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도반시' 과실의 성장 중 일반 및 폴리페놀 성분의 변화
Change in the Polyphenol Content of Cheongdobansi Persimmon Fruit during Development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8 no.1, 2011년, pp.13 - 17  

이윤래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식 (경북대학교 식품생물산업연구소) ,  문광덕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떫은감 품종인 '청도반시' 과실의 일반 성분, 총페놀페놀산 함량과 DPPH유리기 소거능을 7월부터 10월까지 1개월 간격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성장 중 감의 수분, 조단백질 및 조섬유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조지방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조회분 함량은 9월 이후에 증가함을 각각 나타내었다. 총페놀 함량은 성장에 따라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페놀산으로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p-coumaric acid 및 salicylic acid 등이 확인되었고, 이들의 함량은 성장 중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DPPH유리기 소거능은 성장 시기가 길어짐에 따라 감소됨을 보였다. 이로써 '청도반시' 과실의 일반 및 페놀성 물질 함량과 항산화성은 성장 시기에 따라 달라지며, 미성숙 과실도 활용소재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the levels of total phenols, phenolic acid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Cheongdobansi persimmon fruits assayed during development (from July to October), were investigated. All of moisture, crude protein and crude fiber contents decreased as picking time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장 과정에 따른 감과실의 식품학적 가치 평가와 활용성 증대는 물론 가공식품 및 기능성 제품의 제조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청도반시’ 과실의 성장 시기에 따른 일반성분과 페놀성 물질 함량 및 항산화성을 각각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 감나무 생산물에 관한 연구가 가지고 있는 한계는? 감나무 생산물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소재의 가치평가와 활용에 관한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성장 중 감잎의 화학성분 변화(9,10), 품종별 감과피와 감꽃의 화학성분 비교(11,12), 과실을 이용한 가공식품(13-18)의 제조기술, 잎을 이용한 가공식품(19-21)의 제조기술, 꽃을 이용한 차(22) 제조기술 및 과피를 이용한 색소(23)의 제조기술 등의 개발과 같은 많은 보고들이 있다. 그러나 성장 과정에 따른 감과실의 활용에 관한 연구는 물론 이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과실의 성장 중 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는 감잎의 경우와는 달리 미미한 실정이다. 한편, 사과(24), 배(25), 복숭아(26) 과실의 경우에는 성장 중 화학성분과 기능성 변화에 관한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어 이들 과실의 활용성 증대에 기여하고 있으며, 감 과실도 이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감나무는 무엇인가? 감나무(Diospyros kaki Thunb.)는 원산지인 동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재배되는 과수이며, 원예학적인 품종은 다양하지만 과실의 수확 후 식용방법을 결정하는 삽미의 존재유무에 따라 떫은감과 단감 나무로 보통 양분한다. 떫은감 품종 중 경북 청도 지역에서 생산되는 ‘청도반시’ 과실의 경우는 육질이 연하고 씨가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1).
청도반시 과실의 특징은? )는 원산지인 동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재배되는 과수이며, 원예학적인 품종은 다양하지만 과실의 수확 후 식용방법을 결정하는 삽미의 존재유무에 따라 떫은감과 단감 나무로 보통 양분한다. 떫은감 품종 중 경북 청도 지역에서 생산되는 ‘청도반시’ 과실의 경우는 육질이 연하고 씨가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1). 감나무 생산물인 과실, 잎, 꼭지 등은 식용이외에도 한방 및 민간요법에서 숙취해소와 기침 및 딸꾹질치료에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Roh YK, Jang SH, Park SH, Byun HS, Sung JJ (1999) Analysis of distribution properties on astringent persimmons(Diospyros kaki L.).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184-187 

  2. Hyun YH, Koo BS, Song JE, Kim DS (2004) Food materials. Hyungseul Publish, Daegu, p 152-153 

  3. Kang WW, Kim GY, Park PS, Park MR, Choi SW (1996) Antioxidative properties of persimmon leaves. Foods Biotechnol, 5, 48-53 

  4. Song HS, Lee HK, Jang HD, Kim JI, Park OJ, Lee MS, Kang MH (1996) Antimutagenic effects of persimmon leaf tea extracts in sister chromatid exchanges assay system. J Korean Soc Food Nutr, 25, 232-239 

  5. Park MH, Choi C, Son GM, An BJ, Bae MJ (2000)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persimmon leaves on antiallergy. J Korean Soc Food Nutr, 29, 116-119 

  6. Jung KH, Kim MK (2003) Anticancer effect of persimmon leaf extracts on Korean gastric cancer cell. Korean J Nutr, 36, 133-146 

  7. Funayama S, Hikino H (1979) Hypotensive principles of Diospyros kaki leaves. Chem Pharm Bull, 27, 2865-2868. 

  8. Sa YS, Kim KA, Choi HS (2003)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coagulant activity fraction from persimmon stem. J Korean Soc Food Nutr, 32, 1323-1327 

  9. Choi HJ, Son JH, Woo HS, An BJ, Bae MJ, Choi C (1998) Changes of composition in the species of persimmon leaves (Diospyros kaki) during growth.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529-534 

  10. Kim JK, Lee WY (2002)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in persimmon leaves (Diospyros kaki Thunberg) during growth.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 32-37 

  11. Kim SK, Lim JH, Kim YC, Kim MY, Lee BW, Chung SK (2005) Chemical composition and quality of persimmon peels according to cultivar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70-76 

  12. Kim JH, Park SH, Mun HG, Lee IS, Kim JK (2006) Analysis of useful components for freeze-dried persimmon flower powder by cultivar. Korean J Food Preserv, 13, 691-696 

  13. Jeong YJ, Lee GD, Kim KS (1998) Optimization for the fermentation condition of persimmon vinega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203-1208 

  14. Bae SM, Park KJ, Kim JM, Shin DJ, Hwang YI, Lee SC (2002)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weet persimmon win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66-70 

  15. Bae SM, Park KJ, Shin DJ, Hwang YI, Lee SC (2001)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Jochung with sweet persimmon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88-91 

  16. Park WK, Yoo YH, Hyun JS (1975) Study on the manufacture of jam with Korean persimmon. J Korean Soc Food Nutr, 4, 25-29 

  17. Chung JY, Kim KH, Shin DJ, Son GM (2002) Effects of sweet persimmon powder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738-742 

  18. Hong JS, Kim MA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uck by the addition of astringency persimmon past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360-370 

  19. Kim MJ, Oh SL (1999) Effect of pre-treatment methods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persimmon leaf tea.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435-441 

  20. Bae DK, Choi HJ, Son JH, Park MH, Bae JH, An BJ, Bae MJ, Choi C (2000) The study of developing and stability of functional beverage from Korean persimmon (Diospyros kaki L.) leaf.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860-866 

  21. Nam SG, Lee BS, Park JS, Lee WY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Naengmyon added with persimmon (Diospyros kaki L.) leaf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3, 337-343 

  22. Chung HS, Youn K, Seong JH, Moon KD (2007) Quality properties of tea extracts prepared with persimmon flowers. Korean J Food Preserv, 14, 148-153 

  23. Oh SL, Cha WS, Park JH, Cho YJ, Hong JH, Lee WY (2001) Carotenoids pigment extraction from a wasted persimmon peel.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456-461 

  24. Sannomaru Y, Katayama O, Kashimaru Y, Kaneko K (1998) Changes in polyphenol content and polyphenoloxidase activity of apple fruits during ripening process. J Japanese Soc Food Sci Technol, 45, 37-43 

  25. Fujita S, Kumamoto M, Sonda T, Yamamoto M, Hayashi N, Ishimaru K (1999) Antioxidative activities of young fruit extracts of Japanese pear and satsuma mandarin. Food Preserv Sci, 25, 99-104 

  26. Lee JB, Chung HS (2008)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unripe peaches. Korean J Food Preserv, 15, 79-83 

  27.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8.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gents. Am J Enol Vitic, 16, 144-158 

  29. Liang Y, Ma W, Lu J, Wu Y (2001) Comparison of chemical compositions of Ilex latifolia Thumb and Camellia sinensis L Food Chem, 75, 339-343 

  30.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4 

  31. Chung SH, Moon KD, Kim JK, Seong JH, Sohn TH (1994)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in persimmon leaves during growth for processing persimmon leaves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141-146 

  32. Umekawa H, Takada Y, Furuichi Y, Takahashi T, Achiwa Y, Komiya T, Yoshida S (1999) Inhibition of eukaryotic DNA polymerase by persimmon extract and related polyphenols. Biochem Mol Biol Int, 47, 795-801 

  33. Jeong CJ, Yun JS, Lee ML (2004) Effects of phenolic compounds of persimmon leaves on antioxidative system and miscellaneous enzyme activities related to liver function in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of rats. Korean J Food Preserv, 11, 79-87 

  34. Seong JH, Han JP (1999) The qualitative differences of persimmon tannin and the natural removal of astringency.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66-70 

  35. Taira S, Matsumoto N, Ono M (1998) Accumulation of soluble and insoluble tannins during fruit development in nonastringent and astringent persimmon. J Japanese Soc Hort Sci, 67, 572-5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