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홍수취약성지표의 개발
Development of Flood Vulnerability Index Considering Climate Change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4 no.3, 2011년, pp.231 - 248  

손민우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기술연구소) ,  성진영 (롯데건설) ,  정은성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공학부) ,  전경수 (성균관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요소를 반영하여 홍수취약성지표 (Flood Vulnerability Index, FVI)를 개발하였고 이를 북한강 유역의 6개 중권역에 적용하였다. 기후변화 요소를 고려하기 위해 IPCC의 CGCM3 모형의 A1B와 A2 시나리오를 이용하였고 일단위로 축소화하기 위해 SDSM (Statistical Downscaling Model) 모형을 이용하였다. 홍수취약성 인자를 선정하기 위해 지속가능성 평가모형인 추진력-압력-상태-영향-반응 (Driver-Pressure-State-Impact-Response, DPSIR) 모형을 이용하였고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유출의 특성분석은 연속유출모의모형인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홍수취약성지수는 유역의 현상태 및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한 잠재적 취약성을 정량적인 하나의 지수로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어서 장기 수자원 및 유역관리 정책수립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Flood Vulnerability Index (FVI) and apply it to the Bukhan River Basin. A1B and A2 scenarios of CGCM3 of IPCC were adopted and SDSM (Statistical Downscaling Model) was used to downscale the original data to the daily data. Driver-Presure-State-Impact-Response (DPSIR) 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PSIR 구조가 개발된 이유는? DPSIR 구조는 EEA (European Environment Agency, 1999)가 OECD의 PSR 구조를 개선하여 지속가능성을 지표화하기 위해 개발하였다. 기존의 PSR 구조는 복잡한 생태학적 과정과 인간 환경의 인과관계를 설명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관련 물 순환 요소에 대한 영향 분석 연구를 단계별로 설명하시오.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관련 물 순환 요소에 대한 영향 분석 연구는 다음과 같이 3단계로 이루어졌다. 1단계는 대기 순환모형 (General Circulation Model, GCM) 자료의 수집으로 IPCC Data Distribution Center (http://www.ipccdata.org)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GCM은 IPCC 4차 보고서에 수록된 CCCma (Canadian Centre for Climate Modeling and Analysis)의 CGCM3 (Canadian Global Coupled Model)이다.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는 IPCC의 온실가스 배출에 관한 특별 보고서 (Special Report Emission Scenario, SRES; IPCC, 2007)의 시나리오 중 A1B, A2 시나리오를 선택하였다. 2단계는 GCM 자료의 축소화 (Downscaling) 과정이다. 시·공간적으로 해상도가 큰 GCM 자료는 원하는 유역에 맞도록 축소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GCM 자료를 대상유역의 경·위도에 맞춰 내삽하여 자료를 생성하였고, 월 단위 자료로 생성된 GCM 자료의 일 단위 축소화를 위해 내삽된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학적 축소기법을 사용하여 일 단위의 시계열 시나리오를 생성하였다. 이때 축소화를 위해 SDSM (Statistical Downscaling Model; Wilby et al., 2002) 모형을 이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과거 자료와 생성된 미래 기후자료 및 강우-유출 모형인 HSPF를 이용하여 현재와 미래의 유출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유역관리 상태의 평가에서 유역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통합지수와 다양한 지표가 필요한 이유는? 유역관리 상태의 평가는 수량, 수질 등과 같은 단일 지표만으로는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유역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통합지수 (Index)와 다양한 지표 (Indicator)가 필요하다 (강민구 등, 2008). 현재 국제기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속가능한 수자원 및 환경 평가 지수로는 WPI (Water Poverty Index), SWSI (Social Water Stress/Scarcity Index), ESI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등이 있다 (Sullivan,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강민구, 이광만 (2006). “수자원의 지속가능성 평가 지수 개발과 구성 요소의 중요도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1호, pp. 59-68. 

  2. 강민구, 이광만, 고익환, 정찬용 (2008). “요인분석을 이용한 수계 관리 맥락에서 유역관리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통합지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3호, pp. 277-291. 

  3. 기상연구소 (2004). 기후변화대응 지역기후 시나리오 산출기술개발 (III). 

  4. 김병식, 김보경, 경민수, 김형수 (2008). “기후변화가 극한 강우와 I-D-F 분석에 미치는 영향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4호, pp. 379-394. 

  5. 김호석, 송영일, 김이진, 임영신. (2007). 환경평가와 지속가능발전지표 연계운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6. 박경신, 정은성, 김상욱, 이길성 (2009). “기후변화 및 도시화에 따른 유황곡선 및 BOD 농도지속곡선 변화.”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12호, pp. 1091-1102. 

  7. 배덕효, 정일원, 권원태 (2007).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 (I): 유역별 기후시나리오 구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3호, pp. 191-204. 

  8. 안소라, 박민지, 박근애, 김성준 (2009). “기후변화가 경안천 유역의 수문요소에 미치는 영향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1호, pp. 33-50. 

  9. 이동률, 임광섭, 최시중 (2009). “치수특성평가를 위한 홍수위험지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 학술발표회, 한국수자원학회, pp. 342-346. 

  10. 이재준, 장주영, 곽창재 (2010). “각종 수문기상인자의 경년별 특성변화분석 (I): 기본통계량, 경향성을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3권, 제4호, pp. 409-419. 

  11. 정은성, 이길성 (2007).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공간위험 순위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12호, pp. 969-983. 

  12. 정은성, 이길성, 박경신 (2008).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대안평가지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1호, pp. 87-100. 

  13. 정일원, 이병주, 김광천, 배덕효 (2009).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피해 취약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 학술발표회, 한국수자원학회, pp. 289-293. 

  14. 최시중, 이동률 (2005). “지속가능한 수자원 개발과 관리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9호, pp. 779-790. 

  15. 최지연, 정지호, 정명국, 최희정 (2008). “DPSIR 구조에 의한 태안군 연안관리 여건과 통합관리 방향.” 대한지리학회논문집, 대한지리학회, 제7권, 제1호, pp. 64-66. 

  16. AQUA TERRA (2004). BASIN/HSPF Training Handbook. U.S. EPA. 

  17. Bae, D.H., Jung, I.W., and Chang, H. (2008). “Longterm Trend of Precipitation and Runoff in Korean River Basins.” Hydrological Processes, Vol. 22, No. 14, pp. 2644-2656. 

  18. Bicknell, B.R., Imhoff, J.C., Kittle, J.L. Jr., Jobes, T.H., and Donigian, A.S. Jr. (2001). Hydrologic Simulation Program-Fortran (HSPF) User's Manual for Version1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National Exposure Research Laboratory, Athens, GA. 

  19. Carter, J.G., White, I., and Richards, J. (2009). “Sustainability Appraisal and Flood Risk Managem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Vol. 29,No. 1, pp. 7-14. 

  20. Choi, Y. (2002). “Changes on Frequency and Magnitude of Heavy Rainfall Ev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4, No. 3, pp.269-282. 

  21. European Environment Agency (1999). Environmental Indicators: Typology and Overview. Copenhagen, Denmark. 

  22. Gibbons, J.D. (1971). Nonparametric Statistical Inference. McGraw-Hill, New York. 

  23. Hay, L.E., McCabe, G.J., Wolock, D.M., and Ayers, M.A. (1991). “Simulation of Precipitation by Weather Type Analysi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7, No. 4, pp. 493-501. 

  24. Hamouda, M.A., Nour El-Din, M.M., and Moursy, F.I. (2009). “Vulnerability 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Systems in the Eastern Nile Basin.”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23, No. 13, pp. 2697-2725. 

  25.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UK. 

  26. Jung, I.W., Bae, D.H., and Kim, G. (2010). “Recent Trends of Mean and Extreme Precipitation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DOI:10.1002/joc.2069. 

  27. Mann, H.B. (1945). “Nonparametric Tests Against Trend.” Econometrica, Vol. 13, pp. 245-259. 

  28. Palmer, R., Wiley, M., and Kameenui, A. (2004). Will Climate Change Impact Water Supply and Demand in the Puget Sound?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eering,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WA. 

  29. Panofsy, H.A., and Brire, G.W. (1963). Some Application of Statistics to Meteorology.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niversity Park, Pennsylvania, p.224. 

  30. Pirrone, N., Trombino, G., Cinnirella, S., Algieri, A., Bendoricchio, G., and Palmeri, L. (2005) “The Driver-Pressure-State-Impact-Response (DPSIR) Approach for Integrated Catchment-coastal Zone Management: Preliminaty Application to the Po Catchment-Adriatic Sea Coastal Zone System.” RegionalEnvironmental Change, Vol. 5, No. 2-3, pp. 111-137. 

  31. Skoulickidis, N.Th. (2009). “The Environmental State of Rivers in the Balkans-A Review Within the DPSIR Framework.”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407, pp. 2501-2516. 

  32. Sullivan, C.A. (2002). “Calculating a Water Poverty Index.” World Development, Vol. 30, No. 7, pp. 1195-1210. 

  33. Valenzuela Montes, L.M., and Mataran Ruiz, A. (2008). “Environmental Indicators to Evaluate Spatial and Water Planning in the Coast of Granada (Spain).” Land Use Policy, Vol. 25, No. 1, pp. 95-105. 

  34. Wilby, R.L. (1994). “Stochastic Weather Type Simulation for Regional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0, No. 12, pp. 3395-3403. 

  35. Wilby, R.L., Dawson, C.W., and Barrow, E.M. (2002). “SDSM-A Decision Support Tool for the Assessment of Regional Climate Change Impacts.” Environmental and Modelling Software, Vol. 17, pp. 145-157. 

  36. Wood, A.W., Leung, L.R., Sridhar, V., and Lettenmaier, D.P. (2004). “Hydrologic Implications of Dynamical and Statistical Approaches to Downscaling ClimateModel Outputs.” Climatic Change, Vol. 62, Issue 1-3, pp. 189-2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