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통 주류의 포름알데히드 및 아세트알데히드 함량분석
Analysis of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in Alcoholic Beve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10, 2006년, pp.1412 - 1419  

박영석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윤정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기택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주류의 ethanol발효과정에서 ethanol과 이산화탄소 이외에 여러 가지 발효부산물이 함께 생성되어 주류의 품질을 결정한다. 특히 부산물 중 aldehyde류는 주류의 맛과 향을 저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 위해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류에 함유되어 있는 aldehyde를 PFBHA로 유도체화 후 GC를 이용하여 주류 45종의 formaldehyde와 acetaldehyde함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주류의 ethanol 농도(%, v/v)가 aldehyde oxime 화합물 생성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으며 ethanol 농도 5%, 13%, 21%에서는 검량선이 적합한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주류 45종의 formaldehyde의 전체적인 평균함량은 0.074 ppm이었으며 주류별 평균함량은 위스키 0.272, 리큐르 0.228, 맥주 0.161, 증류식 소주 0.106 ppm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고 과실주 0.032, 희석식 소주 0.009, 약주 0.03, 탁주 0.06 ppm 등으로 보다 함량이 낮았다. Acetaldehyde의 전체적인 평균함량은 7.592 ppm이었으며 주류별 평균함량은 위스키 15.263, 증류식 소주 13.371, 일반 증류주 9.963, 희석식 소주 0.805, 맥주 2.355 ppm등으로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조사한 모든 주류에서 formaldehyde와 acetaldehyde 함량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제조 시 증류, 여과하는 공정이 다른 주류에 비해 많은 희석식 소주의 aldehyde 함량이 가장 낮음에 따라 제조공정에서 오는 차이가 주류의 aldehyde함량에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 결과 formaldehyde함량은 WHO의 먹는 물 수질기준 0.9 ppm보다 낮게 검출되었으며 식품공전에 의한 증류주의 aldehyde규격기준은 700 ppm이하인데 반해, 조사한 모든 주류 중의 함량이 기준치보다 낮아 음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centrations of formaldehyde and acetaldehy de were respectively analysed in forty-five alcoholic beverages obtained from the market. After derivatization with PFBHA, GC-ECD and GC-MSD were employed for analysis. The peak area of aldehyde oximes (derivatives with PFBHA) increased with the increa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주류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aldehyde류 중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위해성이 높아 관심의 대상인 formaldehyde와 acetaldehyde의 잔류량을 PFBHA 유도체 방법을 통하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45개 주류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Ng L-K, Lafontaine P, Harnois J. 2000. Gas chromato graphic-mass spectrometric analysis of acids and phenols in distilled alcohol beverages: Application of anion-exchange disk extraction combined with in-vial elution and silylation. J Chromatogr A 873: 29-38 

  2. Borzani WM, Vairo LR, Koskimizu IH, Melo Cruz MRD, Perego LJ. 1981. Kinetics of amyl alcohol production during ethanol fermentation of blackstrap molasses. Biomass 1: 115-126 

  3. Sowinski P, Wardencki W, Partyka M. 2005.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eadspace gas chromatography method for the analysis of carbonyl compounds in spirits and vodkas. Analytica Chimica Acta 539: 17-22 

  4. 장동석, 신동화, 정덕화, 김창민, 이인선. 2003. 자세히 쓴 식품위생학. 정문각, 서울 

  5. Cho YH, Park SO, Woo SM, Hahm TS. 2003. Studies on the content of formaldehyde in food packaging paper. J Kor Soc Environmental Anal 6: 213-217 

  6. Yang ST, Lee HS. 2000. A study for determination of formaldehyde in water. J KSWQ 16: 275-282 

  7. Huh K, Lee TK, Park JM, Shin US. 1989. Preventive effect of ginseng butanol fraction against acetaldehyde-induced acute toxicity. Korea J Ginseng Sci 13: 5-7 

  8. Helander A, Tottmar O. 1988. Effect of acute ethanol administration on human blood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Alcohol Clin Exp Res 12: 643-646 

  9. Jeong JY, Park SH, Yi GY, Oh SM. 2000. Analytical method for analyzing formaldehyde using 2,4-DNPH and gas chromatograghy/FID,NPD. J Korean Ind Hyg Assoc 10: 126- 146 

  10. Wardencki W, Sowinski P, Curylo J. 2003. Evaluation of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for the analysis of volatile carbonyl compounds in spirits and alcoholic beverages. J Chromatogr A 984: 89-96 

  11.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Method 554. 1992. Determination of carbonyl compounds in drinking water by dinitrophenylhydrazine derivatization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12. Cancho B, Ventura F, Galceran T. 2001. Determination of aldehydes in drinking water using pentafluorobenzylhydroxylamine derivatization and solid-phase microextraction. J Chromatogr A 943: 1-13 

  13. 환경부. 2004. 먹는 물 수질 감시항목 운영 지침 및 시험방법 

  14. 국세청. 2001. 주세법, 인지세법, 증권거래세법 해석편람 

  15. Shin SH, Ahn SH. 2006. The study on the measurement of formaldehyde in saliva and urine by GC-MS. Anal Sci Tech 19: 149-154 

  16.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Method 556. 1998. Determination of carbonyl compounds in drinking Water by pentafluorobenzylhydroxylamine derivatization and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with electron capture detection 

  17. Kim JH, Cho ES, Park SK, Kim JH, Lim YT, Pyo HS. 2004. A study on the unregulated contaminants management of drinking water-1,4-dioxane, monochloroacetic acid, monobromoacetic acid, dibromoacetic acid, formaldehyde. 대한상하수도학회, 한국물환경학회 2004년도 공동추계학술발표회. p 72-75 

  1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5. Food Code 

  19. Kim KW, Yang JS, Lee JS, Cho YS. 1994. Activity of alcohol dehydrogenase and ethanol, acetaldehyde levels in normal adults blood. J Korean Ind Hyg Assoc 4: 240-2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