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역성 측면에서 공동주택 커뮤니티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Design Elements Related to Territoriality for Apartment Community Design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2 no.1, 2011년, pp.57 - 64  

조성희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최인영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sign elements to strengthen apartment communities in territoriality perspectives. To this end, the study first identified the functions of territoriality to communities, and examined precedent studies on community planning. Then, looking into actual ap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문헌연구에서는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커뮤니티와 관련하여 영역성의 기능을 구체화하고,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커뮤니티 관련 계획요소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구체적 사례분석을 통해 실제 공동주택에서 나타나고 있는 계획요소를 영역성의 기능에 따라 분석하여 커뮤니티 형성 및 증진의 계획요소로 파악하였다.
  • 따라서 이를 공유공간의 영역별로 재정리하여 구체적 계획요소를 살펴보았다. 반사적영역에서는 주동주변의 휴게공간 및 접점공간 조성, 인간친화적 디자인 적용, 필로티 도입, 데크상부 공용공간화, 저층부 공용공간화 등의 계획방안이 나타났다.
  • G단지의 경우 일부 주동에 노출형 복도와 브릿지를 계획하고 시각적확장을 통해 자연적 감시성을 부여하였고, 주거 외 상업시설이 복합된 G단지, H단지, L단지에서는 주거부의 수직 공간분리를 통해 심리적경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공적영역에서 L단지는 중정을 갖춘 ㅁ자형 주동형태와 입면보이드를 통해 선큰형의 공유공간을 위요화한 예로 시각적확장을 통해 감시성을 확보하였다. H단지는 단지입구에 큰 광장을 배치하여 전이 공간을 통한 심리적경계를 형성하였다.
  • 반사적영역은 반공적공간에서 단위세대로 옮겨가는 공간으로 파악하였고, 반공적영역은 근린지역으로서의 개념이 아닌 공적공간이 단지 내로 끌어들여져 친밀화된 공간으로 반사적영역에 비해 사회적교류, 공동체의식향상, 비점유 등 공적공간의 행태적 특성을 보이는 공간으로 파악하였다.
  • 심리적경계로는 반사적영역에서 주동내 복도 및 브릿지, 계단을 노출형으로 구성하여 시각적확장을 유도하였다. G단지의 경우 일부 주동에 노출형 복도와 브릿지를 계획하고 시각적확장을 통해 자연적 감시성을 부여하였고, 주거 외 상업시설이 복합된 G단지, H단지, L단지에서는 주거부의 수직 공간분리를 통해 심리적경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는 문헌연구과 사례분석으로 진행되었다. 문헌연구에서는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커뮤니티와 관련하여 영역성의 기능을 구체화하고,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커뮤니티 관련 계획요소를 살펴보았다.
  • 육현일(2000)은 소유, 통제, 방어, 배타적사용, 개인화(개성화), 경계조절, 근접성 정도로, 권민수(2005)는 소유, 방어, 배타적사용, 개성화, 조절, 경계로 설명하였고, 서혜영(2007)은 소유, 통제, 방어, 배타적사용, 개성화로 구분하였다. 연구자에 따라 영역성의 기능에 대해 서로 다른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공동주택에서의 계획요소로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사한 개념 및 용어를 통합하고 재정리하여 영역성의 기능을 4가지(소유, 경계조절, 근접, 개성화)로 정리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커뮤니티 형성 및 증진을 위해 중요한 개념인 영역성의 기능을 구체화하고, 커뮤니티 관련 계획방안들을 영역성 측면에서 사례의 계획요소 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이는 영역성 측면에서 공동주택의 커뮤니티 증진을 위한 계획요소를 구체화한 연구로 커뮤니티 증진 방안 모색에 있어 영역성의 활용성을 재발견하고 그 가능성을 확장시키는 의의를 가진다.
  •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커뮤니티 증진과 관련된 영역성의 기능을 소유, 경계조절, 교류, 개성화로 구체화하였다.
  • 커뮤니티에 관련된 영역성의 기능(소유, 경계조절, 근접, 개성화)에 따라 실제 공동주택 사례에서 나타나고 있는 계획요소를 파악하였다.

대상 데이터

  • 사례는 국내·외 선진사례로 국내사례의 경우는 최근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살기 좋은 아파트’2) 종합대상을 수상한 6단지를 대상으로 하였고, 국외사례는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3)에서 새로운 공동주택의 가능성 및 공유공간, 외부공간 계획의 선진사례로 언급된 일본과 네델란드 건축가의 계획사례(6단지)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역성의 기능 네 가지는? 육현일(2000)은 소유, 통제, 방어, 배타적사용, 개인화 (개성화), 경계조절, 근접성 정도로, 권민수(2005)는 소유, 방어, 배타적사용, 개성화, 조절, 경계로 설명하였고, 서혜영(2007)은 소유, 통제, 방어, 배타적사용, 개성화로 구분 하였다. 연구자에 따라 영역성의 기능에 대해 서로 다른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공동주택에서의 계획요소로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사한 개념 및 용어를 통합하고 재정리하여 영역성의 기능을 4가지(소유, 경계조절, 근접, 개성화)로 정리하였다.
심리적 소유는 주거생활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이는 공간 계획에서 전용공간 또는 일부 거주민이 공유하여 소유의식을 갖게 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과 관계된다. 따라서 주거생활의 안정감과 행동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6)으로 이웃과의 교류를 증진 시키며 외부인과의 문제를 줄여주고 어떤 장소에 대한 애착심과 편안함을 갖게 한다7).
공동주택에서 커뮤니티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커뮤니티(community)의 사전적 정의는 “(정치·문화·역사를 함께 하는)사회, 공동사회, 공동체”로, 공동주택에서의 커뮤니티는 “주거단지라는 공간적 장소를 공유하면서 거주자들간의 지속적인 접촉과 공동생활의 참여를 통해 심리적 공동의식과 주거단지에 애착심을 가지는 사회 집단(박광재 외, 2001)”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의 형성및 증진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선행연구로 박재욱(2001)은 커뮤니티 증진을 위해서 공동체의식의 형성이 요구되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사회적요소(동질성, 만족감과 관련된 심리적요소, 사적교류, 공적활동)와 물리적 요소(근접성, 영역성, 밀도, 장소성)를 제안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강지명 (1998). 거주행태 지원성 강화를 위한 도시집합주거 공유영역의 디자인방법과 그 과정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2. 공동주택연구회 (2007). 주거단지계획. 파주: 동녘. 

  3. 공동주택연구회 (2007). MA와 하우징 디자인. 파주: 동녘. 

  4. 권민수 (2004). 현대 도시공동주택의 영역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서울. 

  5. 남용훈.신중진 (2005). 커뮤니티 개념을 고려한 아파트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논문집, 6(3), 5-18. 

  6. 대한주택공사 (1999). 커뮤니티 개념을 도입한 도시정비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도: 대한주택공사. 

  7. 박광재.백혜선.서수정 (2001). 아파트 공동체 실현을 위한 방안연구. 경기도: 대한주택공사. 

  8. 박재욱 (2001). 집합주거단지에서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외부공간 계획안.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서울. 

  9. 박태동 (2006). 아파트단지내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외부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산업대학교, 서울. 

  10. 변희협 (1988). 근린의식 향상을 위한 반사적 영역의 계획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11. 서혜영 (2007). 고층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영역성표현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전. 

  12. 손세욱 (1989). 집합주거에 있어서 근린관계에 관한 기초적 연구. 대전대학교 논문집, 8(1), 243-254. 

  13. 양호일 (1990). 환경디자인의 행태학. 경기도: 유림문화사. 

  14. 육현일 (2000). 환경 심리학적 측면에서의 공동주택 주거환경 계획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수원대학교, 경기도. 

  15. 이상준.임영배 (1991). 집합주거환경의 영역성 연구 I.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7(6), 61-74. 

  16. 이상준.임영배 (1992). 영역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영역개념의 구조적 특성.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8(9), 55-67. 

  17. 이진환.홍기원 역 (2004). 환경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18. 전남일.박혜선.문은미 (2006). 네덜란드의 건축가 네덜란드의 주거. 서울: 발언. 

  19. 정무웅 외 6인 (2009). 건축디자인과 인간행태. 서울: 문운당. 

  20. 최종인.이낙운 (2006). 집합주거단지의 커뮤니티 활성화에 관한 기초적 연구. 조형예술연구논문집, 7, 59-73. 

  21. Edney, J. J. (1975). Territoriality and Control: A Field Experi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1(6), 189. 

  22. Fitzhugh, J. R. & Anderson, J. R. (1980). Personalization, Control, Security and Satisfaction. Journal of Architectural Research, 1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