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참다래 동결건조물을 2.5%, 5% 농도로 사료와 혼합하여 실험동물에 투여하고 실험 5일간 loperamide(2 mg/kg/day, s.c.)로 변비를 유도하여 참다래의 변비치료 및 예방 효과를 측정하였다. Lopermide를 단독 투여한 군은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변의 개수 및 중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원위 결장 내 변 잔류의 증가 및 cecocolonic segment의 무게가 증가하였다. 참다래 동결건조물 및 loperamide를 투여한 군은 loperamide를 단독 투여한 군과 비교하여 변의 개수 및 중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원위 결장 내 잔류 변 및 cecocolonic segment의 무게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참다래가 in vivo에서 변비 개선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변의 수분 함량에서도 loperamide로 변비를 유발시킨 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참다래 동결건조물 투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조직학적 검사에서도 참다래 동결건조물 투여군의 원위 대장관에서 crypt cell내 점액의 증가와 장관내 분변의 점액질의 증가도 관찰되었다. In vitro 실험결과, 회장 적출 절편에서 참다래 동결건조물(2.5 mg/ml)을 전 처리 시 loperamide에 의한 장력과 진폭 억제가 부분적으로 차단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참다래 동결건조물의 변비 개선효과가 장의 운동성 촉진과 대장관 내 점액분비 증가에 의한 대장관 내용물의 이동성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reduced gastric emptying, small-intestinal and colonic motility, and these effects were prevented by Actindia chinensis(Gold Kiwi Fruit, GKF).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ctindia chinensis on constipated male Sprague-Dawley rats induced by loperamide(2 mg/kg, s.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치료약물의 부작용 등을 고려하였을 때 변비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식품 또는 천연소재의 탐색 및 연구가 보다 활발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동물에서 loperamide로 유발된 변비에서 국내산 참다래 동결건조물을 투여하여 개선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다래란? 참다래(Kiwifruit)는 다래나무과(Actanidiaceae), 다래속(Actinidia)에 속하며, 온대지역에서 자라는 자웅이주의 덩굴성 낙엽과수이며, 한국은 1997년 뉴질랜드에서 종자를 도입하여 남해안 일대와 제주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다(Lee et al., 2000; Kim and Song, 2002).
참다래의 영양학적 가치는? , 2000; Kim and Song, 2002). 참다래는 식이섬유, 비타민C 함량이 높으며, 칼슘, 마그네슘, 인 등의 무기질 함량도 풍부하여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다고 알려져있다(Kim et al., 2003).
변비의 치료에 사용되는 부피형성 완화제 및 삼투성 완화제의 부작용은 무엇인가? , 2005). 그러나 식이요법과 운동 등이 용이하지 않은 환자의 경우 이차적으로 약물을 사용하는데 부피형성 완화제 및 삼투성 완화제의 경우 복부팽만, 설사 등이 동반될 수 있으며 자극성 하제의 경우 장기간 사용 시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 할 수 있다(Smith, 1968, 1973). 이러한 치료약물의 부작용 등을 고려하였을 때 변비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식품 또는 천연소재의 탐색 및 연구가 보다 활발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Lembo. A. and M. Camilleri. 2003. Chronic constipation. N Engl. J. Med. 349:1360-1368. 

  2. Awouters. F., A. Megens, M. Verlinden, J. Schuurkes, C. Niemegeers and P.A. Jaassen. 1993. Loperamide, survey of studies on mechanism of its antidiarrheal activity. Dig. Dis. Sci. 38:977-995. 

  3. Burleigh. D.E. 1988. Opioid and non-opioid actions of loperamide on cholinergic nerve function in human isolated colon. Eur. J. Pharmacol. 152:39-46. 

  4. Cepinskas. G., R.D. Specian and P.R. Kvietys. 1993. Adaptive cytoprotection in the small intestine:role of mucus. Am. J. Physiol. 264:921-927. 

  5. Chen. H.L., V.S. Haack, C.W. Janecky, N.W. Vollendorf and J.A. Marlett. 1998. Mechanism by which wheat bran and oat bran increase stool weight in humans. Am. J. Clin. Nutr. 68:711-719. 

  6. Deossman. D.A., J.E. Richter and N.S. Talley. 1994. Th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1st ed., Brown and Company, Boston: Little. 

  7. John H.C. 1984. Constipation, dietary fibre and the control of large bowel function. Postgrad Med. J. 60:811-819. 

  8. Kim, HS., BY. Kim. and MH. Kim. 2003. Utility of post-mature kiwi fruit powder in bakery products. J. Kor. Soc. Food Sci. Nutr. 32:581-585 (in Korean). 

  9. Kim. JH., HK. Yang, HJ. Hong, WY. Kang, DG. Kim, SC. Kim, KS. Song, D. King, CH. Han and YJ. Lee. 2010. Neuroprotective effects of Korean kiwifruit against t-BHPinduced cell damage in PC12 cells. J. Korea. Plant Res. 23(2):165-171 (in Korean). 

  10. Lee, DH., SC. Lee and YI. Hwang. 2000. Processing properties of kiwifruit treated with protopectinase. J. Kor. Soc. Food Sci. Nutr. 29:401-406 (in Korean). 

  11. Lembo A and M. Camilleri. 2003. Chronic constipation. N Engl. J. Med. 349:1360-1368. 

  12. Locke GR III. 1996. The epidemiology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North America. Gastroenterol. Clin. North Am. 25:1-19. 

  13. Matich. A.J., H. Young, J.M. Allen, M.Y. Wang, S. Fielder, M.A. McNeilge and E.A. MacRae. 2003. Actinidia arguta: volatile compounds in fruit and flowers. Phytochemistry 63:285-301. 

  14. Motohashi. N., Y. Shirataki, M. Kawase, S. Tani, H. Sakagami, K. Satoh, T. Kurihara, H. Nakashima, I. Musci, A. Varga and J. Molnar. 2002. Cancer prevention and therapy with kiwifruit in Chinese folklore medicine: a study of kiwifruit extracts. J. Ethnopharmacol. 81:357-364. 

  15. Muller-Lissner. S.A., M.A. Kamm, C. Scarpinato and A. Wald. 2005. Myths and misconceptions about chronic constipation. Am. J. Gastroenterol. 100:231-242. 

  16. Nakamura. T., G. Agata, M. Mizutani and H. Iino. 2001. Effects of brewer's yeast cell wall on constipation and defecation in experimentally constipated rats. Biosci. Biotech. Bioch. 65:774-780. 

  17. Oh, JH., KE. Lee, JM. Kim and SC. Lee. 2001. Preparation and chracteristics of whelk internal organ Jeotgal with the addition of fruit juice. J. Kor. Soc. Food Sci. Nutr 30:641-645 (in Korean). 

  18. Park. YS., ST. Jung, SG. Kang, J. Drzewiecki, J. Namiesnik, R. Haruenkit, D. Barasch, S. Trakhtenberg. and S. Gorinstein. 2006. In vitro stuides polyphenols, antioxidants and other dietary indices in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 Int. J. Food Sci. Nutr. 57:107-122. 

  19. Read. N.W. 1983. Speculations on the role of motility in th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diarrhea. J. Gastroenterol. 84:45-63. 

  20. Rush. E.C., M. Patel, L.D. Plank. and L.R. Ferquson. 2002. Kiwifruit promotes laxation in the elderly. Asia Pac J. Clin. Nutr. 11:164-168. 

  21. Schiller. L.R., C.A. Santa Ana, S.G. Moravski. and J.S. Fordtran. 1984. Mechanism of the antidiarrheal effect of loperamide. Gastroenterology 86:1475-1480. 

  22. Shimotoyodome. A., S. Meguro, T. Hase, I. Tokimitsu and T. Sakata. 2000. Decreased colonic mucus in rats with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Comp. Biochem. Physiol. 126(2):203-211. 

  23. Siproudhis. L., F. Pigot, P. Godberge, H. Damon, D. Soudan and M.A. Bigard. 2006. Defecation disorders; a french population survey. Dis. Colon. Rectum 49:219-227. 

  24. Smith. B. 1968. Effect of irritant purgatives on the myenteric plexus in man and the mouse. Gut: an International J.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9:139-143. 

  25. Smith. B. 1973. Pathologic changes in the colon produced by anthraquinone laxatives. dis. Colon. Rectum 16:455-458. 

  26. Stoll. R., H. Ruppin and W. Domschke. 1988. Calmodulinmediated Calmodulinmediated effects of loperamide on chloride transpor by brush border membrane vesicles from human ileum. Gastroenterology 95:59-76. 

  27. Sugiyama, S., K. Ohtsuki, K. Sato and M. Kawabata. 1997. Enzymatic properties, substrate specificities and pHactivity profiles of two kiwifruits proteases. J. Nutr. Sci. Vitaminol. 43:581-589. 

  28. Sugiyama, S., A. Hirota, C. Okada, T. Yorita, K. Sato and K. Ohtsuki. 2005. Effect of kiwifruit juice on beef collagen. J. Nutr. Sci. Vitaminol. 51:27-33. 

  29. Theodoru. V., J. Fioramonti, T. Hachet and L. Bueno. 1991. Absortive and motor components of the antidiarrheal action of loperamide: an in vivo study in pigs. Gut: an International J.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11: 1355-1359. 

  30. Watanabe. T., N. Nakaya, K. Kurachima, S. Kuriyama, Y. Tsubono and I. Tsuji. 2004. Constipation, Laxative use and risk of colorectal cancer: the Miyagi cohort study. Eur. J. Cancer 40:2109-2115. 

  31. Kim. YS. and GS. Song. 2002. Characteristics of kiwifruitadded traditional Kochujang. Kor. J. food Sci. Technol. 34:1091-1097 (in Korean). 

  32. Zhong. Z., W. Zhang, F. Zhang, X. Chen and C. Huang. 2005. Experimental study on the antitumor effects from roots of Actinidia indochinensis in carcinoma cell lines. Zhong Yao Cai 28:215-2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