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쑥 첨가방법이 유화형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 항산화, 총미생물수 및 아질산염 소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tion Method of Mugwort on Antioxidant Effect, Total Plate Counts, and Residual Nitrite Content of Emulsified Sausages during Cold Storag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31 no.1, 2011년, pp.122 - 128  

김영직 (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조 방법을 다르게 처리한 쑥을 유화형 소시지 제조 시 첨가하여 냉장온도($4{\pm}1^{\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면서 pH, TBARS, 총 미생물수, 아질산염잔존량 및 육색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쑥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쑥 분말 첨가구는 T1, 쑥 즙 첨가구는 T2, 쑥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는 T3, 쑥 중탕 추출물 첨가구를 T4 등 5개 처리구로 나누어 0, 1, 2, 3 및 4주간 저장하면서 실험하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으로 대조구와 T4는 유의성이 없었고, T1과 T2 및 T3는 저장기간 동안 다소 낮았다(p<0.05). TBARS는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였으며, 쑥 즙과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는 대조구보다 낮아 쑥의 첨가는 지방산화를지연시켰고, 특히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인 T3에서 TBARS값은 가장 낮은 경향이었다(p<005). 총 미생물수는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모든 첨가구에서 증가하였고, 저장 0주에는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으며, 처리구간에는 T3가 유의적으로 낮은 미생물수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잔존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였는데 T3에서 다른 시험구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육색은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CIE $L^*$값과 CIE $b^*$값은 감소하였고 CIE $a^*$값은 증가하였으며, 처리구간에는 CIE $L^*$값과 CIE $a^*$값은 쑥 첨가구에서 낮았고, CIE $b^*$값은 대조구와 T1에서 높은 결과로 쑥 추출물의 첨가는 소시지 색을 어둡게 하는 경향이었다. 결론적으로 쑥 에탄올 추출물 첨가는 지방의 산화와 미생물 성장 억제 및 아질산염잔존량 감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s, total plate count (TPC), and residual nitrite content of emulsified sausage with added mugwort during cold storage. The sausages were of five types: nothing added (control), mugwort powder added (T1), mugwort juice added (T2), mugwor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화형 소시지 제조 시 쑥의 제조 방법을 다르게 하여 첨가한 후 냉장 저장하는 동안 유화형 소시지의 pH, 지질 산패도, 총미생물수, 아질산염잔존량 및 육색을 조사하여 효과적인 추출 및 첨가 방법을 모색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질산염의 단점은 무엇인가? 그래서 식품에 사용되는 합성 항산화제는 체내 흡수물질의 일부가 독성물 혹은 발암성 물질로 변화되고(Branen, 1975; Farag et al., 1990), 육가공품 제조 시에 사용되는 아질산염은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산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나 발암물질인 N-nitrosamine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ssey et al., 1978).
쑥이란 무엇인가? 쑥(Artemistia vulgaris L.)은 국화과에 속하는 번식력이 강한 다년생 식물로서 약 2,000여종이 되고, 우리나라 자생 종도 300여종이나 알려져 있으며, 쑥은 오래 전부터 한방에서 코피, 자궁출혈 등의 지혈 약으로 쓰이고 소화, 하복부 진통, 구충, 이취제거 등의 효과가 있다(육, 1977). 또한 위 장병, 변비, 신경통, 냉병, 부인병 및 천식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예부터 쑥 차로 이용되어 왔으며 특히 독특한 향, 맛, 색을 지니고 있어 떡, 국, 나물 등으로 이용되어 왔다(Sim et al.
아질산염 측량 시 colorimetric 방법에 따라 분석한 과정은 무엇인가? 아질산염 잔존량은 AOAC(1990)의 colorimetric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시료 5g에 증류수 50 mL를 가하고, 40oC의 수조에서 10분간 가열한 후 포화 HgCl 5 mL를 넣고 80oC에서 2시간 동안 다시 가열한 후 냉각하여 여과하였다. 여액 10 mL에 sulfamilamide 1 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5분간 방치한 다음 540 nm로 흡광도(Sequoia Tumer Co., USA)를 측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mella, M., Bronner, C., Briancon, F., Haag, M., Anton, R., and Landry, Y. (1985) Inhibition of mast cell histamine release by flavonoids and biflavonoids. Plant Med. 1, 16-20. 

  2. Alexander, J. C. (1978) Biological effects due to changes in fats during heating: Symposium. J. Am. Oil Chem. Soc. 50, 711-715. 

  3.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4. Branen, A. 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 

  5. Brewer, M. S., Ikims, W. G., and Harbers, C. A. Z. (1992) TBA values, sensor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s in ground pork during long-term frozen storage: Effect of packing. J. Food Sci. 57, 558-564. 

  6. Cassens, R. G., Greaser, M. L., Ito, T., and Lee, M. (1979) Reactions of nitrite in meat. Food Technol. 33, 46-51. 

  7. Chen, T. C. and Wailmaleongoraek, C. (1981) Effect of pH on TBA values of ground raw poultry meat. J. Food Sci. 46, 1946-1958. 

  8. Demyer, D. I. and Vanderkerekhove, P. (1979) Compounds determining pH in dry sausage. Meat Sci. 3, 161-165. 

  9. Farag, R. S., Ali, M. N., and Taka, H. S. (1990) Use of some essential oils as natural preservative for butter. J. Am. Oil Chem. Soc. 68, 188. 

  10. Faure, M., Lissi, E., Torres, R. T., and Videla, L. A. (1990) Antioxidant activities of lignans and flavonoids. Phytochem. 29, 3773-3775. 

  11. Frankel, E. N. (1984) Lipid oxidation, mechanism, products and biological significance. J. Am. Oil Chem. Soc. 61, 1908-1914. 

  12. Gilanti, A. H., Yaeesh, S., Jamal, Q., and Ghayur, M. N. (2005)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aqueous-methanol extract of Artemistia vulgaris. Phytother. Res. 19, 170-172. 

  13. Jung, I. H., Moon, Y. H., and Kang, S. J. (2004) Effects of addition of mugwort powder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oiled por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4, 15-22. 

  14. Kang, Y. H., Park, Y. K., Oh, S. R., and Moon, K. 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15. Katsube, T., Imawaka, N., Kawano, Y., Yamazaki, Y., Shiwaku, K., Yamane, Y. (2006) Antioxidant flavonol glycosides in mulberry leaves isolated based on LDL antioxidant activity. Food Chem. 97, 25-31. 

  16. Kim, S. M., Cho, Y. S., Sung, S. K., Lee, I. G., Lee, S. H., and Kim, D. G. (2002)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fermentation extracts from pine needle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13-19. 

  17. Kwon, M. N., Choi, J. S., and Byun, D. S. (1993) Effects of flavonoid(+)-cathechin as stabilizer in rat fed fresh and peroxidized fish oil. J. Korean Soc. Food Nutr. 22, 381-391. 

  18. Larson, R. A. 1(988) The antioxidants of higher plants. Phytochem. 27, 969-973. 

  19. Langlosis, B. E. and Kemp, J. D. (1974) Microflora of fresh and dry-cured hams and affected by fresh ham storage. J. Anim. Sci. 38, 525-532. 

  20. Lee, G. D., Kim, J. S., Bae, J. O., and Yoo, H. S. (1992)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water extract and ether extract in wormwood. J. Food Soc. Food Nutr. 21, 17-22. 

  21. Lee, J. H. and Lee, S. K. (1994) Some physiological activity of phenolic substances in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7-323. 

  22. Lee, J. H. and Choi, J. S. (1993) Influence of some flavonoids on N-nitrosoproline formation In vitro and In vivo. J. Korean Soc. Food Nutr. 22, 266-272. 

  23. Lee, S. J., Chung, M. J., Shin, J. H., and Sung, N. J. (2000) Effect of natural plant components on the nitrite-scavenging. J. Food Hyg. Safety 15, 88-94. 

  24. Love, J. D. and Pearson, A. M. (1971) Lipid oxidation in meat and meat products. J. Am. Oil Chem. Soc. 48, 547-553. 

  25. Massey, R. C., Crews, C., Gavies, R., and McWeeney, D. J. (1978) A study of the competitive nitrosamine of pyeolidine, ascorbic acid, cysteine and p-cresol in a protein based model system. J. Sci. Food Agri. 29, 815-816. 

  26. Nottingham, P. M. (1982) Microbiology of carcass meat in meat. Microbiology. Brown, M. H. (ed) Applied Science Publishers Ltd., London, UK. p. 13. 

  27. Park, C. S., Kwon, C. J., Choi, M. A., Park, G. S., and Choi, K. H. (2002)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mugwort and pine needle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9, 248-252. 

  28. Sammet, K., Duehlmeier, R., Sallmann, H. P., von Canatein, C., von Mueffling, T., and Nowak, B. (2006) Assessment of the antioxidative potential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alpha$ - tocopherol in low-nitrite salami-type sausage. Meat Sci. 72, 270-279. 

  29. SAS (2002) SAS/STAT Software for PC. Release 8.2,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30. Sim, Y. J., Han, Y. S., and Chun, H. J. (1992)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unds of mugwort.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49-53. 

  31. Sun, W. C., Han, J. X., Yang, W. Y., Deng, D. A., and Yue, X. F. (1992) Antitumor activities of 4 derivative of artemisic acid and artemisinin B in vitro. Zhongguo Yao Li Xue Bao. 13, 541-543. 

  32. Witte, V. C., Krause, G. F., and Baile, M. E. (1970) A new extraction method for determining 2-thiobarbituric acid values of pork and beef during storage. J. Food Sci. 35, 352-358. 

  33. Woo, S. J. and Lee, H. J. (1982) Residual nitrite and nitrate in home processed dry sausage and ham. Korean J. Nutr. Soc. 15, 186-193. 

  34. Yin, M. C., Faustman, C., Riesen, J. W., and Williams, S. N. (1993) The effects of $\alpha$ -tocopherol and ascorbate upon oxymyoglobin and phospholipid oxidation. J. Food Sci. 58, 1273-1276. 

  35. 육창수 (1997) 약용식물학 각론. 진명출판사. 서울 pp. 2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