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서의 적출창상에 대한 피하전기자극이 창상수축에 미치는 효과
Wound Contraction Effects of Per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on Excision Wound Model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3 no.1, 2011년, pp.45 - 51  

공광식 (동신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수현 (동신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오석 (동신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용남 (남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태열 (동신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needle electrode stimulation at various frequencies on change in wound healing in excision wound rats Methods: Twenty-four Sprague-Dawley adult male rats were assigned to one of four groups: control (n=6), acupuncture group (n=6), low rate (2 Hz) perc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침과 침전극전기자극의 창상수축 효과를 비교하고, 침전극전기자극 시 주파수 차이에 따른 효과의 알아보고자 디지털 영상분석을 통한 형태학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상에 대한 치료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5%∼40% 정도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4 산업재해, 사고 등에 의한 화상환자의 발생은 2003년 기준으로 16,734명으로 보고되었다.5 창상에 대한 치료방법으로 항생제 및 부신 피질호르몬 등을 이용한 약물치료,6 태아 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fetal cell therapy),7 아시혈을 이용한 침치료 등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창상에 대한 물리치료로 저강도 레이저, 초음파 등과 함께 가장 많이 적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전기자극은 창상과 주변에 혈류를 증가시켜 창상치유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기자극을 이용한 창상 치료에는 무엇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가? 창상에 대한 물리치료로 저강도 레이저, 초음파 등과 함께 가장 많이 적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전기자극은 창상과 주변에 혈류를 증가시켜 창상치유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전기자극을 이용한 창상치료로 80V에서 200V사이의 고전압맥동전류(high voltage pulsed current)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기자극 조건은 맥동빈도는 50∼120 pps, 맥동기간은 150 ㎲, 전류양은 15∼20 ㎃ 정도이며, 이 정도의 매개변수에서 세포이동의 촉진이 가장 크게 향상되며, 손상전류의 회복, 미세순환증진, 상피세포의 이동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7,8 또한 전기자극 시 적용되는 주파수 또는 맥동빈도는 2∼5 pps의 저빈도가 미세순환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며, 피부궤양의 치유가 촉진되는 효과가 큰 것으로 보고되었다.
직류 자극을 이용해 창상치료를 진행한 결과 무엇이 향상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는가? 34 많은 보고에 의하면 전기자극을 통해 창상에서 육아조직의 수가 증가하고 콜라겐 형성이 증가하는 것을 설명하였다.35 직류자극으로 창상을 치료한 결과에서는 장력이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고, 대부분 전극은 음극 전극을 창상부위 위 또는 내부에 배치하였다.36 Oh 등37은 창상을 유발한 흰쥐에 미세전류를 적용한 결과 창상치유 촉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Devitt은1 창상 주위에 전기 자극을 함으로써 창상 치유를 촉진시킨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Devitt M. Acupuncture promotes wound healing. Acupuncture Today. 2000;1(3):1-3. 

  2. Ramelet AA, Hirt-Burri N, Raffoul W et al. Chronic wound healing by fetal cell therapy may be explained by differential gene profiling observed in feral versus old skin cells. Exp Gerontol. 2008;44(3):208-18. 

  3. Velander P, Theopold C, Bleiziffer O et al. Cell suspensions of autologous keratinocytes or autologous fibroblasts accelerate the healing of full thickness skin wounds in a diabetic porcine wound healing model. J Surg Res. 2008;157(1):14-20. 

  4. Yang YH, Kim WS. The influence of the risk factors and nutritional status on the development of pressure sores for the risk patients in ICU. The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98;5(2):280-92. 

  5. Choi SY. The effects of therapeutic music listening on the pain relief for the patients with burn. Myongji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7. 

  6. Kim SK, Choi HY, Jee SY et al.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ynergic effect of jawoongo and gentamicin in dermal wound healing and skin wound infection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Steptococcus pyogenes, and Pseudomonas aeruginosa. Kor J Herbology. 2004;19(4): 137-60. 

  7. Ojingwa JC, Isseroff RR. Electrical stimulation of wound healing. Dermatology Foundation. 2002;36(4):1-12. 

  8. Newton RA, Karselis TC. Skin ph following high voltage pulsed galvanic stimulation. Phys Ther. 1983;63(10):1593-6. 

  9. Burr HS, Harvey SC, Taffel M. Bio-electric correlates of wound healing. Yale J Biol Med. 1938;11(2):103-7. 

  10. Carey LC, Lepley D Jr. Effect of continuous direct electric current onhealing wounds. Surg Forum. 1962;13:33-5. 

  11. Carley PJ, Wainapel SF. Electrotheraphy for acceleration of wound healing: low intensity direct current. Arch Phys Med Rehabil. 1985;66(7):443-6. 

  12. Kim ID, Oh HH, Song HC et al. The nuclear medical study on the effect of ST36 electroacupuncture on cerebral blood flow.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1;18(2):18-26. 

  13. Takeshige C, Sato T, Mera T et al. Descending pain inhibitory system involved in acupuncture analgesia. Brain Res Bull. 1992;29(5):617-34. 

  14. Stromberg BV. Effects of electrical currents on wound contraction. Ann Plast Surg. 1988;21(2):121-3. 

  15. Reich JD, Tarian PP. Electrical stimulation of skin. Int J Dermatol. 1990;29(6):395-400. 

  16. Hopf HW, Sherman JD. Acupuncture and post-surgical wound healing. San Francisco, University of California, 2006. 

  17. Azeez S, Amudhan S, Adiga S et al. Wound healing profile of areca catechu extracts on different wound. Kuwait Medical Journal. 2007;39(1):48-52. 

  18. Nayak S, Nalabothu P, Sandiford S et al. Evaluation of wound healing activity of Allamanda cathartica. L. and Laurus nobilis. L. extracts on rats. BMC Complement Altern Med. 2006;6:12. 

  19. Bon FX, Briand E, Guichard S et al. Quantitative and kinetic evolution of wound healing through image analysis. IEEE Trans Med Imaging. 2000;19(7):767-72. 

  20. Hopkins JT, McLoda TA, Seegmiller JG et al. Lower-levellaser therapy facilitates superficial wound healing in humans: A triple-blind, sham-controlled study. J Athl Train. 2004;39(3):223-9. 

  21. Rajasekaran NS, Nithya M, Rose C et al. The effect of finger millet feeding on the early responses during the process of wound healing in diabetic rats. Biochim Biophys Acta. 2004;1689(3):190-201. 

  22. Hansen GL, Sparrow EM, Kokate JY et al. Wound status evaluation using color image processing. IEEE Trans Med Imaging. 1997;16(1):78-86. 

  23. an JS. Acupuncture and endorphin. Neurosci Lett. 2004;361(1-3):258-61. 

  24. McKinley WO, Gittler MS, Kirshblum SC. Spinal cord injury medicine. 2. Medical complications after spinal cord injury: Indentification and management. Arch Phys Med Rehabil. 2002:83(3 Suppl 1);S58-64. 

  25. Son JW, Nam CH. The occurrence properties of the complications in spinal cord injury. J Kor Soc Phys Ther. 1992;4(1):27-42. 

  26. Hunt TK. In wound healing and wound infection: theory and surgical practice. New York, Appleton-Century-Crofts, 1980:192-3. 

  27. Shetty S, Udupa S, Udapa L. Evalution of antioxidant and wound healing effects of alcoholic and aqueous extract of Ocimum sanctum linn in rat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07;5(1):95-101. 

  28. McNees P. Skin and wound assessment and care in oncology. Semin Oncol Nurs. 2006;22(3):130-43. 

  29. Paul BJ, La Fratta CW, Dawson AR et al. Use of ultrasound in the treatment of pressure sores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Arch Phys Med Rehabil. 1960;41:438-40. 

  30. Abergel P, Lyons RF, Castel JC et al. Biostimulation of wound healing by lasers. Experimental approaches in animal models and in fibroblast cultures. J Dermatol Surg Oncol. 1987;13(2):127-31. 

  31. Conlan M, Rapley JW, Cobb CM. Biostimulation of wound healing by low-energy laser irradiation. A review. J Clin Periodontol. 1996;23(5):492-6. 

  32. Chang SL, Lin JG, Chi TC et al. An insulin-dependent hypoglycemia induced by electroacupuncture at the Zhongwan (CV12) acupoint in diabetic rats. Diabetologia. 1999;42(2): 250-5. 

  33. Han JS, Tang J, Ren MF et al. Central neurotransmitters and acupuncture analgesia. Am J Chin Med. 1980;8(4): 331-48. 

  34. Chen XH, Han JS. Analgesia induced by electroacupuncture of different frequencies is mediated by different types of opioid receptors: another cross-tolerance study. Behav Brain Res. 1992;47(2):143-9. 

  35. Taskan I, Ozyazgan I, Tercan M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ultrasound and electrostimulation on wound healing in rats. Plast Reconstr Surg. 1997;100(4);966-72. 

  36. Smith J, Romansky N, Vomero J. & Davis RH. The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wound healing in diabetic mice. J Am Podiatry Assoc. 1984;74; 71-5. 

  37. Oh HJ, Kim JW, Kim MS et al. The effects of microcurrent stimulation on histological structure of wound in rat. J Kor Soc Phys Ther. 2008;20(1):67-73. 

  38. Lee JH, Song IY, Kim JG. Acceleration of wound healing and collagen deposition in rat skin by high voltage pulsed current stimulation. J Kor Soc Phys Ther. 2003;15(4):1-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