2.4, 그리고 3.1 eV 에너지의 발광 현상을 관찰하였다. $N_2$, $H_2$, 그리고 $O_2$ 가스 분위기에서 후열처리를 거친 후, 발광 스펙트럼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열처리 후의 발광 세기는 증가하였고, 특히, $H_2$$O_2$가스 열처리로 인하여 발광 최대치 파장이 단파장으로 이동하였으나, 특정한 파장에서 발광효과는 여전히 존재하였다. 발광 메카니즘에 대하여, $SiN_x$ 박막의 에너지 갭 내에 Si와 N 원자의 비결합 결함에 의한 에너지 준위 모델을 설정하였고, 이 에너지 준위의 천이에 의한 발광으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저온에서 성장한 $SiN_x$ 박막의 발광 효과는 앞으로 구부러짐이 가능한 Si 계 광소자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deposited $SiN_x$ thin films by using PECVD technique at $200^{\circ}C$ with various flow ratios of the $SiH_4/N_2$ gases. The photoluminescence measurements revealed that the maximum emission wavelength shifted to long wavelength as the ratio increased, howev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eV 피크를 보여 준다고 추론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결함 밀도의 감소를 O2 가스 후열처리 공정 결과에도 그대로 적용하여 그 광 발광 특성의 변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새롭게 생성된 2.

가설 설정

  • 우리는 지난번 PECVD 기법의 SiNx 박막의 광 발광 실험 결과를 참고문헌 [29,30]에서 계산된 SiNx 밴드갭 내의 결함 에너지 준위를 가지고 설명하였다 [19]. 그러나 지금은 박막 내에서 Si와 N의 비결합이 서로 가까이 존재하고, 이 비결합들과 Si-Si 결합이 거리상 멀리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 SiNx 밴드갭 내의 결함 에너지 준위 사이의 천이에 의한 발광 파장의 원인을 재구성하였다. 즉, 결함의 에너지 준위와 컨덕션/발랜스 밴드 사이의 천이는 쉽게 일어날 수 있으며, 또한 Si 비결합 에너지 준위와 N 비결합 에너지 준위 사이의 천이도 다른 천이 보다도 쉽게 일어난다고 가정하였다.
  • 그러나 지금은 박막 내에서 Si와 N의 비결합이 서로 가까이 존재하고, 이 비결합들과 Si-Si 결합이 거리상 멀리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 SiNx 밴드갭 내의 결함 에너지 준위 사이의 천이에 의한 발광 파장의 원인을 재구성하였다. 즉, 결함의 에너지 준위와 컨덕션/발랜스 밴드 사이의 천이는 쉽게 일어날 수 있으며, 또한 Si 비결합 에너지 준위와 N 비결합 에너지 준위 사이의 천이도 다른 천이 보다도 쉽게 일어난다고 가정하였다. 이에 따라 에너지 준위 사이의 천이에 따른 광 발광 파장을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 실리콘 벌크는 어떤 한계가 있었는가? 광전 소자의 응용으로 자체 발광의 디스플레이와 광통신용 소스가 거론되고 있으며, Si 광전 집적회로는 Si 의 발광 특성과 전계 전류 특성을 혼합하여 나타나는 다기능성을 이용하고자 하는 특징이 있다. 기존의 Si 벌크는 간접천이 형 반도체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임의의 에너지 준위 역이(excitation) 기법으로도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방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근래에 이르러는 나노 미터 크기의 여러 가지 Si 구조에서 효율적으로 빛을 방출 하는 것이 여러 차례 보고되고 있다 [3-5]. 이는 물질의 나노미터 크기에서 나타나는 양자역학적 구속효과와 이러한 크기 구속에 따른 전자 및 홀의 위치 불확실도(uncertainty)의 감소에 의한 것으로, 전자/홀의 웨이브 벡터 (wavevector)의 불확실도의 증가로 이어져 전자-홀 쌍의 직접천이 형 발광 재결합(radiative recombination) 효율이 높아지며, 이에 의하여 가시광선 및 적외선의 방출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유전체의 형성 방법은 어떤 것이 있는가? Si계 유전체 박막 물질에서 박막 물질의 선택과 다양한 형성 기법에 따라 발광 효과를 규명하고 있으며, Si 나노점을 포함하는 SiO2 [3-7] 및 Si3N4 박막 [8,9], Si/SiO2 다층 박막 [10,11]에서 가시광선 방출의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유전체의 형성 방법으로, Si 산화물에 Si 이온 주입 방법 [6,7], Si 과포화 유전체 박막을 위한 플라즈마 증착법 [8,9,12,13], 이온 빔 또는 화학 기상 증착법[14-17], 레이저 기화 증착법 [18], 그리고 다층 Si/Si 산화물 형성의 스퍼터링 기법 [10,11]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생성된 Si 계 유전체 박막에서 빛의 방출은 Si 나노구조의 양자역학적 효과가 주된 원인으로 생각하고 있다.
PECVD기법으로 증착한 SiNx 박막의 경우, 무엇이 밴드갭 내에 결함 상태로 존재하고 있는가? 그러나 일부 플라즈마 화학기상 증착법(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에 의해 증착된 SiNx 박막의 경우 가시광선 발광의 원인이 박막 내의 결함이라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다 [19,20]. 특히 PECVD기법으로 증착한 SiNx 박막의 경우 다량의 Si와 N 원자의 비결합 본드(dangling bond) 및 ≡Si-Si≡ 결합 등이 밴드갭 내에 결함 상태로 존재한고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21-23]. 이와 같은 결함의 에너지 준위들은 전자의 에너지 천이를 통하여 가시광선 발광 효과를 나타낼 가능성이 매우 크다 [24,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ight Emission in Silicon: From physics to Device, edited by D. J. Lockwook (Academic Press, SanDiego, 1998), Chapter 1. 

  2. L. T. Canham, Nature 408, 411 (2000). 

  3. L. Pavesi, L. Dal Negro, C. Mazzoleni, G. Franzo, and F. Priolo, Nature 408, 440 (2000). 

  4. J. Ruan, P. M. Fauchet, L. Dal Negro, M. Cazzanelli, and L. Pavesi, Appl. Phys. Lett. 83, 5479 (2003). 

  5. M. J. Chen, J. L. Yen, J. Y. Li, J. F. Chang, S. C. Tsai, and C. S. Tsai, Appl. Phys. Lett. 84, 2163 (2004). 

  6. K. S. Min, K. V. Shcheglov, C. M. Yang, and H. A. Atwater, Appl. Phys. Lett. 69, 2033 (1996). 

  7. H. Z. Song and X. M. Bau, Phys. Rev. B 55, 6988 (1977). 

  8. N. -M. Park, C. -J. Choi, T. -Y. Seong, and S. -J. Park, Phys. Rev. Lett. 86, 1355 (2001). 

  9. B. -H. Kim, C. -H. Cho, T. -W. Kim, N. -M. Park, G. Y. Sung, and S. -J. Park, Appl. Phys. Lett. 86, 091908 (2005). 

  10. G. F. Grom, D. J. Lockwood, J. P. McCaffrey, P. M. Fauchet, B. White, J. Diener, D. Kovalev, F. Koch, and L. Tsybeskov, Nature 407, 358 (2000). 

  11. M. Zacharias, J. Heitmann, R. Scholz, and U. Kahler, Appl. Phys. Lett. 80, 661 (2002). 

  12. M. V. Wolkin, J. Jorne, and P. M. Fauchet, Phys. Rev. Lett. 82, 197 (1999). 

  13. Y. J. Park, T. K. Lee, C. H. Lee, and E. K. Kim, J. Korean Phys. Soc. 44, 700 (2004). 

  14. J. -S. Bae, S. -H. Choi, J. K. Han, and D. W Moon, J. Korean Phys. Soc. 43, 557 (2003). 

  15. K. H. Park, Y. Kim, T. H. Chung, H. J. Bark, J. Y. Yi, W. C. Choi, and E. K. Kim, J. Korean Phys. Soc. 39, S283 (2001). 

  16. M. -G. Kim, Z. Yun, J. Lyon, S. Cho, Y. J. Park, and E. K. Kim, J. Korean Phys. Soc. 38, 750 (2001). 

  17. J. H. Kang, Y. D. Kim, K. M. Cha, H. J. Cheong, and Y. Kim, J. Korean Phys. Soc. 45, 1065 (2004). 

  18. S. Lee, B. Y. Park, K. W. Park, C. H. Bae, S. M. Park, C. J. Choi, and S. J. Lee, J. Korean Phys. Soc. 51, S308 (2007). 

  19. C. Ko, J. Joo, M. Han, B. Y. Park, J. H. Sok, and K. Park, J. Korean Phys. Soc. 48, 1277 (2006). 

  20. M. Wang, D. Li, Z. Yuan, D. Yang, and D. Que, Appl. Phys. Lett. 90, 131903 (2007). 

  21. S. Fujita, J. Electronchem. Soc. 132, 398 (1985). 

  22. W. L. Warren, P. M. Lenahan. and S. E. Carry, Phys. Rev. Lett. 65, 207 (1991). 

  23. T. Shimizu, J. Non-Cryst. Solids 59, 117 (1985). 

  24. C. -F. Lin, W. -T. Tseng, and M. S. Feng, J. Appl. Phys. 87, 2808 (2000). 

  25. E. Holzenkampfer, F. -W. Richter, J. Stuke, and U. Voget-Grote, J. Non-Cryst. Solids 32, 327 (1979). 

  26. K. -M. Lee, T. -H. Kim, J. -D. Hwang, S. H. Jang, K. Y. Jeong, M. S. Han, S. H. Won, J. H. Sok, K. W. Park, and W. -S. Hong, Scripta. Mater. 60, 703 (2009). 

  27. A. Iqbal, W. B. Jackson, C. C. Tsai, and J. W. Allen, J. Appl. Phys. 61, 2947 (1987). 

  28. P. A. Pundur, J. G. Shavalgin, and V. A. Gritsenko, Phys. Status Solidi. A 94, K107 (1986). 

  29. J. Robertson, J. Appl. Phys. 54, 4490 (1983). 

  30. J. Robertson and M. J. Powell, Appl. Phys. Lett. 44, 415 (19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