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기본계획 사업비 특성분석
Characteristics Analysis on Budget Distribution of Master Plan for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s of Rural Villages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17 no.1, 2011년, pp.13 - 27  

김대식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환경토목학과) ,  이승한 (농림수산식품부 농촌정책국 지역개발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budget investment plans for the unit-project items(UPI) of 176 project districts for the rural village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s (RVCDP). This study classified the master plan reports of 176 project districts into 88 unit project items in aspect of project manage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대하여 상향식 계획에 나타난 사업비 배분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첫째, 기본계획서에 나타난 사업시행 단계에서 사용 하는 단위사업항목별로 특성을 분석하였다. 여기서는 시도별/년차별/지역유형별 분석을 시도하여, 사업비 배분의 다양한 특성을 기초 통계량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계획되어 시행되고 있는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대상권역에 대하여, 기본계획서에 제시된 투자계획을 분석하고자 한다. 사업집행단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단위사업 항목별 사업비 투자계획에 대하여 기본적인 통계분석을 실시하고, 나아가, 사업의 유형별로 체계화된 사업항목들에 대하여 사업비 비중의 분포 특성을 분석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상향식으로 전개되어온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사업항목들을 체계회된 사업분류에 따라 사업비 투자계획을 분석하여 사업비 배분에 대한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2004년에서 2008년 사이에 계획된 176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시행 권역을 설정하고 단위사업항목별 사업비의 배분 특성과 투입사업비 비중을 분석하였다.
  • 사업집행단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단위사업 항목별 사업비 투자계획에 대하여 기본적인 통계분석을 실시하고, 나아가, 사업의 유형별로 체계화된 사업항목들에 대하여 사업비 비중의 분포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대상으로는 2004년에서 2008년까지 176개 권역의 기본계획서를 설정하고, 사업비의 배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동 사업 또는 유사 사업의 기획과 시행에 중요한 참고자료가 되도록 함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 그런데, 투자계획을 작성함에 있어서 단위사업들의 명칭과 내용에 관한 표준화된 틀이 모호할 뿐만 아니라 각 권역별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획일적인 사업항목의 설정이 어려워, 결과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작성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본계획서가 확정된 176개 권역의 투자내역서를 취합하고 분석하여 최대한 표준화된 사업항목들로 집대성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우선 현장에서 사업을 시행하는데 사용되는 사업항목들을 공통적으로 도출하였는데, 부록에 수족된 Table A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중소분류로 구성되었다.
  • 여기서는 사업비의 비중에 대한 기초 기술통계량 분석과 사업비 순위에 대한 년차별 분포 패턴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접근은 사업항목간 사업비 비중의 분포 패턴을 분석하여 향후 진행될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사업비 배분의 참고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총투자 사업비의 63% 정도가 도로 개발에 우선적으로 투자된 결과로 볼때 어떻게 해석 할 수 있는가? 1990년에 착수된 정주권 개발 시범지구 9개 면에 대하여 시범 평가를 실시한 결과 총투자 사업비의 63% 정도가 도로 개발에 우선적으로 투자되고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도로에 사업비가 집중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이것은 정주권 개발이라는 당초의 폭넓은 취지와는 달리 사업비가 일부 항목으로 대부분 사용되는 변형된 결과를 보였다 (농림수산부, 1994).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사업 기획단계의 취지가 최종적으로 사업비를 공간에 투입하는 단계까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거나, 실제 농어촌 주민들의 수요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하향식 사업의 보편적인 결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시각에서 상향식 사업의 특성을 가진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사업비는 어떠한 형태로 농어촌공간에 투자되었는 지에 대하여 분석해 볼 필요가 있으며, 이로부터 과거에 수행된 하향식 사업들과 상향식 사업들이 농촌에 최종적으로 투영된 결과가 어떻게 다른 지를 사업비의 배분을 통하여 분석이 가능할 것이며, 나아가 시대에 따른 농촌주민의 개발에 대한 수요의 변화도 병행하여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은 어떤 방향으로 사업들이 전개되었는가? 이와 같은 분석 결과로부터, 전국에 산재되어 시행되고 있는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사업항목별 사업비 배분에도 일정한 규칙과 규모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정주권개발사업 등 2000년대 이전의 사업들이 도로 등 기초 인프라에 집중된 반면,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은 점차적으로 농촌소득, 문화복지, 건강휴양, 경관형성 등에 집중되어, 농촌주민의 삶의 질과 방문객들의 매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사업들이 전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지금까지 시행된 사업의 통계자료로서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진행될 유사형태의 사업비 배분 및 예산책정에도 좋은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은 정부에서 언제부터 시행해오고 있는가?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은 정부에서 2004년부터 시행해 오고 있는데 어느 정도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평가 되어 왔으나, 2010년도에 이르러 포괄보조사업의 틀 안에서 시군에서 자율적으로 시행해야 하는 등, 사업의 시행과 추진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사업의 진행 이력을 볼 때 동 사업에 대한 심층 분석이 필요한 시기에 이르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김경량, 최윤상, 홍성규, 2006,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중간평가체계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2), 65-73. 

  2. 김대식, 최현성, 2007, 어메니티자원과 인적자원을 고려한 농촌마을의 관광잠재력 평가기법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2), 7-16. 

  3. 김대식, 권용대, 2009, 농촌마을 단위 그린투어리즘 포텐셜 조사 분석 연구,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1(3), 15-24. 

  4. 김묘정, 김혜민, 조순재, 2007, 농촌 장수마을 공간 계획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2), 107-120. 

  5. 김혜민, 2006, 농촌마을개발사업의 전개와 주민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3), 3-11. 

  6. 농림수산부, 1994, 농어촌정주생활권개발 시범사업 평가. 

  7. 엄대호, 김대식, 김태철, 김은순, 2006, BSC에 의한 농촌마을 그린투어리즘 성과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3), 43-55. 

  8. 이병원, 2006, 농촌관광사업에서 마을주민들이 인식하는 갈등의 원인 및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승한, 2010, AHP법을 이용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사업항목별 중요도 설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승한, 김대식, 2010, AHP법을 이용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사업항목별 중요도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6(3), 43-49. 

  11. 임창수, 최수명, 김영주, 조영재, 2007, 농촌마을 수준에서의 어메니티 강화 및 저해요소 평가등급체계 구축,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2), 27-38. 

  12. 조중현, 김용근, 2008, 농촌지역개발사업 추진과정에서 표출된 주민간 갈등의 근거 이론적 해석: 농촌체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4(2), 1-2. 

  13. 최양부, 이정환, 정철모, 김향자, 1985, 정주생활권 설정 및 유형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4. 한경수, 김기현, 전택기, 엄대호, 최윤상, 2007,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중간 점검을 위한 평가지표 적용 사례,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2), 121-132. 

  15. 연수권역 기본계획서(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외 175개 권역 기본계획서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