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늘재배 농업인을 위한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개발 및 효과 검증 - 자기효능 이론과 지역사회역량 이론의 적용 -
Effects of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ject for Garlic Cultivating Farmers Based on Self-efficacy Theory and Community Capacity Building Framework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1 no.1, 2011년, pp.80 - 91  

김향숙 (경남 남해군 동천보건진료소 보건진료원) ,  구미옥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노인건강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s of a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ject for farmers cultivating garlic. Bandura's self-efficacy theory (1986) and Chaskin's community capacity framework (2001) were used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농번기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본 연구의 지역사회 진단 결과 농번기에 크게 문제가 되었던 어깨와 허리 통증, 소변참기, 수분섭취 부족, 손저림, 심한 피로, 수면 부족, 품앗이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자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은 4주간 농작업 관련 건강행위, 운동 및 웃음치료를 농작업 전, 중, 후로 나누어 구성되었다.
  • 65점으로 감소하였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된 프로그램, 특히 농번기 프로그램을 전국 마늘재배 지역의 농업인의 농부증 관리를 위해 실시할 것을 적극 권장하고자 한다.
  • 본 건강증진사업의 특징은 마늘재배 농업인의 특성에 맞추어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이며, 농촌주민을 대상으로 한 거의 모든 선행연구들은 농한기에만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시행한 것에 비해 농한기뿐 아니라 농번기에도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수행한 것이다. 또한 사업수행 전략으로 개인의 건강행위 변화를 촉진시키는 자기효능 전략과 함께 지역사회역량 증진전략을 사용함으로써 건강증진사업의 수행과 지속을 촉진시키고자 한 것이다.
  • 본 연구는 Bandura (1986)의 자기효능 이론과 Chaskin 등(2001)의 지역사회역량 기틀을 기반으로 마늘재배 농업인을 위한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을 개발하여 수행한 후 사업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Bandura (1986)의 자기효능 이론과 Chaskin 등(2001)의 지역사회역량 기틀을 적용하여 마늘재배 농업인을 위한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으로 농한기 8주 건강증진프로그램, 농번기 4주 건강증진프로그램, 지역사회역량 강화전략을 개발하여 수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마늘재배 농업인을 위한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은 자기효능, 농작업 관련 건강행위, 체력, 건강관련 삶의 질을 증가시키고, 농부증을 감소시키는 데 농한기와 농번기에 모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사업의 성공적 요인으로 개인의 자기효능증진과 더불어 지역사회역량 구축 전략을 사용한 것을 들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마늘재배 농업인을 위한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설계는 마늘재배 농업인을 위한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을 개발하여 수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유사실험 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이다.
  • 운동프로그램은 마늘재배 농업인의 기초체력을 기르는 것과 농번기에 실시하게 될 운동을 미리 학습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집단운동은 주 3회, 매회 60분간 시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자는 Bandura(1986)의 자기효능 이론은 개인 수준에서 건강행위를 증진시키는 전략의 기반으로, Chaskin 등(2001)의 지역사회역량 기틀은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수행과 유지를 위해 지역사회 수준에서 지역사회의 안녕을 유지 ∙ 증진하고 집합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적자본, 조직자원, 사회적 자본의 상호작용을 높이는 전략의 기반으로 적용하여 마늘재배 농업인이 농한기와 농번기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기틀은 Bandura와 Chaskin 등의 이론에 기반을 두고 개발된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이 자기효능을 증진시키고 자기효능은 농작업 관련 건강행위를 증가시키며 그 결과 체력이 증가하고, 농부증이 감소하며 건강관련 삶의 질이 증가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 그 결과 마늘재배 농업인을 위한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은 자기효능, 농작업 관련 건강행위, 체력, 건강관련 삶의 질을 증가시키고, 농부증을 감소시키는 데 농한기와 농번기에 모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사업의 성공적 요인으로 개인의 자기효능증진과 더불어 지역사회역량 구축 전략을 사용한 것을 들 수 있다. 이에 전국의 마늘재배 농업인에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의 적용을 권장하고, 아울러 지역사회기반 건강증진사업 시 개인의 건강행위 변화와 함께 지역사회 접근으로 지역사회역량 강화전략을 함께 시도할 것을 권장하고자 한다.
  • 연구자는 체육전문가로 부터 미리 측정기구의 사용방법을 정확하게 숙지하고, 연구보조원 훈련으로 설문조사와 체력측정 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체력측정 시 측정자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체력종목별로 측정하는 연구보조원을 정해서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간에 측정시기에 따른 자기 효능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측정시기에 따른 농작업 관련 건강행위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측정시기에 따른 체력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4: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측정시기에 따른 농부증 정도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5: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측정시기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인의 자기효능을 높이는 것은 농작업 관련 건강행위의 증진과 지속에 유용한 간호중재로 볼 수 있는 근거는? 이는 우리나라 비닐하우스 농작업자를 대상으로 12주간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자기효능이 증가한 Lim (2004)의 연구와는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 수행에 따라 자기효능이 증가한 것은 농한기에는 건강교육, 웃음치료, 운동을 통해, 농번기에는 운동, 가정방문, 웃음치료, 개인건강일지를 통해 Bandura (1986)가 자기효능 전략으로 제시한 성취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생리적 각성저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농한기에 농작업 관련 건강행위 수행의 증가는 마늘재배 농업인들이 건강대학에서 마늘 농작업과 관련하여 건강을 유지 ∙ 증진할 수 있는 건강행위를 학습한 것과 자기효능 증가에 따른 효과로 생각된다. 농번기에 농작업 관련 건강행위가 농한기에 비해 더 증가한 것은 농한기에 이들 건강행위에 대해 충분히 준비가 되었다는 것과 짬짬이 유연성 운동, 연구자의 가정방문, 개인건강일지 검토에 따른 피드백과 격려로 인해 가능했으리라 생각된다. 농번기 자기효능의 증가는 건강행위의 성공적 수행에 따른 당연한 결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농업인의 자기효능을 높이는 것은 농작업 관련 건강행위의 증진과 지속에 유용한 간호중재로 결론지을 수 있겠다.
리더십 개발의 목적은? 리더십 개발은 마을지도자들의 지역리더로서 역할과 헌신을 증진시킨 것과 짬짬이 유연성 운동강사를 양성한 것이다. 지역리더 10명 중 건강대학의 임원 5명은 짬짬이 유연성 운동강사 훈련을 받고 농번기에 마을 들녘에서 주민들이 짬짬이 유연성 운동을 시행할 때 리더로서 역할을 하였다.
보건진료소의 역할은? 보건진료소는 농어촌지역 주민의 보건의료문제를 해결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의 방향에 맞추어 보건진료소의 새로운 비전은 농업인의 생활터에서 요구되는 특화된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함으로써 농업인의 자기건강관리 능력을 배양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건강한 지역사회를 구현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 Chaskin, R. J., Brown, P., Venkatesh, S., & Vidal, A. (2001). Building community capacity. New York: Aldin De Gruyter. 

  3. Cho, B. H., Jung, M. S., & Min, S. H. (2007). Health promotion and community capacity.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44, 95-112. 

  4. Choi, S. H. (2001).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on health of the clients with arthritis in primary health care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2, 344-360. 

  5.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ast}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1149-1160. 

  6. Jung, Y. H., Seo, Y. S., Seo, N. S., Rhe, S. A., & Lee, S. H. (2006). A model building of rural health promotion project connected to health related community resources. Naju: Dongshin University, Management center for health promotion. 

  7. Kegler, M. C., Norton, B. L., & Aronson, R. E. (2008). Strengthening community leadership: Evaluation findings from the California healthy cities and communities program. Health Promotion Practice, 9, 170-179. 

  8. Kim, E. J. (2002). Factors influencing the farmers syndr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3, 817-825. 

  9. Kim, H. S., & Gu, M. O. (2008). Survey of general & farming related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farmer's syndrome, farming related health behavior in garlic cultivating farmers. Unpublished manuscript. 

  10. Kim, H. S., & Park, W. Y. (2005). Senior fitness test manual. Seoul: Daehanmedia. 

  11. Kim, I. S., Kang, S. J., & Kim, K. H. (2008). The effect of self-help management program by strengthen self-efficacy on self-efficacy and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 526-536. 

  12. Koh, S. B., Chang, S. J., Kang, M. G., Cha, B. S., & Park, J. K. (1997). Reliability and validity on measurement instrument for health status assessment in occupational workers.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 Public Health, 30, 251-265. 

  13. Komatsuzaki, O. (1970). Psychosomatic evaluation of so-called "Nofusho" symptoms. Symposium conducted at the meeting of the 4th International Congress of Rural Medicine, Tokyo, Japan. 

  14. Lee, K. S., Kim, K. R., Kim, H. C., & Kim, K. S. (2006). Current status and management of agricultural industry accidents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of farmers. Suwon: Research center of rural resour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5. Lim, K. S. (2004).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vinyl house farm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16. Meng, K. H. (1980). A study on the farmer's syndrome in rural residents. Human Science, 4, 45-51. 

  1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8). Community-specific health promotion behaviors project. Seoul: Author. 

  18. Oak, J. S., & Park, W. Y. (2004).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on fitness and equilibrium sensory function in old adults. Exercise Science, 13, 101-112. 

  19. Oh, Y. J. (2003).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tailor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rural elderly -Based on the PRECEDE-PROCEED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20. Park, J. S. (1995). A model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late-middle age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1. Park, J. S., Oh, Y. J., & Kwon, S. M. (2007). The effects of a tailored health promotion program on self efficacy, health problem and quality of life of rural resident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8, 523-533. 

  22. Park, M. K., Kang, K. S., & Kim, N. Y. (2007).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amount of smoking and nicotine dependence and self-efficacy of smoking cessation for smoking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1073-1079. 

  23. Ware, J. E., & Sherboune, C. D. (1992).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1.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ical Care, 30, 473-4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