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양육태도가 학대경험과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and Child Rearing Attitude on Child Abuse and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 in Childr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17 no.1, 2011년, pp.22 - 30  

문영숙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and child rearing attitudes on abuse experience and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 in childre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5 to June 5, 2009. A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with 320 e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들이 가정에서 경험하는 부모의 갈등, 양육태도와 아동이 지각한 학대경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관하여 그 관련성을 알아보고, 이러한 부모의 아동학대가 아동의 성장과정과 관련되어 있는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여,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을 예방하고 건강한 아동의 성장발달을 촉진하는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양육태도, 학대경험, 정서적 부적응 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부부갈등, 양육태도가 학대경험에 미치는 영향과 부부갈등, 양육태도, 학대경험이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 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양육태도, 학대경험, 정서적 부적응 행동의 정도와 관계를 알아보고 부부갈등, 양육태도가 학대경험과 정서 적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아동의 건강한 부 모 자녀 관계와 정서적 부적응 행동 감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시도된 연구로서, 수집된 자료는 빈도·백분율·평균과 표 준편차·피어슨 상관계수·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양육태도, 학대 경험, 정서적 부적응 행동의 정도와 그 관계를 알아보고, 부부갈등, 양육태도가 학대경험과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았으며 주요 결과들을 논의해보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o와 Shim은 어떤 부모에서 아동학대가 자주 일어난다고 하였는가? 부모의 적절한 양육은 신체적· 심리적으로 건강하게 자랄 수 있고, 부적절한 양육은 아동의 능력 을 개발시킬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게 하기도 한다. 아동학대와 관 련된 선행연구 중에서 부모 양육태도와 관련된 연구 결과를 보면 Lo와 Shim (2004)은 지배적인 양육태도를 취하는 부모에게서 자 주 아동학대가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즉, 자녀에게 엄격하고 권 위적이며 자녀의 성장수준을 도외시한 채 무리한 표준을 요구하 는 부모는 자녀 훈육에 있어 강압적인 방법이나 처벌을 주로 사용 하며, 자녀에게 많은 통제를 하면서 대화는 거의 허용하지 않는다.
부부 간의 갈등의 좋은 점은 무엇인가? 부부 사이 의 갈등이 원만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해결되지 못할 경우, 그러한 갈등은 자녀에게 공격을 가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부부 간의 갈등은 상대방의 자아를 새로 발견하거나 유지하는 수단이 되고, 상대방의 가치, 욕구, 목표를 깨닫는 기회를 제공하며, 자신 과 배우자 간의 상호작용을 강화시켜 주기도 하지만, 부부 중 어느 한 사람이라도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여 지배적인 태도를 취하 게 되면 갈등은 해결되지 못하고 당사자에게는 물론 다른 가족원 에게까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때 다른 가족원 중 가장 영향을 받기 쉬운 사람은 그들보다 약한 그들의 자녀, 아동 이다.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양육태도, 학대 경험, 정서적 부적응 행동의 정도와 그 관계를 알아보고, 부부갈등, 양육 태도가 학대 경험과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와 그 결과를 토대로 논의한 내용은 무엇인가?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정도 는 최대 40점의 점수분포에서 평균 10.07점이었고, 양육태도는 합 리적 지도 성향이 5점 만점 중 평균 3.93점으로 가장 높았다. 부부갈등이란 부부 상호관계에 있어서 부족한 자원이나 상충 되는 목표에 직면하여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부부 사이의 갈등이 원만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해결되지 못할 경 우, 그러한 갈등은 자녀에게 공격을 가하는 결과를 초해할 수 있 다. 성인 간의 분노적 상호관계를 대면한 아동은 행동적으로 괴로 움이 두드러진 반응을 보이며, 스트레스 증가를 암시한다. 본 연구 에서는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이 평균 10.07점으로 평균보다 낮 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는 대상자들 부모의 부부갈등 정도가 전반 적으로 매우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Lee와 Moon (2007)의 초 등학교 6학년 270명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을 연구 한 결과에서도 전반적으로 부부갈등을 보통 이하 수준으로 보고 하고 있다. 부부가 처한 가정의 인적, 물적 환경은 부부의 적응과 정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부부갈등과 관계되나, 본 연구에서는 대 상자 부모 모두의 교육수준이 높고, 부모의 직업에서도 거의 직업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대상자의 부부갈등 점수가 낮게 나타 난 것으로 사료된다.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에서는 긍정적 양육태도를 많 이 지각하고 있었으며 그중에서도 합리적 지도 성향이 높은 평균 점수를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양육태도는 부모 또는 그 대리자 가 아동을 양육함에 있어서 보편적으로 나타내는 행동이라 할 수 있다. 사랑과 애정 속에 자란 아동은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으며, 협동적이고 정직하며 신중한 성격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거부와 무관심 속에 자란 아동은 자주 화를 내거나 불만을 표현하는 일 이 많다.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 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Lee (2004)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적대적, 통제적, 안일, 비합리적이면 아동학대가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아동학대가 일어나는 가정은 애정적인 태도와 대립하는 것으로, 자녀를 무시하고 경멸·부인하는 적대적인 태도에서 발생하 며, 부모가 적정한 수준의 훈육을 넘어 지나친 통제 또한 학대행 위가 발생하기 쉬워 아동들로 하여금 도피와 가출의 동기가 되게 하고 있다(Jung & Kim, 2004). 학대경험에서는 정서적 학대가 평균 1.22점으로 가장 많이 지각 하고 있었으며 신체적 학대, 방임 순이었다. 학대경험 평균점수는 4점 만점으로 산출되므로 대상자들이 지각한 학대경험은 매우 낮 은 평균점수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아동이 지각한 학대경험의 평균점수는, 초등학교 5, 6학년 510명을 대상으로 학대경험을 연 구한 Shin과 Choi (2003)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고 있으며, Lee와 Moon (2007)의 연구에서도 대상자들이 정서적 학대경험을 가장 많이 보고하고 있다. 정서적 학대란 언어적·정신적·심리적 학대 라고도 하며 아동의 정서적·정신적 측면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 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오히려 다른 유형의 학대보다 아동의 정 상적인 발달에 더욱 치명적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아동의 자 아존중감을 손상시키고 자신감을 잃게 하거나 위축되게 할 수 있 고, 아동의 인격형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Shin & Choi, 2003). 정서 부적응 행동(위축행동·과잉행동·공격행동·퇴행행동· 강박행동)은 강박행동이 평균 3.16점(최대 10.0점)으로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다. 아동에게 있어서 정서적 안정감은 건전 한 인격으로 성장, 발달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요소 중의 하나이 다. 따라서 아동의 정서적 불안정 상태는 예기치 못한 많은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정서적 불안정아는 정서적 불안으로 인하여 학교 생활에서 잘 적응할 수 없으며, 공격이나 퇴행의 행동을 보이고, 심리적인 강박으로 자기에게 기대된 것을 할 수 없는 아동이며, 정 상적인 지적능력이 있어도 부적절한 인간관계를 이루어 나갈 수 없다고 할 수 있다(Kim & Kim, 2007) 둘째, 부부갈등은 긍적적 양육태도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부정 적 양육태도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학대경험,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 상으로 부모의 양육태도, 부부갈등, 아동학대의 관련성을 연구한 여러 연구들(Kim & Do, 2001; Lee, 2004)에서도 부부간 결혼만족 도가 낮거나 부부관계에서 갈등이 심한 경우 자녀의 양육태도와 아동학대에 관련이 깊음을 보고하고 있다. 즉 부부간에 갈등이 발 생했을 때 그러한 갈등을 건강하게 해결하지 못할 경우, 결국 부 부관계의 문제가 자녀에게까지 학대행위와 같은 부정적이고 파괴 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아동에 대한 학대가 배우자 에게 물리적인 힘을 쓰는 것보다 더 사회적으로 쉽게 용납되기 때 문에 부모는 자신의 내적 감정에 대한 왜곡 반응으로 자신의 갈등 을 자녀에게 투사하여 학대행위를 하게 되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양육태도와 학대경험 간 관계에서는 긍정적 양육태도와는 부 적 상관관계를, 부정적 양육태도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 다. Lee (2004)의 연구에서도 부모의 양육태도가 부모가 아동을 학대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아동학대 와 관련된 선행 연구 중에서 부모 양육태도와 관련된 연구 결과 를 보면 Lee와 Moon (2007)은 지배적인 양육태도를 취하는 부모 에게서 자주 아동학대가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즉 자녀에게 엄 격하고 권위적이며 자녀의 성장수준을 도외시한 채 무리한 표준 을 요구하는 부모는 자녀 훈육에 있어 강압적인 방법이나 처벌을 주로 사용하며, 자녀에게 많은 통제를 하면서 대화는 거의 허용하 지 않는다. 이러한 부모-자녀 관계유형의 환경에서 성장하는 아동 은 반항적 행동이 충동적으로 나타나 가출, 비행 등 반사회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학대경험과 정서적 부적응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여러 연구 결과들(Jo, Suk, & Park, 2005; Kim & Kim, 2007; Shin & Choi, 2003)과 일치하고 있다. 학대 받은 아동은 대부분 불행·슬픔·절망감을 느끼면서 살기 때문에 정서적으로 매우 불안하고 위축되어 있으며 공격성·충동적·도전 적·반항적·파괴적이며, 잔인하고 거짓말과 도벽 등의 문제행동을 보이는 반사회적 행동특성이 있다(Kim & Kim, 2007). Shin과 Choi (2003)의 연구에서도 학대가 심할수록 아동은 사회적 위축·정서 불안·강박·우울 등에서 높은 점수를 보고하고 있다. 셋째, 부부갈등, 양육태도가 아동이 지각한 학대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권위주의적 통제 성향·애정적 성향의 양육태도와 부 부갈등이 전체 학대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 변인의 설명력은 30.6%였다. Lee (2004), Lee와 Moon (2007)의 연구에서 도 본 연구 결과와 일치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아동학대에 있어서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부갈등이 상당히 중요 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부모의 바람직하지 못 한 양육태도는 아동 학대를 유발하는 중요한 변수이며, 부부갈등 이 심화될수록 아동이 지각하는 학대경험 역시 높게 나타나는 것 을 알 수 있다. 부모의 양육태도에 있어서 권위주의적 통제 성향과 애정적 성향의 양육태도가 학대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 음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일수록 아동학대가 적으며, 권 위주의적 통제 성향과 같은 부정적 양육태도일수록 아동학대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즉, 통제적 양육행동의 어머니는 애정적 양육 행동의 어머니보다 신체적 벌을 더 자주 사용하며 권위주의적인 언어적 지시나 통제를 선호하기 때문에 이들 자녀들은 훨씬 더 많 은 학대를 경험하게 된다. 반면 자녀를 수용하고 온정적인 어머니 의 자녀들은 학대를 거의 경험하지 않는다. 이에 관한 구체적 연구 를 보면, 부모의 양육행동이 지배적이고 적의적일수록 아동의 학 대경험이 많았다(Lee & Lee, 2000; Mussen, 1979). 결과적으로 아 동이 지각한 학대경험에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부갈등이 많은 영 향을 미치고 있어 아동학대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변수들이 아동학대의 30.6%를 설명하고 있다. 넷째,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대한 전체 변인들의(부부갈 등·양육태도·학대경험) 영향을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부부갈등·방임·정서적 학대의 학대경험·권위주의적 통제 성향의 양육태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 변인들의 전체 설명력은 21.5%였다. 부부폭력을 목격하거나 아동학대를 경험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적응 행동을 연구한 Kim과 Kim (2007)의 연구 및 다른 연구(Lee & Jang, 2000; Shin & Choi, 2003)에서도 부 부갈등·정서적 학대, 방임이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으나 본 연구 결과가 이들 변수들의 더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다. 즉 아동부모의 부부갈 등이 많을수록, 방임과 정서적 학대를 아동이 많이 경험할수록, 부모의 양육태도가 권위주의적 통제 성향과 같은 부정적 양육태 도일수록,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이 많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즉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는 부부갈등·방임과 정서 적 학대의 아동학대, 권위주의적 통제 성향의 양육태도가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chenbach, T. M. (1978). The child behavior profile: I. Boys aged 6-11. Journal of Consulting & Clinical Psychology, 46, 478-488. 

  2. Ammerman, R. T., & Patz, R. J. (1996). Determinants of child abuse potential: Contribution of parent and child factor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5, 300-307. 

  3. Aunola, K., & Nurmi, J. E. (2005). The role of parenting style in children's problem behavior. Child Development, 76, 1144-1159. 

  4. Grych, J. H., Seid, M., & Fincham, F. D. (1992). Assessing marital conflict from the child's perspective: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Child Development, 63, 558-572. 

  5. Jo, Y. J., Suk, J. Y., & Park, I. J. (2005). The effects of child abuse on children from their parents on self-control and aggressive behavior of adolescents: Differences between ordinary and delinquent adolescents. Studies on Korean Youth, 16, 133-163. 

  6. Jung, M. J., & Kim, M. J. (2004).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their perceptions of parental childrearing practices. Journal of Child Studies, 25(5), 11-27. 

  7. Kim, H. M., & Kim, Y. M. (2007). The effect of family violence witness and child abuse experience on youth's maladaptive behavior.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11, 31-60. 

  8. Kim, H. Y., & Jang, W. J. (2002). A study of the influences of parents risk factors on the types of child abuse.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6, 269-286. 

  9. Kim, J. L. (2004).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child abuse, and children's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3, 683-690. 

  10. Kim, M. J., & Do, H. S. (2001). The influence of parenting behaviors, marital conflict, and sibling relations on aggression in children. Journal of Child Studies, 22, 149-166. 

  11. Lee, C. D., & Kwon, Y. O. (1997). A validation study on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18, 65-79. 

  12. Lee, G. E., & Jang, D. H. (2000). The effect of the family violence on the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7, 95-123. 

  13. Lee, G. H., & Moon, H. J. (2007). The relationship of father's child-rearing behavior, parent's marital conflict as perceived by children, and children's agg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5(6), 77-88. 

  14. Lee, J. H., & Lee, Y. H. (2000). The effect of child and parent factors on child abuse.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4, 113-123. 

  15. Lee, K. N. (2004). The effects of child's perceived marriage conflict, mother's parenting and child's behavior problems on child abus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3, 63-73. 

  16. Lo, K. S., & Shim, H. O. (2004). Bullying and victimization with perception of parenting behavior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Child Studies, 25, 241-257. 

  17. Moon, K. J., & Oh, K. J.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behaviors and early adolescents' depression and anxiety.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 29-43. 

  18. Mussen, P. N. (1979). The psychology development of the child. New York, NY: Prentice Hall. 

  19. Olweus, D. (1994). Annotation: Bullying at school: Basic facts and effects of a school based intervention program.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5, 1171-1190. 

  20. Park, S. Y., & Lee, S. (1990).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maternal behavior inventory.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8, 141-156. 

  21. Quay, H. C. (1972). Psychopathological disorders of childhood. (2nd ed.). New York, NY: Wiley. 

  22. Shaffer, D. R. (1999).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hood and adolescence. (5th ed.). Pacific Grove, CA: Brooks/Cole. 

  23. Shin, H. Y., & Choi, H. L. (2003). The relations among child abuse by parents, child's aggression and interpersonal anxiety. Journal of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5, 295-307. 

  24. Sternberg, K. J., Lamb, M. E., Greenbaum, C., Cicchetti, D., Dawud, S., Cortes, R. M., et al. (1993). Effects of domestic violence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 and depress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9, 44-52. 

  25. Straus, M. A. (1979). Measuring intrafamily conflict and violence: The conflict tactics scal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1, 75-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