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견관절 외전 각도에 따른 중간 및 하부 승모근의 근 활성도 비교
A Comparison of EMG Activity for Middle and Lower Trapezius Muscle According to Shoulder Abduction Angles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8 no.1, 2011년, pp.47 - 56  

이원휘 (연세대학교 대학원 재활학과) ,  하성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재활학과) ,  박규남 (연세대학교 대학원 재활학과) ,  김수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재활학과) ,  원종혁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원주기독병원 재활의학과) ,  최흥식 (한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lectromyography (EMG) activity for the middle and lower trapezius muscle according to various shoulder abduction angles. Thirty healthy male subjec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Each subject performed three repetitions of horizontal abduction at $7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어깨 외전 각도에 따라 각 근섬유의 근 활성도를 비교하여, 가장 높은 근활성도를 보이는 어깨 외전 각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견관절의 외전 각도에 따라 중간 승모근과 하부 승모근의 근 활성도를 수집하여, 5개의 외전 각도에서 근육들의 근 활성도를 비교하여, 각 근 섬유의 가장 높은 근 활성도를 보이는 각도를 알아보고, 승모근의 섬유별 평가를 할 때 특정한 하나의 어깨 외전 각도에서 평가를 해야 하는지 아니면 섬유별로 다른 어깨 외전 각도에서 평가를 해야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20대의 정상 성인 남자 30명을 대상으로 5개의 견관절의 외전 각도에 따라 승모근의 근 섬유들 중에서 중간 승모근과 하부 승모근의 근 활성도를 비교해보고, 각 근육의 가장 높은 근 활성도를 보이는 외전각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중간 승모근과 하부 승모근은 각각 다른 각도에서 높은 근활성도를 보였고, 견관절 90°외전 각도는 중간 승모근은 유의하게 높은 근 활성도를 보인 반면, 하부 승모근은 유의하게 낮은 근 활성도를 보였고, 하부 승모근은 견관절 125°이상 외전 각도에서 높은 근활성도를 보였다.
  • 본 연구는 5개의 견관절의 외전 각도에 따라 중간 승모근과 하부 승모근의 근 활성도를 비교해보고, 각 근육의 가장 높은 근 활성도를 보이는 외전 각도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대의 정상 성인 남자 30명을 대상으로 5개의 견관절의 외전 각도에 따라 승모근의 근 섬유들 중에서 중간 승모근과 하부 승모근의 근 활성도를 비교해보고, 각 근육의 가장 높은 근 활성도를 보이는 외전각도를 알아본 본 연구의 제한점은 무엇인가? 이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 번째는 정상 성인 남자에 대해서만 알 수 있었기 때문에 일반화 할 수 없다. 두 번째는 각도의 종류가 좀 더 세분화되지 못했다. 즉 5가지 각도의 사이가 너무 커서 하부 승모근의 섬유 방향인 145°와 같은 사이 각도에 대한 근육들의 근 활성 도에 대해서 정확히 알 수 없었다. 세 번째는 또한 각각의 각도에 따라 대상자의 견갑골의 위치를 통제하지 않았다. 견관절의 외전 각도는 통제하였어도, 그에 따른 견갑골의 위치를 통제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좀 더 세분화된 각도별 비교와 견갑골의 위치를 통제하고 승모근의 근 섬유별 근 활성도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승모근은 어떻게 나뉘어지나? 승모근(trapezius)은 상부(upper), 중간(middle), 하부(lower)의 세 가지 근 섬유(muscle fiber)로 나누어지며, 견관절의 안정성과 기능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Bentman 등, 2010; Kinney 등, 2008). 특히 승모근은 견관절 외전시 견갑골이 상방 회전을 하는 견갑상완 리듬(scapulohumeral rhythm)을 위해 전거근과 함께 짝힘(force couple)으로 작용하므로 승모근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Faria 등, 2009; Neumann, 2002; Tucker 등, 2010).
상부 승모근의 역할은 무엇인가? 또한 승모근의 세가지 근 섬유들은 각각 주행방향이 다르므로 그 역할이 서로 다르다(Ekstrom 등, 2005; Sahrmann, 2002). 상부 승모근은 주로 견갑골을 상승시키고 목을 신전시키며, 또한 수축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목을 회전시킨다. 중간 승모근은 견갑골을 후인(retraction)시키고, 하부 승모근은 견갑골을 하강, 내전, 회전과 흉추를 신전시키며, 견갑골이 전인(protraction)될 때 원심성 조절을 한다(Arlotta 등, 2010; Cool 등, 2004; Kendall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rlotta M, Lovasco G, McLean L. Selective recruitment of the lower fibers of the trapezius muscle. J Electromyogr Kinesiol. 2010;6. 

  2. Ballantyne BT, O'Hare SJ, Paschall JL, et al.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selected shoulder muscles in commonly used therapeutic exercises. Phys Ther. 1993;73(10):668-677. 

  3. Bentman S, O'Sullivan C, Stokes M. Thickness of the middle trapezius muscle measured by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ing: Description of the technique and reliability study. Clin Physiol Funct Imaging. 2010;30(6):426-431. 

  4. Borstad JD, Ludewig PM. Comparison of scapular kinematics between elevation and lowering of the arm in the scapular plane. Clin Biomech (Bristol, Avon). 2002;17(9-10):650-659. 

  5. Chester R, Smith TO, Hooper L, et al. The impact of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on muscle activity patterns of the shoulder complex: A systematic review of electromyographic studies. BMC Musculoskelet Disord. 2010;9(11);45. 

  6. Cools AM, Declercq GA, Cambier DC, et al. Trapezius activity and intramscular balance during isokinetic exercise in overhead athletes with impingement symptoms. Scand J Med Sci Sports. 2007;17(1):25-33. 

  7. Cools AM, Witvrouw EE, Declercq GA, et al. Evaluation of isokinetic force production and associated muscle activity in the scapular rotators during a protraction-retraction movement in overhead athletes with impingement symptoms. Br J Sports Med. 2004;38(1):64-68. 

  8. Cools AM, Witvrouw EE, Declercq GA, et al. Scapular muscle recruitment patterns: Trapezius muscle latency with and without impingement symptoms. Am J Sports Med. 2003;31(4):542-549. 

  9. Cram JR, Kasman GS, Holtz J.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ography. Maryland. Aspen, 1998. 

  10. De Mey K, Cagnie B, Danneels LA, et al. Trapezius muscle timing during selected shoulder rehabilitation exercise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9;39(10):743-752. 

  11. Ebaugh DD, Spinelli BA. Scapulothoracic motion and muscle activity during the raising and lowering phases of an overhead reaching task. J Electromyogr Kinesiol. 2010;20(2):199-205. 

  12. Ekstrom RA, Donatelli RA, Soderberg GL. Surface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exercises for the trapezius and serrratus anterior muscle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3;33(5):247-258. 

  13. Ekstrom RA, Soderberg GL, Donatelli RA. Normalization procedures using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s for the serratus anterior and trapezius muscles during surface EMG analysis. J Electromyogr Kinesiol. 2005;15(4):418-428. 

  14. Faria CD, Teixeira-Salmela LF, Gomes PF. Applicability of the coactivation method in assessing synergies of the scapular stabilizing muscles. J Shoulder Elbow Surg. 2009;18(5):764-772. 

  15. Forte FC, de Castro MP, de Toledo JM, et al. Scapular kinematics and scapulohumeral rhythm during resisted shoulder abduction-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Phys Ther Sport. 2009 Aug;10(3):105-111. 

  16. Hislop HJ, Montgomery J. Daniels and Worthingham's Muscle testing: Techniques of manual examination. Philadelphia PA, Saunders, 2002. 

  17. Johnson GR, Pandyan AD. The activity in the three regions of the trapezius under controlled loading conditions-An experimental and modelling study. Clin Biomech (Bristol, Avon). 2005;20(2):155-161. 

  18. Kendall F, McCreary E, Provance P, et al.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5th ed.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 

  19. Kinney E, Wusthoff J, Zyck A, et al. Activation of the trapezius muscle during varied forms of Kendall exercises. Phys Ther Sport. 2008;9(1):3-8. 

  20. Ludewig PM, Cook TM, Nawoczenski DA. Three-dimensional scapular orientation and muscle activity at selected positions of humeral elevation.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6;24(2):57-65. 

  21. Matsuki K, Matsuki KO, Mu S, et al. In vivo 3-dimensional analysis of scapular kinematics: Comparison of dominant and nondominant shoulders. J Shoulder Elbow Surg. 2010. 

  22. McMahon PJ, Jobe FW, Pink MM, et al. Comparative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shoulder muscles during planar motions: Anterior glenohumeral instability versus normal. J Shoulder Elbow Surg. 1996:5(2 Pt 1):118-123. 

  23. Moseley JB Jr, Jobe FW, Pink M, et al. EMG analysis of the scapular muscles during a shoulder rehabilitation program. Am J Sports Med. 1992;20(2):128-134. 

  24. Neumann DA.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Foundation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1st ed St. Louis, Mosby, 2002. 

  25. Palmer ML, Epler ME. Clinical Assessment Procedures in Physical Therapy. Philadelphia, Lippincott, 1990. 

  26. Rundquist PJ, Obrecht C, Woodruff L. Three-dimensional shoulder kinematics to complet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 J Phys Med Rehabil. 2009;88(8):623-629. 

  27. Sahrmann SA.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vement Impairment Syndromes. St. Louis, Mosby Inc., 2002. 

  28. Tucker WS, Armstrong CW, Gribble PA, et al. Scapular muscle activity in overhead athletes with symptoms of secondary shoulder impingement during closed chain exercises. Arch Phys Med Rehabil. 2010;91(4):550-556. 

  29. Wise MB, Uhl TL, Mattacola CG, et al. The effect of limb support on muscle activation during shoulder exercises. J Shoulder Elbow Surg. 2004;13(6):614-6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