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다식류의 종류 및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the Types and Cooking Methods for Dasik during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6 no.1, 2011년, pp.39 - 52  

오순덕 (서정대학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and cooking methods for dasik (traditional pressed sweet), as recorded in 16 old Joseon dynasty (1392-1909) studies. The ingredients used in dasik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categorized into cereal powders, tree fruits, flower powders, root clods, dry-fish beef pow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선시대 다식의 재료가 매우 다양해짐으로 다식의 종류를 주재료로 분류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조선시대는 전기(태조 1392년-명종 1567년), 중기(선조 1568년-경종 1724년), 후기(영조 1725년-순종 1909년)로 나누고 조선시대에 기록된 다식류의 종류와 조리방법을 분석 고찰함으로써 우리음식문화의 우수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다식의 세계화를 위한 조리법의 개발 및 산업화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거와 달리 진말다식의 조리법은 어떻게 변했는가? 이러한 다식의 사용은 흉년 등 사회경제적 배경으로 인하여 금령에 의하여 때로는 금지되기도 하였다(Lee & Chung 1999). 다식은 진말다식과 밤다식이 소개되었으며 진말다식은 밀가루를 볶아서 꿀·참기름·청주를 섞어 반죽하여 다식판에 박아 암기와나 뜨겁게 달군 솥에 구웠다. 그러나 지금은 익힌 가루를 꿀로 반죽하여 다식판에 찍는 조리법으로 변화되었다(Cho 등 2008).
조선시대 다식류 종류별 분포는 어떠한가? 2. 조선시대 다식류의 종류는 목실류(木實類)가 29.8%로 가장 높았고, 곡분류(穀粉類) 28.6%, 건어분류(乾魚粉類) 15.6%, 근괴류(根塊類) 14.3%, 화분류(花粉類 9.1%, 채소류(菜蔬類) 2.6% 차지하였다. 다식의 종류로는 흑임자다식과 밤다식이 각 11.
송화다식에 대해 饌法에서 볼 수 있는 제언은 무엇인가? 「饌法」에서는 송화를 가는체로 쳐서 불순물을 가려내고, 다식의 품질을 위해 마른가루를 판에 놓고 박으라는 섬세한 제언을 볼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 유(金?) 원저. 1500년대 초엽. 需雲雜方(수운잡방). 1998. 신광출판사 

  2. 류중림 원저. 1767년. 增補山林經濟(증보산림경제). 2003. 신광출판사 

  3. 박미자. 1996. 음식법(饌法)의 조리학적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34(2). pp 283-302 

  4. 박세당(朴世堂) 원저. 1676년. 穡經(색경). 2001. 농촌진흥청. p 262 

  5. 빙허각이씨 원저. 1815년경. 閨閤叢書(규합총서).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 II. 수학사. pp 630-631 

  6. 서유구 원저. 1827. 임원십육지(정조지). 2007. 교문사. pp 228-234 

  7. 안동장씨 원저. 1670년경. 閨是議方(음식디미방). 1980. 한국인서출판사. p 15 

  8. 윤서석.조후종. 1993. 조선시대 후기의 조리서인 음식법의 해설 I. Korean J. Dietary Culture, 8(2):159-165 

  9. 이숙 원저. 1908. 부인필지. 2010. 교문사. p 189 

  10. 작자미상. 1854년. 饌法(찬법).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 IV. 수학사. pp 1314-1316 

  11. 작자미상. 1800년대 말엽. 是議全書(시의전서). 2004. 신광출판사 

  12. 작자미상. 1680년. 要錄(요록).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 I. 수학사. p 282 

  13. 작자미상. 1700년대. 술 만드는법.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 II. 수학사. p 507 

  14. 작자미상. 1700년대 후기. 蘊酒法.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 II. 수학사. p 527 

  15. 장지현. 2008. 한국전래 造果類 제조사 연구. 수학사 

  16. 전순의 원저. 1449년. 山家要錄(산가요록). 2004. 농촌진흥청 

  17. 정리소. 1795년. 園行乙卯整理儀軌(원행을묘정리의궤). 2005. 수원시청 

  18. 정리소. 1795년. 園行乙卯整理儀軌(원행을묘정리의궤). 규장각 

  19. 정인지 외. 1451. 고려사 권69 

  20. 조선왕조실록 CD-ROM 간행위원회. 1995. 국역 조선왕조실록. 서울시스템 

  21. 최한기(崔漢綺) 원저. 1830. 農政會要 III. 2007. 농촌진흥청 

  22. 허 균(許筠) 원저. 1611년. 도문대작(屠門大嚼).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 I. p 212 

  23. Cho Sh, Chung RW, Choi YJ, Kim EM, Won SI, Cha GH, Kim HS, Lee HG. 2008. An Investigation "Kwa-Jung": Traditional Korean Confectionery Items, Found in Korean Literatures Prior to the 17th Century. Korean J. Food Cookery Sci. 24(3):312-324 

  24. Lee GC, Chung HM. 1999. A Literature Review on the Origin and the Characteristics of Dasik. Korean J. Dietary Culture, 14(4):395-4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