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왕조 궁중음식(宮中飮食) 중 다식류(茶食類)의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Dasik in the Joseon Dynasty Royal Palace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7 no.3, 2012년, pp.316 - 323  

오순덕 (서정대학교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prevalence of the traditional pressed sweet called dasik recorded in 15 Joseon dynasty (1392-1909) royal palace studies. The ingredients used in Dasik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categorized into 43% cereal powders, 18.6% tree fruits, 17.4% flower powders, 11.6% root clo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선왕조 궁중음식 다식의 재료가 매우 다양해짐으로 다식의 종류를 주재료로 분류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려사」에 의하면 다식은 언제 사용하였는가? 다식의 유래는 고려시대 숭불사상으로 인한 음다의 풍속과 고려시대 역대 왕들의 백성을 위한 권농정책으로 미곡생산량이 증가하는 등 사회경제적 배경에 의한다. 「고려사」에 의하면 다식은 고려시대에는 팔관회, 연등회 그리고 왕실 연회 등 국가적 행사에서 사용하였으며,「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성종 원년(1469)에는 왕실의 사급(賜級)으로 다식이 사용되었으며 일본국과의 외교에 있어서 왜인(倭人)들과 교류시 조선은 통신사를 통하여 전한물품에 다식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다식의 사용은 흉년 등 사회경제적 배경으로 인하여 금령에 의하여 때로는 금지되기도 하였다(Lee & Chung 1999).
조선시대 후기 「원행을묘정리의궤」에서는 다식 제조 시, 녹말 대신 무엇을 사용한 것으로 보여지는가? 조선시대 후기 「원행을묘정리의궤」를 제외한 의궤 13책에서 13종 소개되었다.「원행을묘정리의궤」에서는 녹말 대신에 홍갈분을 사용한 것으로 보여진다. 녹말다식은 녹말, 연지, 오미자와 청(淸, 꿀)이 사용되었으며 녹말다식(菉末茶食)과 홍녹말다식(紅菉末茶食)이 소개되었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다식은 언제 사용되었는가? 다식의 유래는 고려시대 숭불사상으로 인한 음다의 풍속과 고려시대 역대 왕들의 백성을 위한 권농정책으로 미곡생산량이 증가하는 등 사회경제적 배경에 의한다. 「고려사」에 의하면 다식은 고려시대에는 팔관회, 연등회 그리고 왕실 연회 등 국가적 행사에서 사용하였으며,「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성종 원년(1469)에는 왕실의 사급(賜級)으로 다식이 사용되었으며 일본국과의 외교에 있어서 왜인(倭人)들과 교류시 조선은 통신사를 통하여 전한물품에 다식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다식의 사용은 흉년 등 사회경제적 배경으로 인하여 금령에 의하여 때로는 금지되기도 하였다(Lee & Chung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이강자 외 13명, 2003, 증보산림경제 {류중림(柳重臨) 원저, 1767년}, 신광출판사, 서울 

  2. 이성우,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 I-도문대작 {허균(許筠) 원저, 1611년}, 수학사, 서울 

  3. 이성우,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 II-술만드는 법 (작자미상, 1700년대), 수학사, 서울 

  4. 이효지 외 11인, 2004, 시의전서 (작자미상, 1800년대 말엽), 신광출판사, 서울 

  5. 이효지 외 3인, 2007, 임원십육지(정조지) (서유구 원저, 1827년), 교문사, 경기도 

  6. 장지현. 2008. 한국전래 造果類 제조사 연구. 수학사. 서울 

  7. 정량완 편역, 1975, 규합총서 (빙허각이씨 원저, 1815년경), 보진재, 서울 

  8. 정인지 외. 1451. 고려사 권69 

  9. 조선왕조실록 CD-ROM 간행위원회. 1995. 국역 조선왕조실록. 서울시스템 

  10. 癸酉 進爵儀軌(계유 진작의궤), 고종 10년(1873),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11. 己丑 進饌儀軌(기축 진찬의궤), 순조 29년(1829), 2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12. 己亥 進宴儀軌(기해 진연의궤), 숙종 45년(1719), 서울대학교 규장각 

  13. 戊申 進饌儀軌(무신 진찬의궤), 헌종 14년(1848),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14. 戊子 進爵儀軌(무자 진작의궤), 순조 28년(1828), 2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15. 戊辰 進饌儀軌(무진 진찬의궤), 고종 5년(1868),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16. 辛丑 進宴儀軌(신축 진연의궤), 대한제국 고종 5년(1901년 7월),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17. 辛丑 進饌儀軌(신축 진찬의궤), 대한제국 고종 5년(1901년 5월),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18. 園行乙卯整理儀軌(원행을묘정리의궤), 정조 20년(1795), 서울대학교 규장각 

  19. 壬寅 進饌儀軌(임인 진찬의궤), 대한제국 고종 6년(1902년 4월),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20. 壬寅 進宴儀軌(임인 진연의궤), 대한제국 고종 6년(1902년 11월),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21. 壬辰 進饌儀軌(임진 진찬의궤), 고종 29년(1892),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22. 丁丑 進饌儀軌(정축 진찬의궤), 고종 14년(1877),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23. 丁亥 整禮儀軌(정해 정례의궤), 순조 27년(1827), 2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24. 丁亥 進饌儀軌(정해 진찬의궤), 고종 24년(1887), 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25. Cho Sh, Chung RW, Choi YJ, Kim EM, Won SI, Cha GH, Kim HS, Lee HG. 2008. An Investigation "Kwa-Jung": Traditional Korean Confectionery Items, Found in Korean Literatures Prior to the 17th Century. Korean J. Food Cookery SCI. 24(3):312-324 

  26. Lee CH, Maeng YS. 1987. A Literature Review on Traditional Cookies, Hankwa. Korean J. Dietary Culture. 2(1):55-69 

  27. Lee GC, Chung HM. 1999. A Literature Review on the Origin and the Characteristics of Dasik. Korean J. Dietary Culture, 14(4):395-403 

  28. Lee HG, Yoon SS. 1986. An Analysis of Korean Desserts in the Royal Parties of Yi Dynasty. Korean J. Dietary Culture, 1(3):197-210 

  29. Oh SD. 2011. A Literature Review on the Types and Cooking Methods for Dasik during the Joseon Dynasty. Korean J. Food Culture, 26(1):39-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