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안 연안에서 이각망에 의해 채집된 숭어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Collected by a Two-side Fyke Net in the Coastal Water off Taean,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6 no.3, 2014년, pp.194 - 201  

홍지민 (충남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윤재선 (충남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이태원 (충남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태안 연안에서 이각망에 어획된 숭어 이석을 관찰하여 연령을 사정하고, 이석 윤문의 폭으로부터 체장을 역추정하여 성장을 추정하였다. 태안 연안 숭어는 외해에서 산란하여 유어기를 보낸 후 성어가 연안으로 들어온 것으로 보이며, 관찰한 숭어의 전장은 239~605 mm 범위였으며, 400~550 mm 크기의 개체가 주를 이루었다. 나이는 1~7세 범위였고 3~5세어가 가장 많았다. 전장(L, mm)은 이석의 장반경(R, ${\mu}m$)에 유의하게 일차 비례하였다(L=15.3+87.9 R). Frazer-Lee의 방법으로 추정한 각 연륜이 형성되었을 때의 전장은 1세어의 평균(${\pm}SD$)은 $316{\pm}40.6mm$로 초기 성장이 빨랐으며, 각 나이에서 그 범위가 넓어 개체에 따른 성장률 차이가 큰 것으로 보인다. 역추산한 전장은 Von Bertalanffy의 성장식 $L_t=542[1-{\exp}\{-0.493(t+0.769)\}]$로 유의하게 회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ge and growth of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were estimated using samples collected by a two-side fyke net in the coastal water off Taean in 2008. Age was determined by examination of annuli in otoliths and total lengths at ages were back-calculated from otolth-body size relationship. To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첫 번째 불투명대와 두 번째 불투명대 사이의 투명대에서는 다시 몇 개의 방사상 골들이 관찰되었으나 그 수는 핵 주변부 첫 번째 투명대에서보다 적었다. 동심원상의 불투명대 가장자리에 뚜렷한 성장정지선이 관찰되어 본 연구에서는 이 성장정지선을 연륜으로 판독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2월, 3월과 4월의 당년 성장을 시작하기 이전과 11월의 성장이 끝난 시기에 채집되어, 이석 가장자리를 연륜으로 보고 나이를 추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태안 연안 이각망에 채집된 숭어의 이석을 관찰하여 연령을 추정한 후 성장양상을 파악하였다. 또 서해 중부 하구를 포함한 국내 다른 해역의 숭어의 계절별 출현 빈도 및 체장 조성을 비교 분석하여 서해 중부 연안 숭어의 출현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의 저자가 연구를 종합하였을 때, 우리나라 연안에서 숭어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서해 하구에서 망목이 작은 어구에도 숭어 유어들이 채집되지 않고 성어들만 채집되는 것은 망목 선택 때문이 아니고 이 해역에는 주로 성어들만이 서식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위의 숭어 관련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제주도나 남해에서는 치어를 포함한 전 생활사의 숭어들이 살아가지만, 서해 중부 연안에는 치어들은 출현하지 않고 다른 해역에서 성장한 후 성어 일부가 서해 연안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추가의 연구가 요구된다.
태안 연안 숭어의 특징은 무엇인가? 태안 연안에서 이각망에 어획된 숭어 이석을 관찰하여 연령을 사정하고, 이석 윤문의 폭으로부터 체장을 역추정하여 성장을 추정하였다. 태안 연안 숭어는 외해에서 산란하여 유어기를 보낸 후 성어가 연안으로 들어온 것으로 보이며, 관찰한 숭어의 전장은 239~605 mm 범위였으며, 400~550 mm 크기의 개체가 주를 이루었다. 나이는 1~7세 범위였고 3~5세어가 가장 많았다. 전장(L, mm)은 이석의 장반경(R, ${\mu}m$)에 유의하게 일차 비례하였다(L=15.
남해안 숭어의 이동에 대해 설명하라 , 2005)와 여수 연안 숭어의 연령과 성장에 대하여 연구되었다(장 등, 2011).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남해안 숭어는 늦가을에 연안 수온이 낮아지면 외해로 이동하여 11월에서 1월 사이 산란하고 다음해 3월 수온이 상승하면 다시 연안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 이외에 연안이나 하구의 어류 종조성 연구에서 숭어의 계절에 따른 출현 양상이 보고되었을 뿐(허와 안, 2002; 황 등, 2003, 2005; 황 등, 2008; 황과 노, 2010; 황과 이, 2011; 황 등, 2010, 2012) 서해 연안 숭어의 생태에 대해서는 연구가 더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박성우.유진하.이천희. 2006. 육상 수조에서 사육 중인 숭어(Mugil cephalus)의 Amylodinium sp. 감염. 한국어병학회지, 19: 7-16. 

  2. 예상진.정재묵.김현지.박주면.허성회.백근욱. 2014. 순천상내리 갯골에 출현하는 어류군집. 한국어류학회지, 26: 74-80. 

  3. 이태원.문형태.김광천. 2003. 방조제 건설 중인 2001-2002년 새만금 하구역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6: 298-305. 

  4. 장영진.허준욱.임한규. 2001. 순환여과 사육시스템에서 해수와 담수에 사육한 숭어(Mugil cephalus) 치어의 성장과 생존율. 한국양식학회지, 14: 29-33. 

  5. 장창익.박희원.권혁찬. 2011. 여수 연안 숭어(Mugil cephalus)의 연령과 성장 연구. 한국어업기술학회지, 43: 203-213. 

  6. 허성회.안용락. 2002.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5: 66-379. 

  7. 허준욱.장영진. 1999. 사육수의 단계적인 염분변화에 따른 숭어(Mugil cephalus)와 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의 생리적 반응. 한국양식학회지, 12: 283-292. 

  8. 황선도.임양재.김용철.차형기.최승호. 1998. 서해 영광 연안 수산자원 I. 주목망 어획자원의 종조성. 한국수산과학회지, 31: 727-738. 

  9. 황선도.노진구. 2010. 한강 하구역 유영생물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5: 72-85. 

  10. 황선도.노진구.이선미.박지영.황학진.임양재. 2010. 한강하구역 강화 갯벌 조간대 건간망에 어획된 유영생물 군집구조.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5: 166-175. 

  11. 황선도.이우주.임양재. 2012. 서해 하구역과 연안역 유영생물의 군집구조 비교.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7: 149-159. 

  12. 황선완.김종관.이태원. 2003. 강화도 갯벌 천해의 건간망 어획 어류의 계절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6: 676-685. 

  13. 황선완.황학빈.노형수.이태원. 2005. 개량안강망에 채집된 금강하구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8: 39-54. 

  14. 황학빈.이태원.황선완.김병직. 2008. 제주 천제연 하구 소상 어류의 월별 종조성. 한국어류학회지, 20: 210-219. 

  15. 황학빈.이태원. 2011. 이각망에 채집된 2008년 태안 연안 어류종조성. 한국수산학회지, 44: 173-178. 

  16. Bertalanffy, L. von. 1938. A quantitative theory of organic growth. Hum. Biol., 10: 181-213. 

  17. Campana, S.E. 1990. How reliable are growth back-calculation based on otoliths? Can. J. Fish. Aquat. Sci., 47: 2219-2227. 

  18. Chang, C.W., Y. Lizuka and W.N. Tzeng. 2004. Migratory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grey mullet Mugil cephalus as revealed by otolith Sr: Ca ratio. Mar. Ecol. Prog. Ser., 269: 277-288. 

  19. Huang, C.S., C.F. Weng and S.C. Lee. 2001. Distinguishing two types of gray mullet, Mugil cephalus L. (Mugiliformes: Mugilidae), by using glucose-6-phosphate isomerase (GPI) allozymes with special reference to enzyme activities. J. Comp. Physiol., B 171: 387-394. 

  20. Hwang, S.D., T.W. Lee and J.Y. Kim. 2008. Age, Growth and Maturity of chub mackerel off Korea. North American J. Fish Manag., 28: 1414-1425. 

  21. Jamandre, B.W., J.D. Durand and W.N. Tzeng. 2009. Phylogeography of the flathead mullet Mugil cephalus in the north-west Pacific as inferred from the mtDNA control region. J. Fish Biol., 75: 393-407. 

  22. Kim, D.S., C.S. Joo and J.S. Park. 2005. A study on the movement distribution of common grey mullet, Mugil cephalus in funnel net fishing ground of the Yeosu coastal sea. Bull. Korean Soc. Fish. Tech., 41: 1-8. 

  23. Kwun, H.J., B.J. Kim, C.S. Lee, C.L. Lee and J.K. Kim. 2012a. First record of large scale mullet, Chelon macrolepis (Mugiliformes: Mugilidae) from Jeju Island, Korea. Korean J. Ichthyol., 24: 135-138. 

  24. Kwun, H.J., J.K. Kim and S.M. Kweon. 2012b. First record of blue spot mullet, Moolgarda seheli (Mugiliformes: Mugilidae) from Jeju Island, Korea. Korean J. Ichthyol., 24: 297-301. 

  25. Lee, C.L. and D.S. Joo. 1994. Synopsis of Family Mugilidae (Perciformes) from Korea. J. Kor. Fish. Soc., 27: 814-824. 

  26. Lee, T.W. and J.S. Byun. 1996. Microstructural growth in otoliths of conger eel (Conger myriaster) leptocephali during the metamorphic stage. Mar. Biol., 125: 259-268. 

  27. Lee, T.W. and K.S. Lee. 1989. Daily growth increments and lunar pattern in otolith of the eel, Anguilla japonica, in freshwater. Bull. Korea Fish. Soc., 22: 36-40. 

  28. Liu, C.H. 1986. Survey of the spawning grounds of gray mullet. In Study on the Resource of Gray Mullet in Taiwan 1983-1985 (Su, W.C. ed.), Kaohsiung: Taiwan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pp. 63-72. 

  29. Schirripa, M.J. 2002. An evaluation of back-caluculation methodology using simulated otolith data. Fish. Bull., 100: 789-799. 

  30. Yamada, U., M. Tagawa, S. Kishida and K. Honjo. 1986. Fishes of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Sekai reg. Fish. Res. Lab., Japan. 501pp.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