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인지이론을 적용한 근감소증 남성 노인의 가족지지기반 신체활동증진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Family Support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the Male Elderly with Sarcopenia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6 no.1, 2020년, pp.39 - 51  

최현아 (선린대학교 간호학부, 계명대학교 간호과학 연구소) ,  박경민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문경자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family support oriented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the male elderly with sarcopenia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Methods: This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an analysis of 18 related intervention literatures, results of a focus group intervi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강화의 경우 신체활동에 대한 보상계획 세우기’, 목표달성시 계획된 보상 제공하기’를 통해 지속적인 동기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 또한, 매회기 도입부에 개별 신체활동 수행 정도를 확인하는 시간을 배정하여 신체활동에 대한 목표달성도를 파악하여 동기를 유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매회기 교육 후에는 집에서 가족이 해야 할 과제를 제시해 줌으로 신체활동 증진에 대한 가족지지를 촉진하도록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가족지지의 환경변화를 통해 인지적 요인인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 능력을 향상해 신체활동의 행동 변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근감소증 지표를 개선하기 위한 가족지지 기반 신체활동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족지지기반 신체활동증진프로그램을 통하여 신체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스스로 설정한 건강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과 전략을 세우고 실행해 나가는 자기조절을 향상과 같은 인지적 요인의 변화를 통해 행동적 요인인 신체활동량을 증진해 궁극적으로 근육량, 체력과 같은 근감소증 지표 향상이라는 결과를 도출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5회기는 신체활동 유지하기 및수료식으로 신체활동의 유지를 위해서 새로운 목표설정과 수료식을 진행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최종 평가하는 시간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매회기 도입부에 개별 신체활동 수행 정도를 확인하는 시간을 배정하여 신체활동에 대한 목표달성도를 파악하여 동기를 유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매회기 교육 후에는 집에서 가족이 해야 할 과제를 제시해 줌으로 신체활동 증진에 대한 가족지지를 촉진하도록 하였다.
  • 재발방지는신체활동의 장애요인 확인 및 극복전략 세우기’, 장애 요인 극복하기 위한 대처 문구 만들기’의 방법을 통해 가족과 함께 신체활동에 대한 장애요인을 극복하도록 하였다. 또한, 신체활동의 장애 요인에 관한 목록과 극복전략의 옵션을 제시해 줌으로써 실패의 경험을 줄이고 신체활동 지속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정서적 각성은 신체활동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표현하고 지지해주기’를 통해 행동 변화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가족이 지지해줌으로써 자기효능감이 지속적으로 향상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사회인지이론을 기반으로 선행문헌 분석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를 활용해 근감소증 남성 노인에게 적합한 가족지지기반 신체활동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사회인지이론을 적용해 근감소증 남성 노인을 위한 가족지지기반 신체활동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사회인지이론을 적용해 근감소증 남성 노인을 위한 가족지지기반 신체활동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성공경험을 위해 가족 구성원이 운동에 관한 적절한 방법을 알려주고 시범을 보여주기’, 대리경험을 위해 가족 구성원과 함께 운동하기를 통해 자기효능감을 높이고자 하였다.
  • 언어적 지지는 가족 응원 문구 만들기’, 신체활동을 통해서 변화될 긍정적인 모습에 관해서 이야기하기, 신체활동을 하는 시간을 잊지 않도록 지지, 신체활동의 결과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칭찬하기등의 언어적 설득요소를 활용해 자기효능감을 높이고자 하였다.
  • 성공경험을 위해 가족 구성원이 운동에 관한 적절한 방법을 알려주고 시범을 보여주기’, 대리경험을 위해 가족 구성원과 함께 운동하기를 통해 자기효능감을 높이고자 하였다. 운동행위를 관찰하고, 신체활동의 필요성을 지속해서 인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대상자가 매일 운동일지를 기록하도록 하였으며, 가족은 매주 운동일지를 점검해 주며, 그 결과에 관해서 이야기해주도록 하는 자가모니터링 요소를 활용해 자기조절 능력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 저항성 운동은 부상의 위험이 크고, 지루하다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가정 내에서 스스로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11]. 이에 가정에서 쉽게 활용 가능한 수건과 페트병을 이용하여 부상의 위험을 줄이고 운동 강도에 있어서도 노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문장으로 구성된 말하기 검사(Talk Test) 이용하여 저항성 운동의 생소함을 줄이고자 하였다[28]. 또한, 개인의 체력수준에 맞추어 스스로 물량을 조절하도록 하여 자율성과 흥미를 부여하여 가정에서도 지속적으로 신체활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또한, 가족지지 관련 연구는 신체활동증진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각 질환의 특성에 맞는 전반적인 생활습관교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중재 기간과 방법이 각 질환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근감소증 남성 노인 대상으로 가족지지를 활용한 차별화된 신체활동증진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특히, 과거의 자기효능감이나 자지조절에 초점을 맞춘 연구에서 벗어나 사회인지이론을 검증한 여러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연구의 개념적 기틀을 제시하고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는 점이다. 특히, 단순한 가족지지 제공이 아닌, 신체활동 증진에 효과적인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을 가족지지를 통해 향상해 지속적인 신체활동을 촉진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프로그램을 근감소증 노인뿐만 아니라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필요한 다양한 대상자들에게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환경적 지원은 눈에 잘 보이는 곳에 운동장비 두기’, 운동일지나 운동서약서를 현관문, 냉장고, 방안 등 눈에 잘 보이는 곳에 두기’, 운동을 즐겁게 할 수 있도록 선호하는 음악 활용하기’, 대상자가 운동하기 즐거워하는 장소 찾기’의 환경적 도움을 가족을 통해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감소증(sarcopenia)은 무엇입니까? 근감소증(sarcopenia)은 노화로 인한 근육량 감소와 근 기능 저하가 동반된 상태로, 다양한 노인성 질환의 위험인자로서 삶의 질 저하, 의료비 증가 등 노인의 삶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1]. 근감소증은 65세 이상 노인에서 30% 정도 발생하며[2], 75세 이상 남성에서는 75%까지 유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근감소증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이는 중년기 이후 근육량 발육을 촉진하는 테스토스테론 호르몬의 감소로 인해 근육량 감소속도가 여성보다 빨라지기 때문이다[4].근감소증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노화로 인한 신경 근육 전달과정의 퇴행성 변화, 동화작용에 관련된 호르몬(성장호르몬, 인슐린유사성장인자-1 (Insulin like Growth Factor-1 (IGF-1), 성호르몬) 생산 감소, 사이토카인 분비 조절 이상, 영양 불균형, 신체활동 감소가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5].
근감소증 관리를 위해서 저항성 운동과 유산소 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이 추천되는 이유는? 근감소증 관리방안으로 신체활동, 영양요법(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D), 호르몬 요법(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 성장호르몬) 등이 있으며, 이중 신체활동이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7]. 일반적으로 저항성 운동은 근육량과 근력 개선에 효과적이고, 유산소 운동은 저항성 운동보다 효과는 크지 않지만, 근육합성을 촉진해 근감소증이 다소 원만하게 진행되도록 도와준다[7-9]. 따라서 근감소증 관리를 위해서는 저항성 운동과 유산소 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이 추천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ruz-Jentoft AJ, Baeyens JP, Bauer JM, Boirie Y, Cederholm T, Landi F, et al. Sarcopenia: European consensus on definition and diagnosis: report of the European Working Group on sarcopenia in older people. Age and Ageing. 2010;39(4):412-23. https://doi.org/10.1093/ageing/afq034 

  2. Brown JC, Harhay MO, Harhay MN. Sarcopenia and mortality among a population-based sample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 2016;7(3):290-8. https://doi.org/10.1002/jcsm.12073 

  3. Yamada M, Nishiguchi S, Fukutani N, Tanigawa T, Yukutake T, Kayama H, et al. Prevalence of sarcopenia in community- dwelling Japanese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13;14(12):911-5. https://doi.org/10.1016/j.jamda.2013.08.015 

  4. Hughes VA, Frontera WR, Roubenoff R, Evans WJ, Singh MAF. Longitudinal changes in body composition in older men and women: role of body weight change and physical activity.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2;76(2):473-81. https://doi.org/10.1093/ajcn/76.2.473 

  5. Shaw SC, Dennison EM, Cooper C. Epidemiology of sarcopenia: Determinants throughout the lifecourse. Calcified Tissue International. 2017;13(6):340-7. https://doi.org/10.1038/nrrheum.2017.60 

  6. Jang IY, Jung HW, Lee CK, Yu SS, Lee YS, Lee E. Comparisons of predictive values of sarcopenia with different muscle mass indices in Korean rural older adults: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aging study of Pyeong Chang rural area.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2018;13(1): 91-9. https://doi.org/10.2147/CIA.S155619 

  7. Beaudart C, Dawson A, Shaw SC, Harvey NC, Kanis JA, Binkley N, et 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arcopenia: systematic review. Osteoporosis International. 2017;28(6): 1817-33. https://doi.org/10.1007/s00198-017-3980-9 

  8. Park SK, Kim EH, Kwon YC, Park JK, Kang SY, Jang JH.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ti-aging hormone and prevention of sarcopenia in elderly women with sarcopenia.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10;40(1):435-42 

  9. Hong JY, Cho JH.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the skeletal muscle mass index and balance scale of elderly women with sarcopenia.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Kinesiology. 2015;17(3):17-24. http://doi.org/10.15758/jkak.2015.17.3.17 

  10. Resnick B, Spellbring AM. Understanding what motivates older adults to exercise.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000;26(3):34-42. https://doi.org/10.3928/0098-9134-20000301-08 

  11. Marcus BH, Forsyth LH, Stone EJ, Dubbert PM, McKenzie TL, Dunn AL, et al. Physical activity behavior change: issues in adoption and maintenance. Health Psychology. 2000;19(1S):32-41. https://doi.org/10.1037/0278-6133.19.Suppl1.32 

  12. Okun MA, Ruehlman L, Karoly P, Lutz R, Fairholme C, Schaub R. Social support and social norms: do both contribute to predicting leisuretime exercise?.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2003;27(5):493-507. https://doi.org/10.5993/AJHB.27.5.2 

  13. Smith GL, Banting L, Eime R, O'Sullivan G, van Uffelen JG.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physical activity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2017;14(1):1-21. https://doi.org/10.1186/s12966-017-0509-8 

  14. Anderson ES, Wojcik JR, Winett RA, Williams DM. Social-cognitive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and self-regulation among participants in a church-based health promotion study. Health Psychology. 2006; 25(4):510-20. https://doi.org/10.1037/0278-6133.25.4.510 

  15. Rovniak LS, Anderson ES, Winett RA, Stephens RS. Social-cognitive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in young adults: a prospectiv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002;24(1):149-56. https://doi.org/10.1207/S15324796ABM2402_12 

  16. Seok JE, Jang EJ.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resource by gender o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living alone.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016;71(2):321-49. https://doi.org/10.21194/kjgsw.71.2.201606.321 

  17. Kang CM, Chang SC, Chen PL, Liu PF, Liu WC, Chang CC, et al. Comparison of family partnership intervention care vs. conventional care in adult patients with poorly controlled type 2 diabetes in a community hospit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0;47(11):1363-73.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0.03.009 

  18. Keefe FJ, Blumenthal J, Baucom D, Affleck G, Waugh R, Caldwell DS, et al. Effects of spouse-assisted coping skills training and exercise training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c knee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Pain. 2004;110(3):539-49. https://doi.org/10.1016/j.pain.2004.03.022 

  19. McVay MA, King HA, Jeffreys AS, Coffman CJ, Voils CI. Mechanisms of patient health behavior change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spouse-assisted intervention. Psychology, Health and Medicine. 2015; 20(7):753-66. https://doi.org/10.1080/13548506.2015.1020817 

  20. Riemsma RP, Taal E, Rasker JJ. Group education for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nd their partners. Arthritis Care and Research. 2003;49(4): 556-66. https://doi.org/10.1002/art.11207 

  21. Voils CI, Coffman CJ, Yancy Jr WS, Weinberger M, Jeffreys AS, Datta S,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ouPLES: a spouse-assisted lifestyle change intervention to improve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Preventive Medicine. 2013;56(1): 46-52. https://doi.org/10.1016/j.ypmed.2012.11.001 

  22.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Englewood Cliffs., PA:NJ: Prentice-Hall; 1986. 

  23. Martire LM, Schulz R, Helgeson VS, Small BJ, Saghafi EM. Review and meta-analysis of couple-oriented interventions for chronic illness.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010;40(3): 325-42. https://doi.org/10.1007/s12160-010-9216-2 

  24. Kim JW. Meta analysis on effects of family interventions for families of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Social work possibilities. Health and Social Work. 2014;1(2):121-60 

  25. Noroozi A, Ghofranipour F, Heydarnia AR, Nabipour I, Shokravi FA.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ocial support scale for exercise behavior in diabetic women. Asia Pacific Journal of Public Health. 2011;23(5); 730-41. https://doi.org/10.1177/1010539509357342 

  26. Petosa P. Use of social cognitive theory to explain exercise behavior among adults [dissertation]. USA Columbus: Ohio State University, 1993. p.1-459. 

  27.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position stand. Quantity and quality of exercise for developing and maintaining cardiorespiratory, musculoskeletal, and neuromotor fitness in apparently healthy adults: guidance for prescribing exercise.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011;43(7):1334-59. https://doi.org/10.1249/MSS.0b013e318213fefb 

  28. Reed JL, Pipe AL. The talk test: a useful tool for prescribing and monitoring exercise intensity. Current Opinion in Cardiology. 2014;29(5).475-80. https://doi.org/10.1097/HCO.0000000000000097 

  29.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6):382-386. 

  30. Hartmann M, Bazner E, Wild B, Eisler I, Herzog W. Effects of interventions involving the family in the treatment of adult patients with chronic physical diseases: a meta-analysis.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2010;79(3): 136-48. https://doi.org/110.1159/0002869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