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산물 중 포름알데히드 함량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어류, 패류, 갑각류 및 연체류 14종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산물 중 포름알데히드 함량은 0.07 mg/kg에서 최고 73.74 mg/kg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어류에서의 함량은 평균 1.29 mg/kg, 패류에서의 함량은 평균 1.70 mg/kg, 갑각류의 경우 평균 7.90 mg/kg으로 어류와 패류에 비교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꽃게의 경우 최대 73.74 mg/kg까지 함유되어 있었다. 연체류에서의 함량은 평균 3.06 mg/kg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유통형태에 따른 함량에서는 대체적으로 살아있는 상태로 유통되는 활어나 활패의 경우 냉장, 냉동 유통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다. 이는 포름알데히드가 사후에 여러 가지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생성되는 것과 함께 수산물에 특이적인 물질인 TMAO가 사후 효소분해 등의 여러 기작을 통해 DMA와 포름알데히드로 분해되어 증가하기 때문인 것(18-21)으로 사료된다. '국민영양조사'와 '영양 및 위해평가 시스템 구축' 연구보고서를 참고하여 노출량 평가를 한 결과, 대상 수산물에 대한 한국인의 평균 일일 섭취량으로 섭취되는 포름알데히드는 0.070 mg/day로 ADI의 0.58% 수준밖에 되지 않았으며, 극단적인 섭취량 평가를 위한 99th 수준에서 섭취되는 포름알데히드는 1.574 mg/day로 ADI의 13.12%에 불과하여 안전한 수준이지만, 더 정확한 노출량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수산물을 포함한 식품에 대한 포름알데히드 함량의 조사와 더불어 섭취량 조사 또한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formaldehyde in various fisheries products was previously derivatized with acetylacetone and subsequently analyzed by using HPLC-PDA. The formaldehyde contents ranged from 0.07 to 73.74 mg/kg. The compoun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mollusks (0.34-12.38 mg/kg) and crustaceans (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생충 구제제로서의 사용뿐만 아니라, 다른 용도로 오ㆍ남용될 수 있는 포름알데히드에 대한 수산물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어류, 패류, 갑각류 및 연체류에서의 포름알데히드 함량 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름알데히드를 다량 복용 시 나타나는 증상은? 자극성의 냄새와 함께 눈, 피부에도 자극을 줄 수 있으며, 구토, 설사, 기관지염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량으로 복용 시 중추신경의 억제나 호흡곤란, 신장장해 등의 급성 독성이 있으며 유전적인 변이, 호흡기성 질환, 알레르기 질환, 중추신경 질환, 여성의 월경불순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포름알데히드는 여러 건축자재에도 활용되는데, 공기 중으로 방산되어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며 인체에 영향을 주게 된다.
포름알데히드 함량이 활어나 활패의 경우 냉장, 냉동 유통보다 낮은 이유는? 유통형태에 따른 함량에서는 대체적으로 살아있는 상태로 유통되는 활어나 활패의 경우 냉장, 냉동 유통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다. 이는 포름알데히드가 사후에 여러 가지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생성되는 것과 함께 수산물에 특이적인 물질인 TMAO가 사후 효소분해 등의 여러 기작을 통해 DMA와 포름알데히드로 분해되어 증가하기 때문인 것(18-21)으로 사료된다. '국민영양조사'와 '영양 및 위해평가 시스템 구축' 연구보고서를 참고하여 노출량 평가를 한 결과, 대상 수산물에 대한 한국인의 평균 일일 섭취량으로 섭취되는 포름알데히드는 0.
포름알데히드의 유통형태에 따른 함량은? 06 mg/kg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유통형태에 따른 함량에서는 대체적으로 살아있는 상태로 유통되는 활어나 활패의 경우 냉장, 냉동 유통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다. 이는 포름알데히드가 사후에 여러 가지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생성되는 것과 함께 수산물에 특이적인 물질인 TMAO가 사후 효소분해 등의 여러 기작을 통해 DMA와 포름알데히드로 분해되어 증가하기 때문인 것(18-21)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WHO. Formaldehyde. Concise International Chemical Assessment Document 40,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2002) 

  2. KFDA. Formaldehyde. Risk profil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2007) 

  3. EMA. Annex I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European Medicines Agency, London, UK (2010) 

  4. FEHD. Risk in Brief, Issue No.9: Formaldehyde in food. Food and Environment Hygiene Department, The Government of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Hong Kong, China (2002) 

  5. FDA. New Animal Drug Applicatio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ilver Spring, MD. USA (2006) 

  6. WHO. Formaldehyde.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No. 89,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1989) 

  7. Wilmer JWGM, Woutersen RA, Appelman LM, Leeman WR, Feron VJ. Subacute (4-week) inhalation toxicity study of formaldehyde in male rats: 8-hour intermittent versus 8-hour continuous exposures. J. Appl. Toxicol. 7: 15-16 (1987) 

  8. Til HP, Woutersen RA, Feron VJ, Hollanders VHM, Falke HE. Two-year drinking-water study of formaldehyde in rats. Food Chem. Toxicol. 27: 77-87 (1989) 

  9. Tobe M, Naito K, Kurokawa Y. Chronic toxicity study on formaldehyde administered orally to rats. Toxicology 56: 79-86 (1989) 

  10. Pazdrak K, Gorski P, Krakowiak A, Ruta U. Changes in nasal lavage fluid due to formaldehyde inhalation. Int. Arch. Occ. Env. Hea. 64: 515-519 (1993) 

  11. Lang I, Bruckner T, Triebig G. Formaldehyde and chemosensory irritation in human : A controlled human exposure study. Regul. Toxicol. Pharm. 50: 23-26 (2008) 

  12. Park YS, Lee YJ, Lee KT. Analysis of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in alcoholic beve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412-1419 (2006) 

  13. Jeong JY, Park SH, Lee KY, Oh SM. Analytical method for analyzing formaldehyde using 2,4-DNPH and gas chromatography/FID, NPD. Korean Ind. Hyg. Assoc. J. 10: 126-146 (2000) 

  14. Weng X, Hee CH, Jiang H, Li D. Rapid detection of formaldehyde concentration in food on a polydimethylsiloxane (PDMS) microfluidic chip. Food Chem. 114: 1079-1082 (2009) 

  15. Bechmann IE. Determination of formaldehyde in frozen fish with formaldehyde dehydrogenase using a flow injection system with an incorporated gel-filtration chromatography column. Anal. Chim. Acta. 320: 155-164 (1996) 

  16. Tunhun D, Kanont S, Chaiyawat M, Raksakulthai N. Detection of illegal of formaldehyde to fresh fish. Asean Food J. 11: 74-77 (1996) 

  17. Bianchi F, Careri M, Musci M, Mangia A. Fish and food safety: Determination of formaldehyde in 12 fish species by SPME extraction and GC-MS analysis. Food Chem. 100: 1049-1053 (2007) 

  18. Sotelo CG, Gallardo JM, Pineiro C, Perez-Martin R. Trimethylamine oxide and derived compounds changes during frozen storage of hake (Merluccius merluccius). Food Chem. 53: 61-65 (1995) 

  19. Nielsen MK, Jorgensen M. Quantitative relationship between trimethylamine oxide aldose activity and formaldehyde accumulation in white muscle from gadiform fish during frozen storage. J. Agr. Food Chem. 52: 3814-3822 (2004) 

  20. Harada K. Studies on enzyme catalysing the formation of formaldehyde and dimethylamine in tissue of fishes and shells. J. Shimonoseki Univ. Fish. 23: 163-241 (1975) 

  21. Rey-Mansilla MDM, Sotelo CG, Aubourg SP. Localization of formaldehyde production during frozen storage of European hake (Merluccius merluccius), Eur. Food Res. Technol. 213: 43-47 (2001) 

  22. KMHW. The 4th Korea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NHANES IV).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2007) 

  23. Jung SH, Kim JW, Jeon IG, Lee YH. Formaldehyde residues in formalin-treat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nd seawater. Aquaculture 194: 253-262 (2001) 

  24. Han YS, Lee DS, Kim SI, Kim DS, Pyeun JH. Nitrogenous constituents in the extract of crabs caught in the Korean adjacent sea. Korean J. Soc. Food Sci. 12: 469-480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