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각망에 채집된 2008년 태안 연안 어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a Two-side Fyke Net in the Coastal Water off Taean in 2008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4 no.2, 2011년, pp.173 - 178  

황학빈 (충남대학교 해양학과) ,  이태원 (충남대학교 해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pecies and size compositions of fishes in the coastal waters off Taean were determined using samples collected with a two-sided fyke net in 2008. A total of 22 species, 2,371 individuals and 1,351 kg of fish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Of the fish collected, semi-benthic fishes such as Se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태안 연안 어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2008년에 태안반도 북부 의항리 만입구에서 이각망으로 어류를 채집하여 종조성 특성과 우점종의 체장 조성을 밝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각망이란 무엇인가? 1). 이각망은 이동 중인 어류가 길그물을 따라 그물로 들어오게 하여 잡는 수동어구이다. 채집에 이용된 이각망은 길그물의 길이가 약 50 m, 4각형의 헛통 그물의 한 변이 약 10 m, 그 뒤 물고기가 모이는 자루그물 부분은 약 3 m였고, 당긴 망목은 3 cm였다.
태안 연안에서 채집된 어류의 대부분은 어떤 종류의 어류였는가? 태안 연안에서 이각망에 채집된 어류는 22종이었으며, 방어와 삼치 같은 회유성 부어류를 제외한 나머지 종들은 연안 저어류 (demersal fish)들로, 이 가운데 조피볼락, 숭어, 가숭어와 같이 해저 가까이에 사는 반저어류 (semi-benthic fish)가 10종, 문치가자미, 넙치, 아귀 등과 같이 주로 해저에 주로 머무는 저서어류 (benthic fish)가 10종이었다 (Table 1). 채집량에서 반저어류가 개체수에서 77.
태안 연얀의 종 조성 조사 결과 몇 종의 어류와 몇개의 개체가 출현하였는가? 조사 기간 동안 총 22종, 2,371개체, 1,350,719 g의 어류가 출현하였다 (Table 1). 채집된 어종 가운데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i), 숭어 (Mugil cephalus), 가숭어 (Chelon haematocheilus) 등과 같이 해저면 가까이에 사는 반저어류 (semi-benthic fish)의 채집량이 가장 많았고, 문치가자미 (Pleuronectus yokohamae),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아귀 (Lophiomus setigerus) 등과 같이 바닥에 주로 머무는 저서어류 (benthic fish)는 반저어류에 비하여 채집량이 적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llen LG. 1982. Seasonal abundance,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of the littoral fish assemblage in upper Newport Bay, California. Fish Bull US 80, 767-790. 

  2. Choi Y and Jang JH. 2007. Ichthyofauna of intertidal zone in the Taean marine park, western coast, Korea. Kor J Environ Biol 24, 297-302. 

  3. Chyung MK. 1977. The fishes of Korea. Ilji-sa, Seoul, Korea, 727. 

  4. Huh SH. 1986.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in abundance of fishes in eel grass meadows. J Kor Fish Soc 19, 509-517. 

  5. Huh SH and An YR. 2002.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 off Gadeok-do, Korea. 2. Fishes collected by three sides fyke nets. J Kor Fish Soc 35, 366-379. 

  6. Hwang SW, Hwang HB, Noh HS and Lee TW. 2005.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bag net in the Geum River estuary, Korea. J Kor Fish Soc 38, 39-54. 

  7. Joo CS, Park JH and Park JS. 2006. Season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ishery creatures caught in funnel net fishing ground of the Yeosu coastal sea. Bull Kor Soc Fish Technol 42, 158-168. 

  8. Kim IS, Choi Y, Lee CL, Lee YJ, Kim BJ and Kim JH.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 Co. Seoul, Korea, 615. 

  9. Lee TW. 1989. Seasonal fluctuation in abundance an species composition of demersal fishes in Cheonsu Bay of the Yellow Sea, Korea. Bull Kor Fish Soc 22, 1-8. 

  10. Lee TW. 1993. The demersal fishes of Asan Bay. III. Spatial vari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Bull Kor Fish Soc 26, 438-445. 

  11. Lee TW and Hwang SW. 1995. The demersal fish of Asan bay. IV. Tempor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from 1990 to 1993. Bull Kor Fish Soc 28, 67-79. 

  12. Lee TW. 1996.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onsu Bay. 2. Demersal fish. Bull Kor Fish Soc 29, 71-83. 

  13. Lee TW. 1998.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onsu Bay. 3. Pelagic fish. J Kor Fish Soc 31, 645-664. 

  14. Lee TW and Seok KJ. 1984. Seasonal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Cheonsu Bay using trap net catches. J Oceanol Soc Korea 19, 217-227. 

  15. Lee TW, Hwang SW, Park SY, Joe YR and Chung HJ. 1995. Alteration in community structure of the shallow-water fish in Chonsu Bay. Bull Nat Fish Res Dev Agency 49, 219-231. 

  16. Lee TW, Moon HT and Choi SS. 1997.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onsu Bay (II) Surf zone fish. Kor J Ichthyol 9, 79-90. 

  17. Lim HC and Choi Y. 2000. Fish fauna of the coastal waters off Taean in the West Sea of Korea. Kor J Ichthyol 12, 215-222. 

  18. MLTM. 2009. Study on environmental impact and restoration of ecosystem after Hebei Sprit oil pollutio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Korea, 801. 

  19. Nakabo T. 2002.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English edition. Tokai Univ Press, Japan, 1749. 

  20. Noh HS, Youk KS, Hwang HB and Lee TW. 2009.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shallow water fishes at Taean beaches, in the Yellow Sea of Korea. The Sea - J Kor Soc Oceanogr 14, 145-154. 

  21. Shannon CE and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Illinois Univ Press, Urbana, U.S.A, 117. 

  22. Shin MC and Lee TW. 1990. Seasonal vari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surf zone fish assemblage at Taecheon sand beach. Kor J Oceanol Soc 25, 135-1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