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창포 추출물의 모기에 대한 기피활성
Repellent Activity of the Extracts of Acorus Gramineus against Mosquito (Culex pipinens pallens)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0 no.1, 2011년, pp.76 - 81  

이승호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친환경농업연구소) ,  정진관 (영일고등학교) ,  박상현 (영일고등학교) ,  김문식 (영일고등학교) ,  한연수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친환경농업연구소) ,  서정미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김인선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친환경농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의약소재로서 석창포의 활용성을 조사하고자 석창포 추출물의 모기에 대한 기피효과를 시험한 결과 모기를 방사한 장소에서 추출물에 노출된 공간으로 이동한 모기 마리수 비율은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공간으로 이동한 모기 마리수 비율에 대비하여 현저하게 낮았다. 또한, 방사한 공간에 남아 있는 모기 마리수 비율은 석창포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공간으로 이동한 모기 마리수 비율에 비해 낮았다. 이는 모기가 석창포 추출물을 기피하는 경향에서 비롯된 결과임을 의미하였다. 석창포 추출물의 모기기피 활성성분을 조사하고자 추출물을 GC/MS 분석한 결과 주요 성분은 ${\beta}$-asarone으로 밝혀졌다. 시판중인 asarone을 이용하여 기피실험을 실시한 결과 ${\alpha}$-asarone과 ${\beta}$-asarone 모두 기피활성을 보였으며 ${\beta}$-asarone이 ${\alpha}$-asarone에 비해 기피활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석창포 추출물이 친환경적으로 모기를 제어하기 위한 식의약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corus gramineus is of medicinal plants that exhibit variable biological activities for human health and against insect pests. The extracts of A. gramineus was examined in an attempt to develop a natural repellent against human disease-mediating Culex pipiens. METHODS AND RESULTS: The 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석창포는 재배환경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산간지역이나 냇가 등지에서 쉽게 재배될 수 있는 식물로서 이의 다양한 생리활성(Tang and Eisenbrand, 1992)은 식의약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식의약소재로서 석창포의 활용성을 연구하고자 석창포 추출물의 모기에 대한 기피효과를 시험하였다. 모기를 시험상자의 빈 공간에 방사한 다음 외부에서 자극을 주어서 이동을 유도하였을 때 석창포 추출물에 노출된 공간에 이동한 모기 마리수 비율은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공간에 이동한 모기 마리수 비율에 대비하여 현저하게 낮았다.
  • 국내에서 석창포의 대량재배가 가능하다는 것은 석창포가 원료공급이 가능한 항충 및 항균활성을 지닌 식의약 천연소재로서 그 가치와 활용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의약소재로서 석창포의 활용성을 연구하기 위해 이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모기에 대한 기피효과를 시험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 2003). 본 연구에서 모기 기피효과가 석창포 추출물의 훈증작용에서 오는 것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추출물에 함유된 asarone 성분이 모기 호흡기를 통해 체내에 유입되어 기피활성을 일으켰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한편, 석창포 추출물에 함유된 β-asarone은 벼멸구(Nilaparvata lugens)와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에 대해서 살충력을 지니고 있으며(Lee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EET에 비해 비교적 안전성이 높은 기피제로서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천연기피제로는 무엇이 있는가? 따라서 모기를 제어하기 위해 보다 안전성이 높은 방법을 탐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DEET에 비해 비교적 안전성이 높은 기피제로서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천연기피제로는 식물성 오일류가 있다(Mark et al., 2002; Gillij et al.
본 연구에서 석창포 추출물의 모기에 대한 기피효과를 시험한 결과는 시간대별로 어땠으며 그 이유는 무엇이라 사료되는가? 하지만, 본 연구결과에서는 두 공간에서 조사된 모기 마리수 비율이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석창포 추출물의 모기 기피효과는 시간대별로 서로 유사하였다. 이는 기피시험을 시작할 때 모기를 방사하기 전에 미리석창포 추출물을 일정시간 노출하는 동안 추출물이 노출공간에 이미 포화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석창포는 어떠한 기운이 세다고 전해지는가? 석창포는 동의보감에 의하면 뱃속의 벌레를 죽이고 인축에 기생하는 벼룩과 이를 죽이는 기운이 세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석창포의 효과에 기초하여 우리나라에서는 과거 단오절에 창포물에 머리를 감아 기생하는 이를 제거했다는 풍습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sari, M.A., Vasudevan, P., Tandon, M., Razdan, R.K., 2000. Larvicidal and mosquito repellent action of peppermint (Mentha piperita) oil, Biores. Technol. 71, 267-271. 

  2. Cheng, S.S., Chang, H.T., Chang, S.T., Tsai, K.H., Chen, W.J. 2003. Bioactivity of selected plant essential oils against the yellow fever mosquito Aedes aegypti larvae, Biores. Technol. 89, 99-102. 

  3. Choi, J.K., Lee, J.H., Lee, J.H., Lee, S.G., Han, Y.S., Han, T.H., 2006. Eco-frendly control of Culex pipiens (mosquito) larvae by Acorus calamus (sweet flag) and Acorus gramineus (grassy-leaved sweet flag) extracts, Korean J. Plant Res. 19, 721-726. 

  4. El Hag, E.A., El Nadi, A.H., Zaitoon, A.A., 1999. Toxic and growth retarding effects of three plant extracts on Culex pipiens larvae (Diptera: Culicidae), Phytother. Res. 13, 388-392. 

  5. Feldman, R.J., Maibach, H.I., 1970. Absorption of some organic compounds through the skin in man, J. Invest. Dermatol. 54, 399-404. 

  6. Gillij, Y.G., Gleiser, R.M., Zygadlo, J.A., 2008. Mosquito repellent activity of essential oils of aromatic plants, Biores. Technol. 99, 2507-2515. 

  7. James, A.A., 1992. Mosquito molecular genetics: the hands that feed bite back, Science, 257, 37-38. 

  8. Kang, S.H., Kim, G.H., Kim, M.K., Seo, D.K., 2006. Insecticid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against larvae of Culex pipiens pallens, Korean J. Pest. Sci. 10, 43-49. 

  9. Lee, H.K., Park, C., Ahn, Y.J., 2002. Insecticidal activities of asarones identified in Acorus gramineus rhizome against Nilaparvata lugens (Homoptera: Delphacidae) and Plutella xylostella (Lepidoptera: Yponomeutoidae), Appl. Entomol. Zool. 37, 459-464. 

  10. Fradin, M.S., Day J.F., 2002. Comparative efficacy of insect repellents against mosquito bites, N. Eng. J. Med. 347, 13-18. 

  11. Osimitz, T.G., Grothaus, R.H., 1995. The present safety assessment of DEET, Am. Mosq. Control Assoc. 11, 274-278. 

  12. Oyedele, A.O., Gbolade, A.A., Sosan, M.B., Adewoyin, F.B., Soyelu, O.L., Orafidiya, O.O., 2002. Formulation of an effective mosquito-repellent topical product from lemongrass oil, Phytomedicine 9, 259-262. 

  13. Park, C., Kim, S.I., Ahn, Y.J., 2003. Insecticidal activity of asarones identified in Acorus gramineus rhizome against three coleopteran stored-product insects, J. Stor. Products Res. 39, 333-342. 

  14. Pronczuk, J., Fogel, E., 1983. Toxicity of an insect repellent: N,N-dimethyl-m-toluamide (DEET), Vet. Hum. Toxicol. 25, 422-423. 

  15. Qiu, H., McCall, J.W., Jun, H.W., 1998. Formulation of topical insect repellent N,N-dimethyl-m-toluamide (DEET): vehicle effects on DEET in vitro skin permeation, Int. J. Pharm. 163, 167-176. 

  16. Robins, P.J., Cherniack, M.G., 1986. Review of biodistribution and toxicity of the insect repellent N,Ndimethyl-m-toluamide (DEET), J. Toxicol. Environ. Health 18, 503-525. 

  17. Sakulku, U., Nuchuchu, O., Uawongyart, N., Puttipipatkhachorn, S., Soottitanttawat, A., Ruktanonchai, U., 2009. Characterization and mosquito repellent activity of citronella oil nanoemulsion, Int. J. Pharm. 372, 105-111. 

  18. Tang, W., Eisenbrand, G., 1992. Chinese Drugs of Plant Origin, Springer, New York. 

  19. Taylor, W.G., Danielson, T.J., Spooner, R.W., Golsteyn, L.R., 1994. Pharmacokinetic assessment of the dermal absorption of N,N-diethyl-m-toluamide (DEET) in cattle, Drug Metab. Dispos. 22, 106-1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