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전지역 수유기 여성의 영양섭취 상태와 식행동
Nutritional Status and Eating Behavior of Lactating Women in Daejeon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6 no.1, 2011년, pp.37 - 50  

김지선 (충남대학교 소비자생활정보학과) ,  박명순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정원 (충남대학교 소비자생활정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trients intake status of 73 lactating women, that is 45 breast feeding (BF), 13 formula feeding (FF) and 15 mixed feeding (MF), living in Daejeon was investigated. Self-recorded food intakes for two weekdays and eating behaviors using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from May to August 2008. Subjec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모유분비의 주체가 되는 수유기 여성의 영양 상태나 식생활 습관에 중점을 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최근 연구들은 더욱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유기 여성의 수유형태에 따른 영양 상태와 식행동을 분석하였으며 수유기 여성의 영양 상태 향상을 위한 정부 또는 학계 차원의 정책 개발, 영양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수유기 여성의 영양상태 및 이의 영향인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생후 1개월에서 12개월 된 영아를 둔 수유부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유 형태와 어머니의 학력 및 직업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Wang & Kim(1999)의 대전지역 조사에서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모유 수유율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과는 일치하지 않았으나 직장을 가질수록 모유 수유율이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와는 일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유기의 많은 영양소 필요량이 임신기보다 많은 경우가 있으므로 수유기에 수유부가 해야하는 것은? 한국인영양섭취기준(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에 따르면 수유기의 단백질, 비타민D, 엽산 및 철분의 필요량은 임신기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그 밖의 영양소 필요량은 임신기보다 많다. 따라서 수유부는 필요한 에너지와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기 위해서 전반적으로 식사의 양과 질적인 보충이 요구되며, 하루에 3~4컵의 우유를 섭취하고 비타민 공급을 위하여 녹색채소류, 감귤류의 섭취량을 늘리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Koo 등 2006). 그러나 수유, 육아, 가사 등으로 심신이 피곤한 수유기 여성들은 식사량이 부족하고 식습관이 바람직하지 못하며, 또한 부적절한 체중감량 다이어트를 시도하는 등으로 영양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국인영양섭취기준에 따른 수유기의 영양 필요량은 임신기와 비교했을 때 어떤가? 수유기의 영양 필요량은 같은 연령의 비임신기에 비해 높으며 일부 영양소는 임신기보다도 높다. 한국인영양섭취기준(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에 따르면 수유기의 단백질, 비타민D, 엽산 및 철분의 필요량은 임신기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그 밖의 영양소 필요량은 임신기보다 많다. 따라서 수유부는 필요한 에너지와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기 위해서 전반적으로 식사의 양과 질적인 보충이 요구되며, 하루에 3~4컵의 우유를 섭취하고 비타민 공급을 위하여 녹색채소류, 감귤류의 섭취량을 늘리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Koo 등 2006).
수유기에 식사가 부족할 경우 어떻게 되는가? 임신기와 수유기는 유아의 태아기를 비롯해 영유아의 성장 발육과 건강 수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시기로써 최적의 영양상태 유지를 위한 특별한 배려가 요구된다. 특히 수유기에 식사가 부족할 경우 유즙 분비량이 감소되고 유즙의 영양소 조성까지 변화된다는 보고(Choi 등 1991; Choi & Ahn 1993; Kim 등 2002)로 미루어 볼 때 모유 수유부의 균형 잡힌 식사는 모유분비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필수 전제조건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hn BRM (2005): Comparison among the interest of weight control, health related factors and dietary habits according to the obese index in female college students. MS thesis, Wonkwang University 

  2. Ahn HS (1999): Nutritional intake levels of Korean infants. Korean J Community Nutr 4(4): 610-622 

  3. Ahn HS, Bai HS, Kim SY (1995): Research on biological and sociobehavioral factors affecting determinants of breast feeding duration. Korean J Nutr 28(4): 331- 344 

  4. Butte NF, Garza C, Stuff JE, O'Brian SE, Nichols BL (1984): Effects of maternal diet and body composition on lactational performance. Am J Clin Nutr 39: 296-306 

  5. Chang NS, Kang MH, Paik HY, Kim IH, Choi YW, Park SC, Shin YW (1993): Serum folate and iron levels of pregnant, lactating, and non-pregnant, non-lactating women. Korean J Nutr 26(1): 67-75 

  6. Choi KS, Lee HJ (2006): A study on knowledges and attitudes about breast milk feeding and needs for breast milk feeding educ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1(2): 191-204 

  7. Choi MH, Moon SJ, Ahn HS (1991): An ecological study of changes in components of human milk during the breast feeding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ietary behavior of lactating women and the growth of breast-fed Infants. Korean J Nutr 24(2): 77-86 

  8. Choi MG, Ahn HS (1993): Influence of matemal diet on mineral and trace element contents of human milk and relationships between level of these milk constituents. Korean J Nutr 26(6): 772-782 

  9. Hwang HS, Lee JS (1999): A study of teacher's breakfast behavior and ideal breakfast types. Korean J Community Nutr 4(4): 575-586 

  10. Hyun WJ, Song KH, Choi MK, Son SM (2007): Food energy and nutrient composition table easy to understand. Kyomunsa, Seoul 

  11. Jeon HS, Hong SY (1996):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status and method of infant feeding in Incheon. Korean J Community Nutr 1(3): 433-440 

  12. Kant AK, Schatzkin A, Ziegler RG, Nestle M (1991): Dietary diversity in the US population, NHANES II. 1976-1980. J Am Diet Assoc 91: 1526-1531 

  13. Kim WJ, Ahn HS, Chung EJ (2005): Mineral intakes and serum mineral concentrations of the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0(1): 59-69 

  14. Kim KN, Hyun TS, Kang NM (2002): A survey on the feeding practices of women for the development of a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Breast feeding knowledge and breast feeding rates. Korean J Community Nutr 7(3): 345-353 

  15. Koo JY, Lee JW, Choi YS, Kim JH, Lee JH (2006):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Hyoil Co., Seoul 

  16. Korea Dietetic Association (1999): Food weights by eye measurement and food pictures 

  17.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2000): Questionnaires for surveying dietary life 

  18. Lee JS, Choi KS, Kim ES (1996): Changes on milk production of lactating women in Kwangwon province during lactation. Korean J Nutr 29(10): 1105-1111 

  19. Lee GJ, Moon SJ, Lee MJ, Ahn HS (1993): Postpartum changes in maternal diet, body fat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in lactating vs non-lactating women. Korean J Nutr 26(1): 76-88 

  20. Lee JA, Huh YR, Lee JI, Lim HS. (1994): Composition and yield of Korean breast milk and maternal intakes of foods and nutrients. Korean J Nutr 27(8): 795-804 

  21. Lee JW, Lee MS, Kim JH, Son SM, Lee BS (2006): Nutritional assessment. Kyomunsa, Seoul 

  22. Lee SI, Choi HM (2002): Nutrition for infants and children. Kyomunsa, Seoul 

  23. Lee YK, Sung CJ, Choi MK, Lee YS (2002): Effects of sodium intakes on blood pressure and blood parameters in Korean normal adult women. Korean J Nutr 35(7): 754-762 

  24. Lindblad BS, Rahimtoola RJ, Jones JB, Barnhart H (1983): Calcium phosphorus and magnesium contents of human milk during early lactatio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 262-267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6): Report on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Nutrition Survey(1) 

  26. Moon SJ, Kang JS, Lee MJ, Lee JH, Ahn HS (1993): A longitudinal study of macro-mineral concentrations in human milk. Korean J Nutr 26(9): 1098-1109 

  27. Moon HK, Kim EG (2004): Nutrient and food intake of Koreans by the economic status and meal pattern using 1998 Korean national health examination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37(3): 236-250 

  28. Nam KS (2007): How to use SPSS for statistical analysis. Chayou Academy, Seoul 

  29. Ngoan LT, Mizoue T, Fujino Y, Tokui N, Yoshimura T (2002): Dietary factors and stomach cancer mortality. Br J Cancer 87(1): 37-42 

  30. Ro HK (1994): Infant feeding practices in Kwangju area. J Korean Soc Food Nutr 23(1): 48-54 

  3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2003): Food composition tables easy to understand for consumers 

  32. Takeda Y, Yoneda T, Demura M, Furukawa K (2001): Effects of high sodium intake on cardiovascular aldosterone synthesis in stroke-prone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Hypertens 19(3): 635-639 

  33.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34. Wang SK, Kim JH (1999): A study on infant feeding and weaning practice in Taejon. Korean J Community Nutr 4(4): 489-495 

  35. Worthington-Roberts BS, Williams SR (1989): Nutrition in pregnancy and lactation. CV Mosby Co., St Louis 

  36. Yoon JS, Chang HK, Park JA (2005): A study on calcium and iron status of lactating women. Korean J Nutr 38(6): 475-4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