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대표적 손 치수 특성과 손 스케일
Characteristics of Hand Dimensions and Hand Scale for Koreans 원문보기

대한산업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v.37 no.1, 2011년, pp.55 - 63  

기도형 (계명대학교 경영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esents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five hand dimensions including hand length, medius finger length, hand circumference, hand breadth and hand thickness, and hand scales by gender and age for Koreans. The study was based on data of hand dimensions published in 2008 by Korean Age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손 치수의 포괄적 특성 파악을 위하여 성별·연령대별 손 치수와 손 치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손 치수를 대표적 치수에 대한 비로 나타낸 손 스케일과 손 치수를 추정하는 회귀식을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2008년에 기술표준원에서 측정한 한국인 손 관련 치수를 바탕으로 대표적 손 치수의 성별 및 연령별 추이, 손치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같은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손 치수를 상관계수가 높은 대표적 손 치수와의 비로 표현한 손 스케일을 제시하였다.
  • 손 치수 특성 파악을 위한 본 연구는 2008년도에 기술표준원에서 측정한 손 치수를 바탕으로 수행되었다. 2004년까지의 5차례 전국적인 인체치수 측정 사업에서 손과 관련한 치수는 5~13개의 항목만 측정되었으나(Lee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체 스케일이란? 인체치수의 활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성별, 나이 혹은 백분위수를 선택하면, 인체치수들이 플라스틱 원판에 나타나는 인체 스케일(human scale)을 개발하여 사용하기도 한다(Diffrient et al., 1974).
본 연구에서 다룬 손 치수는 어떤 특징을 보이는가? 본 연구에서 다룬 대표적 손 치수(손직선길이, 셋째 손가락 직선길이, 손너비, 손둘레, 손두께)는 여성은 12~13세 그룹(손두께는 14~15세)까지, 남성은 16~17세 그룹까지 성장하다 이후는 정체 상태를 보였다. 본 연구가 2008년 시점의 횡단적(cross-sectional) 연구라 직접적 비교는 어려우나, 위의 결과는 남성은 16~17세, 여성은 14~15세에 이르면 신장의 연간 성장량이 1cm 전후로 감소하여 정체 상태를 보인 Jung(1998)의 연구와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5차 인체치수 측정 사업에서 무엇을 측정했는가? 측정 항목은 사업 차수에 따라 80~120개 항목을 측정하여 왔다. 5차 Size Korea 사업에서는 직접 측정 항목 119개와 더불어 전신, 발, 머리 스캐너를 이용한 간접 측정 205개, 동측정 35개 항목을 새로이 측정하였다(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affin, D. B., Andersson, G. B. J., and Martin, B. J. (1999), Occupational biomechanics, John Wiley and Sons. 

  2. Diffrient, N., Tilley, A. R., and Harman, D. (1985), Human scale, The MIT Press. 

  3. Drills, R. and Contini, R. (1966), Body segment parameters, BP174-945, Tech. Rep. No. 1166.03, School of Engineering and Science, New York University(referred in Roebuck, J. A., Kroemer, K. H. E., and Thomson, W. G. (1975), Engineering anthropometry methods, Wiley- Interscience). 

  4. Jung, B. Y. (1998), Anthropometric study of physical growth in height, Journal of the Ergonomics of Korea, 17(3), 91-101. 

  5. Jung, H. S. and Jung H. S. (2003), Descriptive survey on the dimens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ands in general, Journal of the Ergonomics of Korea, 22(2), 29-44. 

  6. Jung, S-G. and Lee, S-D. (2001), A study on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type classification of foot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14(2), 95-105. 

  7.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2004), Anthropometric measurement of Koreans. 

  8.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2008), Measurement of hand relevant dimensions. 

  9. Lee, H. S., Lee, K. H., Kang, Y. S. and Kim, E. K. (2006), Development of hand measurement protocol for designing gloves, Ministry of Industry and Resource. 

  10. Park, G. J., Park, T. S., and Park, H. S. (1996), Physical development depending on growth phase, Sangjosa. 

  11. Size Korea, 인체치수정보활용(KoreaHumanScale), Retrieved June 10, 2009, from http://sizekorea.kats.go.kr. 

  12. Yoo, J-W. (2006), A study for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ody size along with the age and sex, Journal of the Ergonomics of Korea, 25(2), 71-76. 

  13. Soldier Science Directorate (1991), Hand anthropometry of U.S. army personne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